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윤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8)
사전(63)
- 김윤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월 3일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한결金允經全集(연세대학교출판부, 1985) 김윤경 1894(고종 31)-1969. 국어학자, 교육자. 동아일보사 제공.이칭별칭 한결
- 나라말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김윤경(金允經)이 지은 중‧고등학교용 국어문법교과서. [서지적 사항] A5판. 본문 224면. 1948년 서울 동명사에서 출간되었다. [내용] 김윤경은 분석적인 언어관을 가지고 주시경(周時經)의 문법체계를 계승, 발전시켰는...
- 학지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민태원(閔泰瑗)ㆍ이성해(李星海)ㆍ홍순혁(洪淳赫)ㆍ정인섭(鄭寅燮)ㆍ홍병삼(洪秉三)ㆍ김윤경(金允經)ㆍ이헌구(李軒求) 등이다.
- 문맹타파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전개되었다. 당시 우리 나라 2천만 인구 가운데 문맹자는 80%에 달하였다. 동아일보사는 제1회 브나로드운동과 함께 조선어학회(朝鮮語學會)를 중심으로 한글강습회를 개최하였다. 이 강습회에 참가한 대표적인 학자들은 이윤재(李允宰)‧김윤경(金允經)‧이병기...
- 음성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20세기에 이르러 주시경은 ≪말의 소리≫(1914)란 책에서 우리말의 음성을 기술하였고, 이극로(李克魯)‧최현배(崔鉉培)‧김윤경(金允經) 등도 우리말 음성학의 기초를 다졌다. 그러나 현대적인 의미의 음성학은 조선음성학회가 창립된 193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
단행본(1)
- 실심실학과 국학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 조선대학교]저자 : 김윤경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01220본서는 근대 격변기 속에서 속일 수 없는 자기 본심을 자각하고 ‘실현’해 나간 양명학 수용자들의 독자적인 심학을 ’실심실학’으로 규명하고 그것이 역사적 시공간을 관통하여 국학으로 귀결된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실심실학자들의 중심에는 정제두 이래 양명학을 주체적으로 수용...
고서·고문서(36)
- 忠淸道庄土文績_제25책 : 忠淸南道結城鴻山靑陽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221. 乾隆二十一年-丙子-十月十八日金允京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11130 奎 19300 忠淸道庄土文績 제25책 : 忠淸南道結城鴻山靑陽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25-221 221. 乾隆二十一年-丙子-十月十八日金允京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45.1x39.5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5....자료명忠淸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龍洞宮(1906)_전라도 고부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30332 19301_31_2_1678 奎19301_31_2 龍洞宮(1906)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41 2 41결 2두락 中里 김윤경(中里金允京)자료번호19301_31_2_1678 [奎19301_3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龍洞宮(1906)_전라도 고부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30333 19301_31_2_1679 奎19301_31_2 龍洞宮(1906)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39 1 39결 1두락 中里 김윤경(中里金允京)자료번호19301_31_2_1679 [奎19301_3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龍洞宮(1906)_전라도 고부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30334 19301_31_2_1680 奎19301_31_2 龍洞宮(1906)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117 4 117결 4두락 中里 김윤경(中里金允京)...자료번호19301_31_2_1680 [奎19301_3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龍洞宮(1906)_전라도 고부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30335 19301_31_2_1681 奎19301_31_2 龍洞宮(1906)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전라도 고부군 德林面 39 1 39결 1두락 中里 김윤경(中里金允京)자료번호19301_31_2_1681 [奎19301_31_2]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12)
- 조선후기 소론학계의 지각논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경, 게재일 : 201451593 김윤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양명학회 2014 조선후기 소론학계의 지각논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와 변용-동학 증산교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경, 게재일 : 201352456 김윤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교문화학회 2013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전개와 변용-동학 증산교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경, 게재일 : 201252457 김윤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조선 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 조선후기 관제신앙, 선음즐교, 무상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조선 전기 도가사상 연구 - 「心氣理篇」과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도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경, 게재일 : 201456003 김윤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조선 전기 도가사상 연구 - 「心氣理篇」과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도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어휘를 통한 패션 디자인 발상 전개 과정의 특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윤경, 게재일 : 201456058 김윤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복식학회 2014 어휘를 통한 패션 디자인 발상 전개 과정의 특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68)
