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원봉” 에 대한 검색결과 2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9)

사전(10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59(공민왕 8).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356년 공민왕이 반원개혁운동을 벌여 기철(奇轍) 등을 죽이고 쌍성(雙城)을 수복할 때 부사로 출전하였다. 이듬해 서북면홍두군왜적방어지휘 겸 부만호(西北面紅頭軍倭賊防禦指揮兼副...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동상‧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등을 역임하였으나 1958년 11월 숙청당하였다. 『약산(若山) () 평전(評傳)』(김삼웅, 시대의창, 2008) 『대륙에 남긴 꿈: 의 항일역정과 삶』(한상도,...
    이칭별칭 약산(若山)|최림|이충|진국빈|천세덕
  • 남정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北京)으로 망명, 중국청년회 어학과에서 수학하다가 중퇴하고 장춘(長春)‧톈진(天津)‧상해 등지를 순력하였다. 장춘에서 의열단장 ()을 만난 뒤 1922년 6월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3년 의열단에서는 국내의 일제기관 파괴와 요인을 암살하고자, 서울...
    이칭별칭 오산(午山)|영득(寧得)|영득(英得)
  • 노을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졸업하고 중국의 국민혁명군(國民革命軍)으로 복무하면서 ()이 지휘하는 의열단(義烈團)의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1932년부터 중국 국민당 정부는 조선의 절대 독립과 만주국 탈환이라는 목표 아래 난징(南京)의 국민정부 군사위원회 간부 훈련반을 세웠다...
    이칭별칭병원(炳元)|노담(盧擔)|노흥국(盧興國)|노운룡(盧雲龍)|노월룡(盧月龍)|노일룡(盧一龍)
  • 윤세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 7년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출옥 후 중국으로 망명,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협력하며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 1937년 ()과 조선민족혁명당을 조직하여 중앙위원 겸 선전부장으로 활동하였고, 그해 과 조선의용대를 편성하여 항일전투를 전개하였...
    이칭별칭석정(石正)|소용(小用)|소룡(小龍)

고서·고문서(43)

  • 7 第七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35년_유포면(柳浦面) 1735년 유포면(柳浦面) 第三達洞里 7 第七統統首 第一戶兵營別旗直私奴年肆拾壹乙亥本蔚山父私奴蒙致祖良人石乙男曾祖正兵俠外祖驛奴金 叢明本金海主府居幼學李德獜壬子戶口相准 第二戶私奴金仁天年柒拾伍辛丑本金海主京居尹敢起父私奴...
    연도_면이름173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三達洞里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53년_유포면(柳浦面) 1753년 유포면(柳浦面) 第四達洞里 3 第三統統首 第一戶 免賤良人兵旗手年伍拾玖乙亥本金海父良人夢致祖良人石 乙男曾祖良人俠伊外祖良人金就明本慶州率母仁今今故妻良 女崔召史年肆拾陸戊子本慶州父良人陽己祖良人善己曾祖良人景 己外祖...
    연도_면이름1753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四達洞里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대현면(大峴面) 1792년 대현면(大峴面) 第十五臺巖里 5 第五統統首 第一新戶 硫磺軍年參拾玖甲戌本淸道父業武光希祖業武萬柱曾祖戒得外祖業武金孟竟本慶州妻陳 姓年參拾捌乙亥本陜川父聖道祖元迪曾祖永杰外祖魯元大本三嘉等己酉戶口相准 第二戶 氷庫直...
    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五臺巖里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774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南門內里 2 第二統統首 第一戶 驛吏年伍拾伍庚子本慶州父進輝祖貴贊曾祖夢南外祖金水生本金海妻許姓年肆拾參壬子本金海父德三 祖式曾祖進外祖朴弘日本鶴城率女召史年貳拾壹甲戌率女召史年拾參壬午辛卯戶...
    연도_면이름177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南門內里
  • 1 第一統統首硫黃軍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유포면(柳浦面) 1765년 유포면(柳浦面) 第四達洞里 1 第一統統首硫黃軍 第一統一戶 兵營硫黃軍年柒拾壹乙亥本金海父良人夢致祖正兵厚男曾祖正兵俠外祖正兵金就命本慶州 妻崔召史年伍拾捌戊子本慶州父正兵陽己祖正兵善中曾祖正兵正允外祖良人金汝立本月城率...
    연도_면이름176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四達洞里

