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원행” 에 대한 검색결과 1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

사전(83)

  • 강정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니는 전주최씨(全州崔氏)로 진망(震望)의 딸이다. ()의 문인으로서 17, 18세에 문예(文藝)가 성취되었고, 식견이 해박하였으며, 스승이 ‘심시(尋是)’라는 두 글자를 써주고 격려하였다. 성리학에 밝아 이에 대한 저술이 여러 편 있으며, 이직보(李直...
    이칭별칭 계승(季昇)| 전암(典庵)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론의 중심이 되었다. 김창협의 손자이자 이재의 문인인 은 자연히 낙론을 지지하는 대표적인 학자로 활동하였다. 그의 사상은 대체로 김창협의 학설을 답습하여 주리(主理)와 주기(主氣)의 절충적인 입장에 서 있었다. 그는 심(心)을 이(理)라고도 하지 않고 기(...
    이칭별칭 백춘(伯春)| 미호(渼湖), 운루(雲樓)| 문경(文敬)
  • 박윤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34(영조 10)∼1799(정조 23).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내용]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영숙(永叔), 호는 근재(近齋). 공주판관 사석(師錫)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해 책을 읽으면 한 번에 수십 줄씩 읽었다. ...
    이칭별칭 영숙(永叔)| 근재(近齋)| 문헌(文獻)
  • 권필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4(정조 8). 조선 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평(子平), 호는 오담(梧潭). 아버지는 수무(壽武)이다. ()ㆍ송명흠(宋明欽)의 문인이다. 나라를 위해서는 문무를 겸비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글...
    이칭별칭 자평(子平)| 오담(梧潭)
  • 남기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인수(仁?), 호는 설하거사(雪下居士). 도승지 노성(老星)의 5대손이다. ()의 문인이다. [내용] 영조 때 사마시에 합격한 노론계 학자로
    이칭별칭 인수(仁?)| 설하거사(雪下居士)

고서·고문서(31)

  • 주역대전 : 해제_25. ()의 『미상경의(渼上經義)-주역(周易)』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25. ()의 『미상경의(渼上經義)-주역(周易)』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字)는 백춘(伯春)이며, 호(號)는 미호(渼湖)‧운루(雲樓)이다. 아버지는 승지 제겸(濟謙)이고, 어머니는 밀양 박씨로 이조판서 권(權)의 딸이다.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28356 B028356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33年 10月 2日_018 ○以元景淳爲大司憲, 宋昌明爲大司諫, 爲執義, 南德老爲司諫, 李秀逸·李萬恢爲掌令, 申應顯爲持平, 李心源爲獻納, 李興宗爲正言, 鄭尙淳爲副應敎, 辛宅寧爲長興奉事, 鄭純儉爲金海府...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492 B035492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7年 2月 27日_034 ○以任震夏爲執義, 以李光瀷爲掌令, 以·朴師訥爲持平, 以黃柙爲獻納, 以金聖應爲判義禁, 以鄭恒齡爲咸平縣監, 以趙重稷爲廣州經歷, 以李顯重爲修撰, 以李亮天爲副修撰, 以柳億基爲松禾...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기타자료(1)

  • 김경배;金敬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1669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87면 김경배;金敬培;雄 부산 朝鮮運送株式會社 지점 제25회 193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문신(1702∼1772). 1722년(경종 2) 신임사화 때 본가의 할아버지 김창집이 노론 4대신으로 사사되자 벼슬할 뜻을 버리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어머니 배소에 따라가《맹자》 ·《율곡집》·《우암집》등을 탐독하였다. 1725년(영조 1) 본가의

  • 녹문명덕설 / 鹿門明德說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과 이재의 명덕에 관한 의견을 모아 엮은 유학서. 명덕설모음집. 이 책이 표제상으로는 임성주(任聖周)가 ‘명덕’에 관한 내용을 취합하여 해설한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 이 저술은 녹문(鹿門)의 창작이라기보다는 ‘명덕’에 관한 제가들의 의견을

  • 녹문경차 / 鹿門經箚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성리학자 임성주가 『대학』에 대해 풀이한 유학서. 성리서. 조선후기의 성리학자 녹문(鹿門) 임성주(任聖周: 1711~1788)가 『대학(大學)』에 대해 해설하고, 스승 의 시 「신기음(神氣吟)」에 대해 설명한 책이다.『대학』은 임성주의 경학연구서인 『

  • 박윤원 / 朴胤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34∼1799). 과 김지행의 문인이다. 1792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서연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벼슬하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하였다. 저서로《근재집》과 《근재예설》이 있다.

  • 박창원 / 朴昌元 [종교·철학/유학]

    1683년(숙종 9)∼1753년(영조 29). 조선 후기의 시인. 부친은 흥준, 어머니는 진성수의 딸이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외조부에게 수학하였고, 이어 이동언을 따라 학문을 익혔다. ·유척기 등 주로 노론계 인사들과 종유했다. 그의 문하에서는 시인 백윤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