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응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22)
- 현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근대의 학자 김응환(金應煥)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저자 자신이 편집해놓은 것을 1972년 아들 김학기(金學基)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배동환(裵東煥)의 서문, 권말에 이성호(李成鎬)와 김학기 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
- 김응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66.11.) 헐성루도 / 김응환 조선 후기의 화가 김응환(1742∼1789)의 작품. 개인 소장.이칭별칭 영수(永受)| 복헌(復軒), 담졸당(擔拙堂)
- 김홍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받았다. 이 무렵부터 명나라 문인화가 이유방(李流芳)의 호를 따라 ‘단원’이라 자호하였다. 1788년에는 김응환(金應煥)과 함께 왕명으로 금강산 등 영동 일대를 기행하며 그곳의 명승지를 그려 바쳤다. 그리고 1791년 정조의 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을 그릴 때도...이칭별칭 사능(士能)| 단원(檀園), 단구(丹邱), 서호(西湖), 고면거사(高眠居士), 취화사(醉畵士), 첩취옹(輒醉翁)
- 장준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02(순조 2)∼1870(고종 7). 조선 말기의 화가. [내용]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원여(遠汝). 김응환(金應煥)의 외손자이며, 조선 후기에 어해(魚蟹)와 화조(花鳥) 화가로 알려진 한종(漢宗)의 아들이다. 도화서의이칭별칭 원여(遠汝)
- 이필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화가. [내용] 도화서(圖畫署)의 화원(畫員)으로 정3품 절충(折衝)을 지냈다. 1759년(영조 35)에 영조와 정순왕후의 가례의궤(嘉禮儀軌)를 김응환(金應煥)‧신한평(申漢平) 등과 함께 제작하였으며, 1765...
고서·고문서(30)
- 임인년 김응환(金應煥)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9 第九統統首武學金應還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十四安堂坊 9 第九統統首武學金應還 統第一戶府案付武學左水營分防金應還年陸拾乙丑本金海父正兵貴生祖納粟通政大夫彦玉曾祖通政大夫元富外祖宣武原從功臣訓鍊院副將 裵彦富本丹陽妻朴召史年陸拾壹甲子本密陽父正兵明生祖正兵淡...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十四安堂坊
- 논값(畓價)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供은 原告의 請求 棄却 判決을 求을 申立고 事實즉 甲辰 秋 與金應煥爲名人으로 商業次로 同往通川郡矣러니 藥寺 僧白墟가 要賣該郡所在 畓 十七斗落 故로 該僧의 懇請을 因야 賣畓文記執受고 上送該僧於矣家야 使矣子로야금 三百兩을 注給矣터니 金應煥이 來於矣身曰 該僧畓...재판기관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 판결일자3114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철원읍 제26회 읍회 회의록(鐵原邑第二十六回邑會會議錄) [일제강점기 '지방의회 회의록'의 수집·번역·해제·DB화 | 동국대학교]읍면기채인가철 철원읍시장설치비기채의건(도면회의록첨부) 국가기록원 철원 철원읍 제26회 읍회 회의록(鐵原邑第二十六回邑會會議錄) 회의록 1936년 07월 06일 佐佐木三郞(철원읍장) 柳榮益(1번), 金應煥(2번), 中下岩太郞(3번), 上坂宇...대표표제어철원읍 제26회 읍회 회의록(鐵原邑第二十六回邑會會議錄) | 건명철원읍시장설치비기채의건(도면회의록첨부) | 회의년월1936년 07월 | 회의일06일 | 키워드지방의회, 회의록
- 8 第八統統首府案付司僉寺奴甘浦分防朴世卜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率女禾音進年肆辛酉一口加現辛酉戶口相准 第五戶府案付司僉寺奴水營上道分防-----{年}參拾參壬辰本蔚山父私奴夢守祖汗曾祖玉先外祖通政大夫金內隱石本蔚山母寺婢今德 妻慶州案付司宰監寺婢戒玉年參拾柒戊午本慶州父寺奴片生祖承立曾祖不知外祖寺奴金應還本慶州母寺婢者音德率女玉 每年拾貳癸丑率女玉代年拾乙...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穴巖里
신문·잡지(3)
- 金應煥(六合고무工業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應煥(六合고무工業所) 서울 金應煥 六合고무工業所 新堂町 375 복장품 - 고무신 제조 129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應煥(六合고무工業所)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고무신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륙품리의국 비셔원을임다七月十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륙품리의국 비셔원을임다七月十五日 령관 황우영 외부참셔관 임다 以上七月廿四日 경무리용익으로 림시 위원감독을 명고 법부쥬 김응환에 민승욱임다以上七月卅一日 동명왕릉참봉 규용에 구품 쥬병희 임고 법부쥬 민승욱 에 리환규임하고 군부쥬 한동필 ...게재일1902년 8월 6일 | 기사분류관보
- 조선인민보_1950_0912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병덕 유덕열 천금대 김창규 신용호 김문주 강현 박명수 정지환 하필환 황한봉 김병주 조병선 강경선 김성호 리영찬 리용석 서춘식 김응환 정지성 류창화 한순영 곽근성 리연수 최정순 정도화 조규찬 하현필 차남룡 남경자 김원섭 유정자 윤영현 신진주 김보영 리승하 리성우 양진 변...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912_02
주제어사전(5)
-
김응환 / 金應煥 [종교·철학/유학]
1774년(영조 50)∼1826년(순조 26). 조선 후기 효자. 문정공 하서 김인후의 후손이다. 부친은 김백휴이다. 부모 곁을 떠날까 두려워 과거시험 공부에 전념하지 않고, 부모 곁에서도 할 수 있는 경서 공부에만 힘을 썼다. 그러나 마음이 맞는 벗들과는 산수를 찾
-
국헌유고 / 菊軒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사보의 시·서(書)·제문·유사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그의 현손인 목연(睦淵)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으며,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권두에 김응환(金應煥)의 서문과 권말에 종(從) 6대손 중환(中煥)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
맹암실기 / 孟巖實記 [종교·철학/유학]
맹암 김영렬의 수적과 사적을 모아 엮은 책이다. 석인본. 발문은 3건으로 1805년 후손 김세약과 정미년 족후손 김응환, 을유년 변시연이 각각 지었다. 적마년에 쓴 족후손 김정모의 서문과, 처음 문집을 간행했을 당시 1805년에 책머리에 올랐던 문집서문으로 울산김씨
-
소암실기 / 小巖實記 [종교·철학/유학]
김준용의 수적과 사적을 모아 엮은 책이다. 석인본. 2권 1책. 을사(1965)년 안룡호, 병오(1966)년 두 아들 김화락, 김봉락의 발문이 있다. 김응환의 서문이 있다. 연기는 ‘시세상원절’이라고만 했는데, ‘이 해’는 병오(1966)년이다. 권1에는 목록과 시
-
송세호 / 宋世鎬 [종교·철학/유학]
거경궁리하고 배운 바를 실천하는 방도를 들었다. 1945년 12월 1일에 죽었다. 문집이 남아 있는데 동주 김진수가 유사를 찬하고 현사 김응환이 행장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