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우항” 에 대한 검색결과 1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6)

사전(3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부터 장자(長子) 또는 완인(完人)이라 불렸다. 저서로 ≪갑봉집≫이 있다.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肅宗實錄 景宗實錄 國朝榜目 梅山集 기해기사계첩 / 초상
    이칭별칭 제중(濟仲)| 갑봉(甲峰), 좌은(坐隱)| 충정(忠靖)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휘릉 별검이다. 능역이 있어 능참봉인 권공과 합직하다가 능침을 침범하여 나무를 하려던 노총각을 벌하려다가 그의 사정을 듣고는 딱히 여겨 놓아보내게 한다. 몇 일 후 노총각이 다시 능에서 나무를 하다가 잡혀 오니 능참봉인 권공이 처벌하려다가 노총각의 딱한 사정을 듣고 처...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송익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원직(元直). 광순(光洵)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휘은(徽殷)이고, 아버지는 정명(正明)이며, 어머니는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의 딸이다. 경...
    이칭별칭 원직(元直)
  • 송정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燾)의 딸이다. 부인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의 딸이다. [내용] 생원ㆍ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699년(숙종 2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같은 해 이태좌(李台佐) 등이 천거했는데, 반임(伴任) 때에 정명회(正明會)에서 조의상(趙...
    이칭별칭 자화(子和)| 지와(止窩)
  • 엄호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임금의 엄한 명령. 況嚴.非常 未及勘律 金吾有故 脫出未易 尤用慮念, (), 5-14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95)

  • 18343 B018343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6年 閏7月 13日_020 ○以崔錫恒爲吏曹判書, 鄭栻爲副應敎, 李夏源爲副校理, 朴彙登爲司諫, 徐命遇爲持平, 尹聖時爲正言, 尹以道爲知義禁, 南致熏爲同義禁, 權尙游爲兵曹參判, 李晩成爲左尹, 爲左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347 B018347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6年 閏7月 13日_020 ○以崔錫恒爲吏曹判書, 鄭栻爲副應敎, 李夏源爲副校理, 朴彙登爲司諫, 徐命遇爲持平, 尹聖時爲正言, 尹以道爲知義禁, 南致熏爲同義禁, 權尙游爲兵曹參判, 李晩成爲左尹, 爲左參...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825 B07182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7月 14日_010 ○吏批啓曰, 東萊府使, 旣已改差, 所授加資, 依近例還收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467 B07246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7月 14日_010 ○吏批啓曰, 東萊府使, 旣已改差, 所授加資, 依近例還收之意, 敢啓。 傳曰, 知道。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1931 B07193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0年 7月 11日_018 ○以任相元爲都承旨, 吳道一爲副提學, 李喜茂爲兵曹佐郞, 羅重紀爲刑曹正郞, 李彦綱爲兵曹參知, 尹誠敎爲輔德, 爲東萊府使, 今加通政, 朴世堂爲大司諫, 吏曹判書柳尙運今加崇祿, 副...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문신. 진선 증손, 할아버지는 덕승, 아버지는 청송부사 홍경, 어머니는 김광혁의 딸이다. 1681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해, 정언, 수찬, 교리, 경상도관찰사, 이조참판, 대사성,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송정명 / 宋正明 [종교·철학/유학]

    1670(현종 11)∼1718(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시철 증손, 할아버지는 광순, 아버지는 징은이다. 어머니는 민도의 딸이다. 부인은 의 딸이다. 1699년(숙종 25)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좌랑, 이조정랑, 부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 갑봉집 / 甲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4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5책. 목활자본. 1904년 5대손 연식(連植)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후손 연식·종호(鍾頀)·현만(顯萬)과 이용원(李容元)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주태(柱泰)·현수(顯洙)의

  • 옥단춘전 / 玉丹春傳 [문학/고전산문]

    고 있다. 현재로서는 「옥단춘전」이 설화를 소설화하였다거나, 「춘향전」을 모방한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다만, 조선 후기에 몰락한 사대부에 대한 기생의 동정적인 사랑, 또는 몰락한 양반들의 암행어사 등 입신을 통한 불우한 처지의 보상 욕구 등의 모티프는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