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옥균” 에 대한 검색결과 4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9)

사전(217)

  • 김병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4(순조 14)∼?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목사 교근(喬根)의 아들이며, 대사헌 병규(炳奎)의 동생으로, 갑신정변의 주모자인 ()의 양부이다. 1846년 소과(小科)에 합격하였으나 문과급제를 못...
  • 선생유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광정리 에 있는 의 생가지(生家址). [내용] 충청남도 기념물 제13호. 조선 말기의 정치가‧개화운동가인 이 병태(炳台)의 장남으로 태어나 7세때 재종숙 병기(炳基...
    연계항목김옥균선생유허(김옥균선생유허)
  •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
    은 1851년 공주군 산내면(山內面) 상사리(上沙里)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호는 고균(古筠)ㆍ고우(古愚), 자는 백온(伯溫)이다. 생부는 김병태(金炳台)이고 생모는 은진 송(宋)씨이며, 7세 때 5촌 숙부인 김병기(金炳基)에게 입양되었다. 처...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여 민비정권을 재수립한 뒤에도 철수하지 않고 청군을 그대로 서울에 주둔시킨 채, 조선을 실질적으로 속방화(屬邦化)하기 위한 적극적인 간섭정책을 자행하였다. 청국은 등의 자주근대화정책이 그들의 속방화정책에 저항하는 것이며, 청국으로부터의 조선 독립을 추구하...
    이칭별칭 백온(伯溫)| 고균(古筠), 고우(古愚)| 충달(忠達)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오군란이 평정되고 일본과의 제물포조약이 체결된 후 일본에 사례사를 보낼 때 수행원으로 간다. 일본의 실정을 보고 돌아온 후 일본을 선망하여조선의 국정을 개혁하려는 뜻을 갖고 일본 공사 죽첨진일랑과 연락하여 혁명을 도모한다. 우정국 개청 식전을 계기로 거사하기를 꾀하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78)

기초학문(12)

  • 동아시아에 떠도는 서사 ― 연구의 서설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희환, 게재일 : 2008
    41094 이희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동아시아에 떠도는 서사 ― 연구의 서설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오사나이 가오루의 〈〉에 나타난 시대 재현과 의 위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상현, 게재일 : 2012
    28539 윤상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오사나이 가오루의 〈〉에 나타난 시대 재현과 의 위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동아시아에 떠도는 서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1719 한국연구재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동아시아에 떠도는 서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의 日本亡命과 暗殺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하상명유, 게재일 : 2003
    15050 하상명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충남대학교 대학원 : 국사학과 한국사전공 2003 의 日本亡命과 暗殺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日本의 亡命者 處遇策과 그 性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성민, 게재일 : 2002
    15178 한성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東國大學校 大學院 : 史學科 2002 日本의 亡命者 處遇策과 그 性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31)

  • 민세안재홍전집 : 雜感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705 1931 7 15 1 1 파인 雜感 잡지 삼천리 17호, 3권7호 70~71쪽 생활문 역사 간접자료 선집외 李舜臣, , 李商在, 李承薰 B19310715삼천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氏の書(松寺檢事正所藏) (고 씨 글씨(마츠노테라 검사 소장))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故金玉均氏の書(松寺檢事正所藏) | 기사명_한글고 김옥균씨 글씨(마츠노테라 검사 소장) | 게재일19160406 | 게재판 | 게재면03 | 게재단4-6
  • 警官非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무쳥에셔 일본셔 구셰부터 류학고나온 김영진씨로 춍슌을 셔임얏더니 김씨가 그 온바 학문이 경찰관리 격에 불합다야 퇴으로 졍부에 입송얏던셔임통쳡을 도로작환얏그김씨일본에망명얏다가피씨의 아달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9) 권리 의무론 12월5일 정치·법제 문헌 근대 1884년 저,조일문역 갑신일록(甲申日錄)(서울:建國大學校出版部, 1977)(pp.95-100) 저술 6 이 글은 이 갑신정변을 일으킬 당시에 대해 서술하는 글임. 12...
    대표표제어12월5일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김옥균저,조일문역 | 출처갑신일록(甲申日錄)(서울:建國大學校出版部, 1977)(pp.95-100) | 키워드갑신정변, 김옥균, 박영효, 조선 개화당, 청나라
  • 조선출판경찰월보 092호 삼천리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92호 삼천리 삼천리(三千里) 5월호 전1책 미기재 김동환(金東煥) 경기(京畿) 조선_1936년 4월 14일 불허가 치안 한국어 삼천리 이순신, 이상설, , 이상재...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92호 삼천리 | 출판물명삼천리(三千里) 5월호 전1책

멀티미디어(100)

  • 실패한 혁명가 _ 康有爲와 _7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46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실패한 혁명가 _ 康有爲와 _7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47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실패한 혁명가 _ 康有爲와 _7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48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실패한 혁명가 _ 康有爲와 _7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49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 실패한 혁명가 _ 康有爲와 _7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正祖 6주차. 왕조 최후 여인 : 西太后와 明成皇后 7주차. 실패한 혁명가 : 康有爲와 8주차. 왕조의 여광 아래 종교의 창시자: 洪秀全과 崔濟愚 9주차. 왕조에서 공화정으로 : 孫中山과 金九 50주차. 한중 양국의 대표적인 친일 지식인 : 周作人과 李光洙
    강좌제목한중 인물 비교사 | 강의자대림검, 황영원

기타자료(1)

  • 17. 대한제국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보고서) 1898년 4월 16일 서울 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알렉시에프, 조병직, 브라운, 박정양, 김홍륙, 이재순, , 홍종우, 조던, 이형 폐하 외국인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는 상...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8년 | 작성월일4월 16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18)

  • /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정치가·개화운동가(1851∼1894). 갑신정변을 주도하였다. 갑신정변에 투영된 의 사상 속에는 문벌의 폐지, 인민평등 등 근대사상을 기초로 하여 낡은 왕정사 그 자체에 어떤 궁극적 해답을 주려는 혁명적 의도가 들어 있었다. 저서로는《기화근사》·

  • 선생유허 / 先生遺墟 [역사/근대사]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광정리에 있는 의 생가지. 충청남도 기념물 제13호. 조선 말기의 정치가. 의 생가를 비롯하여 8, 9호의 민가가 작은 촌락을 이루고 있었는데, 1900년대 초에 화재로 폐동(廢洞)되었다고 한다. 근년에 현대식으로 화강석대에 오석(烏

  • 암살사건 / 暗殺事件 [역사/근대사]

    1894년 3월 28일 이 상해에서 홍종우에 의해 저격되어 피살된 사건. 갑신정변의 실패로 일본에 망명한 , 박영효 등을 대역 죄인으로 규정. 동경에서 은 이일직의 계략에 빠져 홍종우와 함께 상해로 건너갔다가 미국 조계(租界) 안의 일본 여관 동화양행

  • 유기환 / 兪箕煥 [정치·법제/외교]

    조선 후기의 문신(?∼?). 1881년(고종 18) 신사유람단으로 일본을 시찰하였다. 1898년 군부대신서리로 개화세력을 탄압하였다. 1902년 7월 조선전권대신으로 한정수호통상조약 및 부속 통상장정을 조인하였다. 그 후 ()을 암살한 홍종우(洪鍾宇)를

  • 남정철 / 南廷哲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문신(1840∼1916). 갑신정변 때 김윤식과 함께 청나라 병영으로 가서 등 개화당의 축출을 위하여 출병을 요청하였다. 1910년 한일합방때 일본정부로부터 남작의 작위를 받았다. 문집은《하산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