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응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
사전(32)
- 김응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김응남 1546(명종 1)-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 있다.이칭별칭 중숙(重叔)| 두암(斗巖)| 충정(忠靖)|원성부원군(原城府院君)
- 김응남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문신으로, 명나라에 가서 구원병을 청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뒤에 김응남(金應南)ㆍ정곤수(鄭崑壽) 등의 천거로 당진현감에 임명되었으나, 인동주민들의 요청에 의하여 인동현감으로 부임하였으며, 선정을 베풀어 크게 명망이 있었다. 체찰사 이원익(李元翼)이 천생산성(天生山城)을 쌓을 때, 그 역사(役事)를 책임맡아 수개월 만에 준공을...이칭별칭 경임(景任)| 남계(南溪)
- 이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병과로 등제하였다. 그 뒤 봉교, 호조ㆍ예조ㆍ공조의 좌랑, 직강ㆍ사성ㆍ경상도사ㆍ종부시첨정ㆍ사옹원정ㆍ예빈시정ㆍ통천군수ㆍ철원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581년(선조 14) 평산부사 재임 중에 황해도구황어사(黃海道救荒御史) 김응남(金應南)으로부터 사무에 태만하다 하여 탄핵을...이칭별칭 정서(廷瑞)
- 이필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銑)의 딸이다. 영의정을 지낸 충정공(忠正公) 참찬 필영(必榮)의 형이다. [내용] 1594년(선조 27) 별시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고, 1596년(선조 29) 주서(注書)를 거쳐, 정언에 올랐다가 이듬해 헌납에 제수되었으나, 좌의정 김응남...이칭별칭 이태(而泰)
고서·고문서(85)
- 김응남(金應南)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559 B032559 김응남 金應南 인물 濟州邑誌3 [濟州郡] 四界 名宦 ... 401]南致勤(爲牧使修治軍器捕倭船二艘) 金秀文(爲牧使倭賊圍城三日乃退秀文率輕銳追擊斬獲又捕倭船九艘) 郭屹(詳運籌堂記) 金泰廷(詳鄕校移創記) 金應南(爲牧使廉而受民) 金緻(爲判官分久番革衆弊...출처전거濟州邑誌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응남(金應南)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560 B032560 김응남 金應南 인물 耽羅志 濟州 建置沿革 名宦 ... 401]南致勤(爲牧使修治軍器捕倭船二艘) 金秀文(爲牧使倭賊圍城三日乃退秀文率輕銳追擊斬獲又捕倭船九艘) 郭屹(詳運籌堂記) 金泰廷(詳鄕校移創記) 金應南(爲牧使廉而愛民) 金緻(爲判官分六番革衆弊軍民便之...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수동‧김응남‧심수경 묘 치제문(金壽童金應南沈守慶墓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京畿道庄土文績_제26책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128. 同日證李貴仁金應男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1637 奎 19299 京畿道庄土文績 제26책 : 京畿道楊州郡所在庄土金憲周提出圖書文績類 26-128 128. 同日證李貴仁金應男 초사 1 127-130 25x25.2 한지, 관인, 당상의 押 1장, 25x25.2cm(가...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8597 B058597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21年 9月 12日_029 ○洪鳳漢, 以義禁府言啓曰, 鞫廳罪人洪禹集屛裔, 李德濟·尹光周島配, 金應南·鄭履祚·韓命鼎等投畀事, 命下矣。 洪禹集 全羅道光州牧定配, 尹光周 扶安縣蝟島島配, 韓命鼎 咸平縣投畀, 李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조선인민군_1950_0704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제면 대좌리 농민 김응남씨는 단 세 가족이서 논밭 2,000평을 소작하여 살아왔는데 이앙을 겨우 끝마치고 자기들 입에 들어올 것은 얼마 되지 않으리라고 번연히 알면서도 그래도 농민인지라 할 수 없이 가꾸어서 채소는 푸릇푸릇해지기 시작했는데 지난 27일 갑자기 『국방군』...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04_03 | 책임주필오기찬
주제어사전(2)
-
김응남 / 金應南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8(선조 31). 조선 중기의 문신. 충청도병마절도사 말손의 증손, 할아버지는 증 좌찬성 안우, 아버지는 형, 어머니는 김덕유의 딸이다. 1567년 생원시에 합격, 1568년 증광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예문관·홍문관의 정자를 역임, 사가독서를
-
전식 / 全湜 [종교·철학/유학]
1563(명종 18)∼1642(인조20). 조선 중기의 문신. 팽조의 증손, 할아버지는 혼, 아버지는 여림, 어머니는 월성이씨이다. 유성룡·장현광의 문인이다. 1589년(선조 22) 사마시에 합격, 김응남의 추천으로 연원도찰방이 되었다. 1603년 식년 문과에 병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