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응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7)
사전(46)
- 김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7(선조 20)∼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효징(孝徵), 호는 학사(鶴沙) 또는 아헌(啞軒). 안동 출신. 할아버지는 장례원사의 농(農)이고, 아버지는 산음현감 대현(大賢)이며, 어...이칭별칭 효징(孝徵)| 학사(鶴沙), 아헌(啞軒)
- 이이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직장 의준(義遵)이며, 어머니는 풍산김씨(豊山金氏)로 현감 대현(大賢)의 딸이다. 김응조(金應祖)의 문인이다. 1632년(인조 10) 추천으로 창릉참봉(昌陵參奉)이 되고, 1635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바로 성균관전적에 제수되었다. 이어서 공...이칭별칭 수옹(壽翁)| 개곡(開谷)
- 권창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가 뛰어났고 6세 때부터 학업에 집념하였다. 김응조(金應祖)의 문하에서 수학, 1635년(인조 13)에는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다. 다음해 병자호란이 일어나 남한산성이 포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동지들과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울 목적으로 청풍까지 진출하였으나,...
- 이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순리대로 지냄. 순탄하게 지냄. 弟奄奄一線未斷 回首少年事 每爲之作○ 雖欲理遣而不得 奈何, 김응조(金應祖), 44-4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의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영주시 장수면 성곡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64년(현종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개립(李介立)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99년(정조 23)에 김응조(金應祖)를 추가배향하여
고서·고문서(60)
- 1662년 김응조(金應祖)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662년 4월 7일에 김응조가 벗 신홍망에게 술병과 함께 보낸 안부편지이다. 김응조는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물으며 예전에 해임하고 돌아갈 때 상을 당한 나머지 전별을 못했는데 이제야 한 병의 술을 부쳐 드린다고 하고 있다. 그리고 직접 만나지 못하는 사실을 안타까워...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643년 학사(鶴沙) 김응조(金應祖)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7세기 중반 김응조(金應祖) 변무록(辨誣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역사-역사기록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역사기록
- 35 第三十五統統首김應祚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79년_내상면(內廂面) 1879년 내상면(內廂面) 第四北洞里 35 第三十五統統首김應祚 第一戶 幼學김應祚年貳拾玖辛亥本김海父學生國哲祖學生振泓曾 祖學生明德外祖學生白東俊本慶州妻김氏年參拾參丁未本慶州 父幼學應奎祖學生廷昊曾祖學生順興外祖學生徐景魯本大邱 婢以心年...연도_면이름1879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四北洞里
- 內需司 文績類_제2책 513.乾隆貳拾年-丙子-七月初七日金應祖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1480 奎 19312 內需司 文績類 제2책 02-513 513.乾隆貳拾年-丙子-七月初七日金應祖處明文 토지매매문기 1 48.2x42.9자료명內需司 文績類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2)
- 金應祚(-)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應祚(-) 원산 金應祚 - 海岸通6 - - 식료품잡화상 판매 8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應祚(-)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식료품잡화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츙쳥북도 관찰부쥬 강한규에 김현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츙쳥북도 관찰부쥬 강한규에 김현경으로 임고 비셔랑 박제황에 륙품최병쳘노임고 의릉참봉 강린원에 박긔병 으로 임고 소경원참봉 리익우에 김응조로 임하다게재일1901년 2월 11일 | 기사분류관보
- 봉샹부뎨됴 리해챵에 졍삼품쟝셕으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봉샹부뎨됴 리해챵에 졍삼품쟝셕으로 임고 의릉참봉 박긔병 에 김세동으로 임고 소경원 참봉 김응조에 오세쟝으로 임고 슝인뎐참봉 죠영셕에 박병하로 임고 종위 셔샹운 오병승으로 뎐화과 쥬를 임다게재일1901년 2월 12일 | 기사분류관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생명지광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생명지광 생명지광(生命之光) 미기재 김응조(金應祚) 경성부(京城府) 혜화정 22-80 조선_1938년 9월 13일 삭제 안녕 미기재 생명지광 -이유자구가 자포...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생명지광 | 출판물명생명지광(生命之光)
- 경부총슌 강뎡업신고에 박희슌으로 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봉 송경으로 임고 리해익으로 녕릉참봉을 임고 혜릉참봉 김필규에 한용교로 임고 구품김응조로 관샹소기슈를 임고 박우영 전호셕 안슈익 김치익으로 함경북도 변계총슌을 임다 부대신 리건하 법부대신 서리를 임고 참졍죠병식으로 법부대신 셔리를 명다게재일1901년 3월 16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9)
- 김응조;金應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1957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24면 ㅁ1. 동문회회원록;ㅁ18) 제17회 13명(1923) 김응조;金應祚 황해 장연군 백령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응조;金應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865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13면 김응조;金應祚 경북 영일군 長■面 良月里 2통 6호 제5회 4249년 3월 2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응조;金應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1007 남한 경북 대구신명여학교 2-18 信明제1호 1934―03―20 71면 김응조;金應祚 안동순 서후면 명동 383;경남 진해 웅천 14회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신명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응조;金應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7902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30면 김응조;金應祚 황해도 장연군 백익면 진촌 917 제17회 1923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응조;金應祚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065 중국 新京 육군군관학교 (만주국)政府公報 1935―05―16 190면 김응조;金應祚학교소재지역新京 | 학교명육군군관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2)
-
김응조 / 金應祖 [종교·철학/유학]
1587(선조 20)∼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장례원사의 농, 아버지는 산음현감 대현, 어머니는 수의부위 찬금의 딸이다. 17세 때 유성룡을 사사했으며, 1613년(광해군 5)에 생원시에 합격하였다. 그러나 당시 광해군의 어지러운 정치를 보
-
구촌집 / 龜村集 [종교·철학/유학]
행하였다. 권두에 김응조(金應祖)의 서(序)가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의 머리에 저자의 행장 1편과 묘갈명 1편이 있는 것이 다른 문집 체재와 다르다. 시 194수, 권2는 부 6편, 전 1편, 서(序) 1편, 변 3편, 설 2편, 논 4편, 명 1편, 책 4편
-
도은집 / 陶隱集 [종교·철학/유학]
조‧학사 김응조 등이 쓴 만사와 김응조가 1643년(인조 21)에 쓴 제문이 실려 있고, 저자의 행적과 관련된 「행적」‧「실록」‧「묘갈명」‧「천유록」‧「사우록」‧「도촌문견록」‧「영주지」 등이 있다.
-
이이송 / 李爾松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5(현종 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희성 증손, 할아버지는 득춘, 아버지는 의준, 어머니는 김대현의 딸이다. 김응조의 문인이다. 1635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성균관전적, 예빈시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개곡문집』 4권이 있다.
-
겸암집 / 謙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유운룡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43년에 간행한 시문집. 8권 4책. 목판본. 1743년(영조 19) 그의 6대손 유영민(柳永民)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정종로(鄭宗魯)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응조(金應祖)와 후손 유원지(柳元之)의 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