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21)
사전(407)
- 운암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김연(金緣)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783년(정조 7) 8세손 영(瑩)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채제공(蔡濟恭)의 서문이, 권말에 정범조(丁範祖)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
- 성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김연술(金淵述)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1925년 아들 형조(炯祖)와 생질 이시택(李時澤)이 편집, 간행하였다. 표제는 『성암집(成庵集)』으로 되어 있다. 권두에 전우(田愚)의 서문, 권말에 이희진(...이칭별칭성암집(成庵集)
- 천진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3년 김연국(金演局)이 창시한 종교. [내용] 서울 가회동에서 수운사상(水雲思想)에 기초하여 설립된 신종교이다. 1857년강원도 인제에서 태어난 김연국은 최시형(崔時亨)의 권유로 동학에 입교하여 손병희(孫秉...이칭별칭제세교(濟世敎)|가회동 시천교|상제교(上帝敎)
- 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87(성종 18)∼1544(중종 39).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자적(子迪) 또는 자유(子裕), 호는 운암(雲巖). 할아버지는 회(淮)이고, 아버지는 생원 효로(孝盧)이며 어머니는 이지(李持)의 딸이다....이칭별칭 자적(子迪), 자유(子裕)| 운암(雲巖)
- 김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7(명종 2)∼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의병.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형원(浻源). 호는 송호(松湖). 아버지는 부장(部將) 두문(斗文)이며, 어머니는 남원김씨(南原金氏) 우(雨)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
단행본(1)
- 한반도주둔일본군 사료총서 3 - 일본 해군의 한반도 기지 건설 [한반도 주둔 일본군(1875~1945) 관계 기초사료 수집 및 번역총서 발간 | 고려대학교]저자 : 김연옥 ... | 출판사 : 역사공간 | 출판일 : 20210520이 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의 지원을 받아 2016년 12월부터 수행한 토대연구지원사업 ‘한반도주둔일본군(1875~1945) 관계 기초 사료수집 및 번역총서 발간’ 연구팀의 학술적 성과를 집대성한 것이다. 총 3년에걸친 연구를 바탕으로 ‘한반도주둔일본군 관계...
고서·고문서(3,070)
- 김련(金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2420 B032420 김련 金鍊 인물 中京誌 卷之五 學校 _ 海同遊聖難水難言理可參兒郞偉拋梁北崔嵬廣德連天極爲山何日與之齊一蕢初從平地覆兒郞偉拋梁上句陳北斗垂玄象聯珠合璧暎昭回夫子文章固可想兒郞偉拋梁下層甎疊石好新廈誰能升降不由階等級分明知者寡伏願上梁之後章甫咸聚俎豆相傳今與居古與稽詎...출처전거中京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김연호 판결문(金淵昊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0525-0009 / CJA0000763-0024 大正11年 刑控 第230號 / 大正11年 刑上 第74號 국가기록원 대구복심법원 / 고등법원 金淵昊 判決文 김연호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22.04.29. / 1922.06.17. 마에자와(前澤成美),제목김연호 판결문(金淵昊 判決文) | 사건유형도박 | 소장처국가기록원
- 3 第三統統首金連?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6년_청양면(靑良面) 1726년 청양면(靑良面) 巨南里 3 第三統統首金連? 第一戶 御營保盲人金連?年肆拾玖戊午本金海父正兵應素祖定虜衛成立曾祖宣武原從功臣永守外 祖通政大夫姜守男本蔚山妻金召史年伍拾丁巳本蔚山父通政大夫俊龍祖定虜衛德民曾祖通政大 夫戒生外祖定虜衛...연도_면이름1726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巨南里
- 2 第二統統首金璉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95년_대현면(大峴面) 1795년 대현면(大峴面) 第十二串旨里 2 第二統統首金璉國 第一戶 金時鳴故代子幼學璉國年貳拾捌戊子本金海父學生時鳴祖學生震碩曾祖學生兌成外祖 學生朴世根本慶州侍母朴氏年伍拾貳甲子祖母金氏年玖拾肆壬午妻金氏年參拾壹乙酉籍 慶州父學生成鶴祖學生...연도_면이름1795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二串旨里
- 3 第三統統首김連大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25년_웅촌면(熊村面) 1825년 웅촌면(熊村面) 第二十七紙所里 3 第三統統首김連大 第一戶 黃山道驛吏김連大年肆拾壹乙巳本慶州父厚三祖者音石曾祖順点外祖朴萬戒本密陽妻崔 姓年肆拾貳甲辰本密陽父時元祖日太曾祖元萬外祖김日萬本김海等壬午戶口相准 第二戶 紙匠鄭戒孫年...연도_면이름182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七紙所里
구술자료(64)
- 김연수 천자뒤풀이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김연수 천자뒤풀이 음반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A-406 2079 미상 음반녹음자료 1) 김연수의 춘향가 중 천자풀이를 음반을 녹음한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연수
- 청주 음악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8:27 A면 1) 농악B면 1) 춘향전 중 초입 소리:주병철 북: 김연홍 2) 가야금 산조(03:22) 가야금: 이채봉 3) 판소리 춘향전 중 \'어사와 춘향모\'(13:34) 소리: 김연홍 북: 미상 4) 상여소리(19:30): 선후창, 후렴구\"어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연홍
