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육” 에 대한 검색결과 1,0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00)

사전(39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燃藜室記述 龍洲遺稿 潛谷先生年譜(成均館大學校大東文化硏究院, 潛谷全集, 1975) 李氏朝鮮의 後期活字의 改鑄와 潛谷先生三代의 貢獻(金斗鍾, 白樂濬博士還甲紀念國學論叢, 1955) 대동법 시행...
    이칭별칭 백후(伯厚)| 잠곡(潛谷), 회정당(晦靜堂)| 문정(文貞)
  • TD_L14_D_4123 인물 孝子, 行喪, 母沒, 廬墓三年, 架閣庫錄事 醴泉 D_18_01_103 대동운부군옥 18권 1장 10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10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대동법시행기념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평택시 소사동 에 있는 비. [개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40호. 이 비는 1659년(효종 10)에 ()이 충청감사로 있을 때 삼남지방에 대동법을 실시하면서 백성들에게 균역(均役)하게...
    이칭별칭김육대동균역만세불망비(金堉大同均役萬世不忘碑)|호서선혜비(湖西宣惠碑) | 연계항목대동법시행기념비(大同法施行記念碑)
  • 잠곡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개설] 11권 9책. 활자본.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 그 편찬자나 간행연대를 알 수 없다. 18세기에 저자의 문중에서 편집, 간행하지 않았나 추정될 뿐이다. [내용] 권1ㆍ2에 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하대의 당나라 유학생‧ 서예가. [개설] 신분은 진골이었으며, 관등은 대아찬(大阿飡)에 이르렀다. ≪삼국사기≫ 애장왕 10년조에 의하면 “7월에 대아찬 진을 당에 보내어 가서 사은하고 겸하여 방물(方物)을 올렸다...

고서·고문서(482)

  • 小抄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
    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十五○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熱河日記 小抄 小抄 吾東醫方未博, 藥料不廣, 率皆資之中國, 常患非眞. 以未博之醫, 命非眞之藥, 宜其病之不效也. 余在漠北, 問大理卿尹 卿尹 : 저본에는 ‘尹卿’으로 되어 있으나 ‘잡록下’, ‘열하貞’...
    대표표제어金蓼小抄 | 목차熱河日記
  • 묘 치제문(墓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01년_농소면(農所面) 1801년 농소면(農所面) 第八水泊里 4 第四統統首萬 第一戶 業武萬年參拾肆戊子本金海父業武甲龍祖(折衡)致康曾祖進雄外祖朴世柱本密 陽妻辛姓年參拾肆戊子本靈山父老職嘉善大夫中樞府事普澤祖汝台曾祖勵節校尉守 訓院僉正命鎔外祖李必大本慶...
    연도_면이름1801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八水泊里
  • 4 第四統統首月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하부내면(下府內面) 1774년 하부내면(下府內面) 第七峙津里 4 第四統統首月男 第四統一戶 牧子軍月男年肆拾參壬子本金海父旀應哲祖旀應同曾祖旀應發外祖李九牙同本慶州妻良女金召史年 參拾伍庚申本慶州父自隱老未祖莫迺曾祖愛玉外祖崔命先本月城率女召史年拾陸...
    연도_면이름1774년_하부내면(下府內面) | 면이름하부내면(下府內面) | 마을이름第七峙津里
  • 1624년 잠곡(潛谷)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구술자료(1)

  • 06_299 경남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창원시_치나 칭칭 치나 칭칭 파연곡.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신감리 (옛 의창군 내서읍 신감리) 2004.11.17 素04-11-17②B (메): 박치동 (받): 섭 박치동(1933년생.남.토민),
    녹음지역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신감리 (옛 의창군 내서읍 신감리) | 녹음날짜2004.11.1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기초학문(1)

