[전체] “김익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0)
- 김익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51(명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계응(季膺). 후손(後孫)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석량(錫良)이며, 아버지는 찰방 광(光)이다. [내용] 1573년(선조 6) 진사가 되고 158...이칭별칭 계응(季膺)| 충경(忠景)
- 김익복(金益福)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522 인물 김익복(金益福) 김익복 金益福 1551 1598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계응(季膺), 호는 금릉(金陵), 시호는 충경(忠景). 1573년 생원시에, 1580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유형분류인물
- 김유(金裕)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488 인물 김유(金裕) 김유 金裕 1587 1651 조선 중기의 인물.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달원(達源). 김익복(金益福)의 장자(長子). 임진왜란이 일어나 아버지 김익복이 의병을 일으키자 이에 동참하여 군사...유형분류인물
- 임계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임진왜란 때 전 현감 박광전(朴光前), 능성현령 김익복(金益福), 진사 문위세(文緯世) 등과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당시 와병중이던 박광전 대신 의병장으로 추대되고, 순천에 이르러 장윤(張潤)을 부장으로 삼았다. 다시 남원에 이르기까지 1,000여명을 모집하...이칭별칭 홍보(弘甫)| 삼도(三島)
- 임계영(任啓英)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냈다. 임진왜란 때 박광전(朴光前)‧능성현령 김익복(金益福)‧진사 문위세(文緯世) 등과 함께 이웃 고을에 격문을 돌리고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당시 와병 중이던 박광전 대신 의병장으로 추대되고, 장윤(張潤)을 부장으로 삼았다. 의병 1,000여 명을 모집하여 전라좌...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
- 가정유고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후 잠적한 嚴興道의 事績을 기록하고 忠節을 기리는 碑文이다. 卷之七 碑銘 郡守贈吏曹參判金公-益福-神道碑銘(1) 후에 吏曹參判에 추증된 郡守 金益福의 神道碑銘이다. 大司憲文獻孔公-瑞麟-神道碑銘(4) 大司憲 文獻公 孔瑞麟의 神道碑銘이다. 山淸首露王廟碑銘(7) 山淸 金...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소년_1939_03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60 060(3) 눈 김익복 60 060(4) 다디미 이동희 60 060~061 눈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주제어사전(2)
-
김익복 / 金益福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 조선 중기의 문신. 후손 증손, 할아버지는 석량, 아버지는 찰방 광. 15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도사·군수를 역임하였다.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광군수로 현감 임계영과 함께 인근의 여러 고을에 격문을 돌려 의병을 모아 여러 차례
-
임계영 / 任啓英 [종교·철학/유학]
1528(중종 23)∼1597(선조 30).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아버지는 희중이다. 1576년(선조 9)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진보현감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전 현감 박광전, 능성현령 김익복, 진사 문위세 등과 보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전라우도 의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