- 평양 다리굿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행해진 평양 다리굿 현장 녹음이다. 2) 음질 중 평양다리굿 돈실러가는타령 망자맞는거리 김연화 텃대감 무속음악 1981-09-19~20 서울 우이동 29:32 31:01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무속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연화
- 청주 음악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8:27 A면 1) 농악B면 1) 춘향전 중 초입 소리:주병철 북: 김연홍 2) 가야금 산조(03:22) 가야금: 이채봉 3) 판소리 춘향전 중 \'어사와 춘향모\'(13:34) 소리: 김연홍 북: 미상 4) 상여소리(19:30): 선후창, 후렴구\"어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주병철
- 청주 음악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28:27 A면 1) 농악B면 1) 춘향전 중 초입 소리:주병철 북: 김연홍 2) 가야금 산조(03:22) 가야금: 이채봉 3) 판소리 춘향전 중 \'어사와 춘향모\'(13:34) 소리: 김연홍 북: 미상 4) 상여소리(19:30): 선후창, 후렴구\"어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채봉
기초학문(110)
- 탈경계 인문학의 관점에서 본 김연아 신드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59545 한국연구재단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10 탈경계 인문학의 관점에서 본 김연아 신드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라디오방송을 위한 판소리 다섯 바탕: 김연수 판소리의 특질과 지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유진, 게재일 : 201243089 이유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구비문학회 2012 라디오방송을 위한 판소리 다섯 바탕: 김연수 판소리의 특질과 지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12
- 김연수와 임방울의 선택과 지향―수궁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혜정, 게재일 : 200542061 김혜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판소리학회 2005 김연수와 임방울의 선택과 지향―수궁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유형논문 | 게재일2005
- 김연아를 통해 본 스포츠 셀러브리티(Celebrity)의 지위와 조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보현, 게재일 : 201449869 박보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4 김연아를 통해 본 스포츠 셀러브리티(Celebrity)의 지위와 조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4
- 문학적 역사 기술에 나타나는 공감의 구조 분석 ― W. G. Sebald와 김연수의 역사 다시 쓰기에 나타나는 비동일성의 감정이입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구연정, 게재일 : 201243200 구연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뷔히너학회 2012 문학적 역사 기술에 나타나는 공감의 구조 분석 ― W. G. Sebald와 김연수의 역사 다시 쓰기에 나타나는 비동일성의 감정이입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h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350)
- 賠金延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인 립뎡죵송이라난쟈이 무삼이 잇셧던지 본년음력 윤월분에 삼쳑군 갈산진 인가에 츙화야 그동리 셩의가옥즙물과 각상뎜이 만이소화야 손가 젹지안이으로 군슈도디에 츌왕야 그졍형을 됴샤고 동항 일본리쳥에셔도 파원됴사 일이잇셧난 기시에 군슈가 그...게재일1906년 9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恤金捐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무쳥에셔 이번홍쥬에셔 피 한일량국춍슌 슌검등 인의게야 휼금으로 이환을 지츌야 춍슌의게 륙십환 슌검의게 십환식마련야 량쳐에일환식 분송얏다 그휼금은경무이하 슌검지 분등슈렴으로연죠이라더라게재일1906년 6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金淵(-)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淵(-) 개성 金淵 - 南本町 193 - - 금전대부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淵(-)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金演韻(-)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演韻(-) 원산 金演韻 - 本町5 - - 가죽신(皮靴),피혁,고무신,고무제품 제조판매 45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演韻(-)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가죽신(皮靴),피혁,고무신,고무제품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張金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張金姸(-) 원산 張金姸 - 榮町 - - 요리옥,음식점,카페 - 23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張金姸(-)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요리옥,음식점,카페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146)