신문·잡지(75)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新興商店 ) 수원 新興商店 新豐町 300 111 - - 면/견포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元奉(新興商店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면/견포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서울시 을지로 2가 199 여운형, 허헌, , 김성숙 민전 「민전」 의장단 여운형 허헌 김성숙 등 제씨는 12일 하오 2시경 허헌 씨 댁에서 비공식으로 회합하야 입법기구에 대한 대책 등을 장시간 토의하였다 한다.
    대표표제어제3특보_1946_1114_01 | 책임주필이윤종
  • 서울시 을지로 2가 199 이주하, 허헌, , 박문규, 김용무, 이인, 이천상 민전 위독상태에 있는 이주하 씨는 그간 식사를 일절 거부하여 생명이 근 명일간에 절명할 상태인데 14일 12시에는 민전의장단 허헌 씨 양 씨와 동 사무국...
    대표표제어제3특보_1946_1115_02 | 책임주필이윤종
  • 947년 7월 27일 248 서창훈(徐昌勳) 강원도 원산시 □산리 24번지 강원인민보사 평양 허헌, , 유영준 남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 공동위원회 (23일 평양발 북조선통신) 7월 20일부 “로력인민” 보도에 의하면 친일파의 파괴...
    대표표제어강원인민보_1947_0727_01 | 날짜1947년 7월 27일 | 책임주필서창훈(徐昌勳)
  • 5월 13일 43 개성 개성신문사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평양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국가검열상 해임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국가검...
    대표표제어개성신문_1952_0513_01 | 날짜1952년 5월 13일

기타자료(25)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01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1 153면 46. 졸업생;9) 1914년 졸업생 (38명) ; (원적)평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953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7 104면 38. 졸업생;9) 1914년 졸업생 (38명) ; (원적)평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8531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5 98면 37. 졸업생;9) 1914년 졸업생 (38명) ; (원적)평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6855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32 153면 9. 졸업생;9) 1914년 졸업생 (38명) ; (원적)평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9232 남한 경성 경성의학전문학교 1-14 경성의학전문학교일람 1926 104면 37. 졸업생;9) 1914년 졸업생 (38명) ; (원적)평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2)

  • /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독립운동가·정치가(1898∼?). 3·1운동 소식이 전해지자 그는 폭탄제조법을 습득하는 등 일제와의 무장투쟁노선을 분명히 하여 6년여에 걸쳐 의열단 단장으로 대규모암살계획 및 경찰서·동양척식주식회사 등에 대한 폭탄투척사건 등을 배후에서 지휘 조종하였고, 1

  • 김대지 / 金大池 [역사/근대사]

    1920년 곽재기·이성우· 등과 함께 상해 프랑스 조계지에 있는 그의 집으로부터 폭탄무기를 국내로 반입하였으며, 1923년 이후 이 이끈 의열단의 주요간부로 활약하였다. 1980년에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 한국국민당 / 韓國國民黨 [정치·법제/정치]

    의 조선민족혁명당에 대항하여 1935년 11월 김구 등이 중국에서 창당한 정당. 순수한 민족주의에 입각한 정당으로서, 좌익 계열의 조선민족혁명당과 무정부주의 계열의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에 대립하면서 임시정부의 여당 구실을 하였다. 한국독립당·조선혁명

  • 김병태 / 金餠泰 [역사/근대사]

    에서 ()과 함께 일제 관공서 폭파 및 일제 고위관리 암살 등을 목적으로하는 의열단(義烈團)을 조직하였으며, 1920년 9월 14일 국내로 잠입시킨 의열단원 박재혁(朴載赫)이 부산경찰서에 폭탄투척의거를 일으킨 사건에 관여하였다. 1931년 일제의 중국 침략으

  • 박건웅 / 朴健雄 [역사/근대사]

    동맹에 가입하여 활동하였으며, 황푸군관학교의 동기생인 ()이 이끄는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여 한일래(韓一來)와 함께 의열단의 대표로서, 1932년 10월 상해에서 열린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결성을 위한 협의회에 참석하였다. 그 자리에서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