- 연산군 거 김윤경등이 부에 호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연산군 거 김윤경등이 부에 호소기를 의등이 종두를 약간 시슐다가 관립 종두위원이 나려온후에 즉시 폐지엿더니 본군 종두위원 리셩등이 젼일 종두 너흔일을 집탈고 속젼 오량을 늑징랴 기에 거리지 엿더니 어덧케 무소엿던지 본도관찰부 훈령을 본군...게재일1900년 5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청년_1931_11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섭, 이용설, 홍병선, 김윤경, 박원혁, 채필근, 김준옥, 백낙준, 한석진, 김길창, 이대위 2 신년에 바라기는 최승만 9 희생의 진의-신미년을 마지면서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청년_1931_11_0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7 추야의 정감 홍병선 8 사직공원 밤 무호생 8 중세철학과 기독교 (5) 김윤경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박문_1939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평가와 여인 한설야 14 탐정소설 수감 김래성 16 흥청의 어원 김윤경 18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 청년_1928_08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남선 4 단결론 (2) 이대위 16 위대한 유대인 (1) 김윤경 23 조선과 기독교를 구할...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8
멀티미디어(26)
- 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 실심과 실학_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_1차시 Y2L08W03V01_김윤경.mp4 Y2L08W03V01_김윤경_KR.vtt Y2L08W03V01_김윤경_CN.vtt Y2L08W03V01_김윤경_EN.vtt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 실심과 실학_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_2차시 Y2L08W03V02_김윤경.mp4 Y2L08W03V02_김윤경_KR.vtt Y2L08W03V02_김윤경_CN.vtt Y2L08W03V02_김윤경_EN.vtt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 실심과 실학_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_3차시 Y2L08W03V03_김윤경.mp4 Y2L08W03V03_김윤경_KR.vtt Y2L08W03V03_김윤경_CN.vtt Y2L08W03V03_김윤경_EN.vtt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 실심과 실학_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_4차시 Y2L08W03V04_김윤경.mp4 Y2L08W03V04_김윤경_KR.vtt Y2L08W03V04_김윤경_CN.vtt Y2L08W03V04_김윤경_EN.vtt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 실심과 실학_ 강화 양명학과 근대의 도전_3주차_5차시 Y2L08W03V05_김윤경.mp4 Y2L08W03V05_김윤경_KR.vtt Y2L08W03V05_김윤경_CN.vtt Y2L08W03V05_김윤경_EN.vtt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기타자료(12)
- 김윤경;金允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586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71면 1. 3. 각 과별 졸업생;4) 제4회 졸업생 (1922년 3월 졸업);(1) 문과 김윤경;金允經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윤경;金允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9504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74면 1. 3. 각 과별 졸업생;4) 제4회 졸업생 (1922년 3월 졸업);(1) 문과 김윤경;金允經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윤경;金允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224 남한 충남 천안농업고등학교 천안농업고등학교 졸업대장(1932~1945) n.r. 22면 8. 1939년도 졸업생(3년제) 김윤경;金允卿 충남 천안군 1940.3.3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천안농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윤경;金允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960 일본 東京 立敎大學 立敎大學一覽(1934년 5월) 1934―05―20 70면 김윤경;金允經 1929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立敎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윤경;金允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1015 일본 東京 立敎學院 회원명부 1930―10―25 191면 김윤경;金允經 경성부 누하동 278 1929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立敎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우리철학, 어떻게 할 것인가? - 근대전환기 한국철학의 도전과 응전 -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철승 | 조선대학교 | 2015 | 국내 | 광주
-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박종천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6)
-
김윤경 / 金允經 [교육]
현대의 국어학자·교육자(1894∼1969). 1921년 조선어연구회와 1922년 수양동맹회의 창립회원이되었는데, 1937년 6월 수양동우회사건으로 종로경찰서에 검거되었고, 1938년 1월에 《조선문자급어학사》가 출판되었다. 1948년에는《나라말본》·《중등말본》을 펴냈
-
나라말본 / [언어/언어/문자]
김윤경(金允經)이 지은 중·고등학교용 국어문법교과서. A5판. 본문 224면. 김윤경은 분석적인 언어관을 가지고 주시경(周時經)의 문법체계를 계승, 발전시켰는데, 1926년 ≪조선말본≫, 1946년 ≪한글말본≫, 1948년 ≪나라말본≫을 지어내었다. 그 가운데 ≪나라
-
동문자모분해 / 東文字母分解 [언어/언어/문자]
1860년대에 강위(姜瑋)가 지은 정음(正音) 연구서. 널리 알려진 것은 김윤경(金允經)의 ≪조선문자급어학사 朝鮮文字及語學史≫(1938)에 수록된 ≪동문자모분해≫(1869)이며, 근래에 알려진 것은 이능화(李能和)의 ≪국문연구안 國文硏究案≫(1907)에 등사된 ≪의정
-
조선문자급어학사 / 朝鮮文字及語學史 [언어/언어/문자]
김윤경(金允經)이 지은 국어학사. 1938년 1월 조선기념도서출판관(朝鮮紀念圖書出版館)에서 간행되었다. 2판(1938.2.)·3판(震學出版協會, 1946)·4판(東國文化社, 1954)까지 나왔는데, 4판에는 가능한 한 보충이 되어 있다. 내용은 크게 서론과 본론으로
-
중등말본 / [언어/언어/문자]
김윤경(金允經, 1894∼1969)이 중등학교용으로 지은 문법 교과서. 『나라말본』에서 내용을 추려 뽑았고 체재도 『나라말본』과 같이 ‘소리갈, 씨갈, 월갈’로 되어 있다. 소개의 말에서 수업 시간이 남으면 『나라말본』을 참고하여 내용을 보충할 것을 권하고 항목 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