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영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4)
- 김영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3(현종 14)∼1755(영조 31).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유(子裕), 호는 필운옹(弼雲翁). 아버지는 관찰사 시걸(時傑)이다. 김창흡(金昌翕)의 문인이다. [내용] 음보(蔭補)로 ...이칭별칭 자유(子裕)| 필운옹(弼雲翁)
- 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3(경종 3)∼1775(영조 51).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경룡(景龍). 신하(紳夏)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현감 당(簹)이고, 아버지는 익진(翼鎭)이며, 어머니는 김영행(金令行)의 딸이다.이칭별칭 경룡(景龍)| 담녕(澹寧)| 문목(文穆)
- 필운시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김영행(金令行)의 시문집. [내용] 9책. 필사본. 1747년(영조 23) 아들 이건(履健)이 편집하였다. 인간여부는 미상이다. ≪필운시문고≫ 권두에 이건의 발문이 있다. 그에 따르면, 저자는 김창흡(金昌翕)에게 시를...
- 오두인(吳斗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5자)오이주(吳履周) (1녀)남택하(南宅夏)의 처 (3녀)김창설(金昌說)의 처 (4녀)최창대(崔昌大)의 처 (5녀)김영행(金令行)의 처 (6녀)이재(李縡)의 처 『양곡집(陽谷集)』 [총론] [1624년(인조 2)~1689년(숙종...
고서·고문서(17)
- 1789년 김경행(金景行)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783 B07578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景宗修正實錄 三年(1723) 正月 경종수정실록_10301019_001 ○己亥 / 竄金在魯於理山郡, 申思喆於長鬐縣, 張鵬翼於鍾城府, 金取魯於蔚山府, 金槹於鏡城府, 金令行於機張縣, 金希魯於渭原郡, 姜頊於三水府, 具鼎勳於東萊府。...출처전거景宗修正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790 B07579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景宗實錄 三年(1723) 正月 경종실록_10301019_002 ○竄金在魯於理山郡, 申思喆於長鬐縣, 張鵬翼於鍾城府, 金取魯於蔚山府, 金槹於鏡城府, 金令行於機張縣, 金希魯於渭原郡, 姜頊於三水郡, 具鼎勳於東萊府。 時, 人心猶危疑...출처전거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마가복음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마가복음 인문학 기독교신학 신약학 마가복음 김경행 金景行 성서연구사 인천 1986 마가복음; 신약학 신약강해설교대사전대표표제어마가복음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독교신학 | 소분류신약학
- 신약 강해설교대사전 33 - 46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신약 강해설교대사전 33 - 46 인문학 기독교신학 신약학 신약 강해설교대사전 33 - 46 金景行 著 성서연구원 서울 200...대표표제어신약 강해설교대사전 33 - 46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독교신학 | 소분류신약학
주제어사전(2)
-
김영행 / 金令行 [종교·철학/유학]
1673년(현종 14)∼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관찰사 김시걸. 김창흡의 문인이다. 1725년 영조가 즉위하자 풀려나 우사어로 다시 기용되고, 이어서 임천군수를 거쳐 첨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시문을 모은《필운유고》가 전한다.
-
필운시문고 / 弼雲詩文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 김영행의 시문집. 9책. 필사본. 1747년(영조 23) 아들 이건이 편집하였다. 권두에 이건의 발문이 있다. 저자는 김창흡에게 시를 배웠다. ≪필운시문고≫ 제1∼4책은 ≪필운시고≫로 시 623수와 부록으로 송창유고가 실려 있다. 제5∼9책은 ≪필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