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이상” 에 대한 검색결과 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98(연산군 4)∼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중길(仲吉), 호는 심적당(心適堂). 개성 출신. 아버지는 수련(守蓮)이다. [내용] 1519년(중종 14) 생원...
    이칭별칭 중길(仲吉)| 심적당(心適堂)
  • TD_L14_S_0152 仲康 인물 太康, 羿, 夏, 帝夷, 胤侯, 羲, 和, 有窮 河, 洛汭, 漢 仁山, , 昭烈, 諸葛武侯 S_19_01_16 성호사설 19권 1장 16절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9권 1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다회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예전에 다회(多繪)를 만드는 일을 맡아 하던 장인. 끈목장. 다회는 여러 올의 실을 꼬거나 짜서 만든 끈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磨鏡匠承大元京居多繪匠李承男申義男李忠元以上京居銅匠金奉金兄守以上京居, (국장1903/253ㄴ12~254ㄱ02)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도학정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들의 특출한 문인을 골라서 엮었다. 첫머리에 송나라 유학자 주돈이(周敦頤)를 비롯하여 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소옹(邵雍)ㆍ장재(張載)ㆍ주희(朱熹) 등 5현과 그 문인 등 석학 44인을 실었고, 그밖에 원나라의 ()을 비롯하여 허겸(許謙) 등 8인을...
  • 근대신어 : 프리미엄(푸레미엄)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金貨의 實質價値가 이에 相當하는 紙幣보다 큰때 이超過價値를『푸레미엄』이라하며 또하나는 우리가 一般으로 널리 使用하는 市勢用語인데 株式市勢가 拂入으로 올랏슬때 그拂入의 金額을『푸레미엄』이라고 하고 또는 新株發行에 際하야 額面以上의 價格으로 株를 영어의...
    출전朝鮮日報[朝鮮日報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금융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58)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08년_부내면( 府內面) 1708년 부내면( 府內面) 第二十二城隍堂里 2 第二統統首 第一戶 兵營軍年肆拾柒壬寅本濟州父而善祖應先曾祖不知外祖者音同 本慶州妻良女金召史年參拾玖庚戌本濟州父風立祖江金曾祖長同外祖八音 同本濟州等乙酉戶口相准 第二戶 良...
    연도_면이름1708년_부내면( 府內面) | 면이름부내면( 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二城隍堂里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9년_범서면(凡西面) 1729년 범서면(凡西面) 第四知止里 5 第五統統首 第一戶 黃山屈火驛吏年肆拾貳戊辰本金海父正兵末叱同祖正兵儉山曾祖正兵白守外 祖正兵崔景立本蔚山妻金召史年肆拾捌壬戌本金海今加父正兵太山祖正兵承同曾祖正兵 承男外祖正兵姜永吉本金海...
    연도_면이름172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四知止里
  • 45 第四十五統統首頭毛惡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부내면(府內面) 1684년 부내면(府內面) 第二十一城隍堂里 45 第四十五統統首頭毛惡 統第一戶頭毛惡金以{上年貳拾肆}辛丑本濟州父日上三祖不知妻良女甫自年貳拾肆辛丑本上同四祖不知辛酉戶口相准 第二戶頭毛惡金---------{本}濟州父福男祖卜萬曾...
    연도_면이름1684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一城隍堂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十八}---- 1 {第一統統首}---------{} {統第一戶} -------奴海尺年參拾陸己丑本蔚山父私奴金日男祖日山曾祖不知外祖寺奴許連卜本蔚山母私婢進 {上典}-居察訪尹弘甫妻私婢應代年貳...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十八}----
  • 江原道庄土文績_제5책 : 江原道原州郡彌乃面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積類 72. 康熙四十二年-癸未-正月二十二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1_03441 奎 19304 江原道庄土文績 제5책 : 江原道原州郡彌乃面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積類 05-077 72. 康熙四十二年-癸未-正月二十二日前明文 토지매매문기
    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기타자료(4)

  • (교사수기) 부르도자 교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71 4 강원교육 87호 강원도교육위원회 141-143 3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이상 | 사료철명강원교육
  • (교육수기) 직무대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71 7 강원교육 90호 강원도교육위원회 132-134 3 ...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이상 | 사료철명강원교육
  • (교육백과) 흥미유발을 위한 극화학습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71 7 강원교육 90호 강원도교육위원회 82-84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이상 | 사료철명강원교육
  • (교육백과) 교감의 위치-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사문화 잡지 1971 10 강원교육 93호 강원도교육위원회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이상 | 사료철명강원교육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498(연산군 4)∼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수련. 154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내직으로는 직강·사예·정자를 거쳐, 감찰·통례원통례를 역임, 외직으로는 덕천군수·영원군수를 거쳤다. 유집으로는『심적당송암경승재유고합편』이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