  • 의 [해동명신록],[국조명신록]편찬과 사상적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우정임, 게재일 : 2016
    65067 우정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문화연구원 2016 의 [해동명신록],[국조명신록]편찬과 사상적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62)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俊(相信精肉店) 서울 俊 相信精肉店 武橋町 62 식료품 - 수육(獸肉) 소매 39.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六俊(相信精肉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수육(獸肉)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마로쓰목필과쳘필 如 意 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鍍金製 毛筆 鋼筆 兩用 壹副金七十五錢 鍍尼結爾製筒附 同 毛筆專用 壹副 金七十錢 同 製筆筒附 同 鋼筆專用壹副 十五錢 同 製鋼筆筒附 鍍尼結爾製 毛筆 鋼筆 兩用 壹副金七十二錢 同 製筆筒附 同 毛筆專用壹副十七錢 同 製筆筒附 同 鋼筆專用壹副十二錢 同 製鋼筆筒附 最新...
    게재일1907년 6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마로쓰목필과쳘필 如 意 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鍍金製 毛筆 鋼筆 兩用 壹副金七十五錢 鍍尼結爾製筒附 同 毛筆專用 壹副 金七十錢 同 製筆筒附 同 鋼筆專用壹副 十五錢 同 製鋼筆筒附 鍍尼結爾製 毛筆 鋼筆 兩用 壹副金七十二錢 同 製筆筒附 同 毛筆專用壹副十七錢 同 製筆筒附 同 鋼筆專用壹副十二錢 同 製鋼筆筒附 最新...
    게재일1907년 7월 2일 | 기사분류광고
  • 마로쓰목필과쳘필 如 意 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鍍金製 毛筆 鋼筆 兩用 壹副金七十五錢 鍍尼結爾製筒附 同 毛筆專用 壹副 金七十錢 同 製筆筒附 同 鋼筆專用壹副 十五錢 同 製鋼筆筒附 鍍尼結爾製 毛筆 鋼筆 兩用 壹副金七十二錢 同 製筆筒附 同 毛筆專用壹副十七錢 同 製筆筒附 同 鋼筆專用壹副十二錢 同 製鋼筆筒附 最新...
    게재일1907년 6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마로쓰목필과쳘필 如 意 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鍍金製 毛筆 鋼筆 兩用 壹副金七十五錢 鍍尼結爾製筒附 同 毛筆專用 壹副 金七十錢 同 製筆筒附 同 鋼筆專用壹副 十五錢 同 製鋼筆筒附 鍍尼結爾製 毛筆 鋼筆 兩用 壹副金七十二錢 同 製筆筒附 同 毛筆專用壹副十七錢 同 製筆筒附 同 鋼筆專用壹副十二錢 同 製鋼筆筒附 最新...
    게재일1907년 6월 20일 | 기사분류광고

멀티미디어(50)

  • 의 경세론_6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6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6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6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 의 경세론_6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주차. 나말여초, 시대의 전환과 지식인 ‘3최’ 2주차. 고려시대 최승로의 시무 28조 3주차. 조선 전기 정도전의 경세론 4주차. 조선 전기 조광조의 경세론 5주차. 이이의 경세론 6주차. 의 경세론 7주차. 송시열의 경세론 8주차
    강좌제목한국을 움직인 경세가들 | 강의자김윤지, 이정철, 조형열

기타자료(7)

  • 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8170 남한 경성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1-45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진명>> 1934 142면 ㅁ1. 회원명부(1934년 5월 현재);ㅁ24) 제22회(1932년 3월 19일) 95명 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렬;烈;금산문충;金山文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6851 남한 충남 공주공립중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87-1면 렬;烈;금산문충;金山文忠 제18회 1943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라가 당에 진을 사은사로 보내어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당에 진을 사은사로 보내어 방물을 바치다 교류담당 809년(己丑/신라 애장왕 10, 헌덕왕 1/발해 定王 永德 1/唐 元和 4/日本 大同 4) ...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김육진을 사은사로 보내어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09년(己丑/신라 애장왕 10, 헌덕왕 1/발해 定王 永德 1/唐 元和 4/日本 大同 4)
  • 신라가 당에 진을 사은사로 보내어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신라가 당에 진을 사은사로 보내어 방물을 바치다 교역물품 809년(己丑/신라 애장왕 10, 헌덕왕 1/발해 定王 永德 1/唐 元和 4/日本 大同 4) ...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김육진을 사은사로 보내어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09년(己丑/신라 애장왕 10, 헌덕왕 1/발해 定王 永德 1/唐 元和 4/日本 大同 4)

주제어사전(10)

  • / [종교·철학/유학]

    1580(선조 13)∼1658(효종 9). 조선 중기의 문신·실학자. 기묘팔현의 한 사람인 식 4대손, 할아버지는 군자감판관 비, 아버지는 참봉 흥우, 어머니는 현감 조희맹의 딸이다. 정언, 안변도호부사, 형조참의, 병조참판, 개성부유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술로는 그

  • 종덕신편언해 / 種德新編諺解 [언어/언어/문자]

    ()이 편저한 『종덕신편』을 한글로 번역한 책. 『종덕신편』은 소학을 읽고 덕을 함양시키기 위하여 그 요령을 경전 중에서 뽑아 펴낸 책으로 그 간기가 없기 때문에 언제 간행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으나 생존시에는 전혀 간행된 일이 없는 듯하다. 비록,

  • 미원서원 / 迷源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 장석마을에 있는 서원.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와 김식(金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 1694년(숙종 20)남언경(南彦經), 1734년(영조 10)이제신

  • 집구시 / 集句詩 [문학/한문학]

    나라에는 왕석(王石)·이정(李楨) 등이 집구시를 남겼다. 우리 나라에서 집구시를 지은 사람들은 고려의 강일용(康日用)·임유정(林惟正)·최집균(崔集均)과, 조선의 김시습(金時習)·()·전극항(全克恒)·문성준(文聲駿) 등이 있다.

  • 보양관 / 輔養官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세자 혹은 세손의 교육을 담당한 보양청의 관직. 세자보양관은 대개 3인으로 2품 이상의 고관이 임명되었으며, 그 직책의 중요성 때문에 천거문제를 둘러싸고 당파간의 분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은 정2품직으로 세손의 보양관이 되었고, 인종 초기 소현세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