- 목표로 함 1주 조선이 처음 만난 서양 과학: 중세와 근대 사이 2주 근대과학기술과 학습 3주 새로운 지식 세계로의 진입과 형태 4주 근대무기 제조를 위한 희망, 노력 그리고 좌절 5주 부국을 위한 기반 구축 노력 6주 새로운 학문과 근대 교육 제도의 수립 김강좌제목천지인의 자연학에서 과학으로: 근대과학의 여명 | 강의자김연희 교수
- 목표로 함 1주 조선이 처음 만난 서양 과학: 중세와 근대 사이 2주 근대과학기술과 학습 3주 새로운 지식 세계로의 진입과 형태 4주 근대무기 제조를 위한 희망, 노력 그리고 좌절 5주 부국을 위한 기반 구축 노력 7주 새로운 학문과 근대 교육 제도의 수립 김강좌제목천지인의 자연학에서 과학으로: 근대과학의 여명 | 강의자김연희 교수
- 목표로 함 1주 조선이 처음 만난 서양 과학: 중세와 근대 사이 2주 근대과학기술과 학습 3주 새로운 지식 세계로의 진입과 형태 4주 근대무기 제조를 위한 희망, 노력 그리고 좌절 5주 부국을 위한 기반 구축 노력 8주 새로운 학문과 근대 교육 제도의 수립 김강좌제목천지인의 자연학에서 과학으로: 근대과학의 여명 | 강의자김연희 교수
- 목표로 함 1주 조선이 처음 만난 서양 과학: 중세와 근대 사이 2주 근대과학기술과 학습 3주 새로운 지식 세계로의 진입과 형태 4주 근대무기 제조를 위한 희망, 노력 그리고 좌절 5주 부국을 위한 기반 구축 노력 9주 새로운 학문과 근대 교육 제도의 수립 김강좌제목천지인의 자연학에서 과학으로: 근대과학의 여명 | 강의자김연희 교수
- 김연희 교수 전북대학교 교수 (한글)근대과학 가이드북(최종).pdf 조선이 처음 만난 서양 과학_ 중세와 근대 사이_1주차 조선이 처음 만난 서양 과학_ 중세와 근대 사이_1주차_5차시 과학_1-5.mp4 과학_1-5 한국어.vtt 과학_1-5강좌제목천지인의 자연학에서 과학으로: 근대과학의 여명 | 강의자김연희 교수
기타자료(1,573)
- 김연;金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6228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69면 (학과)본과신제도 김연;金淵 경성부 명륜정 3정목 72-10 17회 1939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연;金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9327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19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18) 제2학년생 58인 김연;金煉 평안북도 강계군 강계면 동부동 898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연;金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1089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39면 1. 본년도 회원 씨명;1학년 갑반 김연;金鍊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연식;金鍊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475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김연식;金鍊埴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연순;金年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673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5면 김연순;金年淳 제1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7)
-
고조선 유물·유적 D/B화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김연성 | 인하대학교 | 2013 | 국내 | 인천
-
분단이후 통일담론의 역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연철 | 인제대학교 | 2024 | 국내 | 경남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한국학 국영문 사전 편찬사업 | 여찬영 | 대구가톨릭대학교 | 2007 | 국내 | 경북
-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최영진 | 성균관대학교 | 2012 | 국내 | 서울
-
과학과 기술의 한국사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문만용 | 전북대학교 | 2023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23)
-
김연 / 金演 [종교·철학/유학]
1547(명종 2)∼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의병. 아버지는 부장 두문, 어머니는 김우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자질이 뛰어나 그의 백형 길과 재종형 면과 합하여 김씨 삼군자라 칭송되었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면이 조종도·곽준·문위 등과
-
김연광 / 金練光 [종교·철학/유학]
1524(중종 19)∼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수련, 아버지는 영원군수 이상. 1555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교리, 제용감첨정, 평양판관, 부현현감, 평창군수, 회양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송암유고』 한권이 남아 있다.
-
김연순 / 金演淳 [역사/근대사]
1881-1946.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기독교인. 본적은 경상북도 영덕(盈德)이다. 1919년 3월 19일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蒼水面) 창수동(蒼水洞)의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 이곳의 독립만세운동은 신기동(新基洞) 구장 이현설(李鉉卨)과 이수각(李壽珏)·이
-
김연실전 / 金姸實傳 [문학/현대문학]
김동인(金東仁)이 지은 단편소설. 1939년 3월 『문장』 2집에는 ‘김연실전’, 5월에는 ‘선구녀(先驅女)’, 1941년 2월에는 ‘진주름’이라는 제목으로 같은 잡지에 3회에 걸쳐 발표되었다. 이 작품은 당시 신여성 문학인이었던 김명순(金明淳)을 모델로 하였다고 하
-
고용석 / 高用錫 [역사/근대사]
1866-1929년. 일제강점기 항일운동가. 제주도 서귀포(西歸浦) 중문동(中文洞)에서 태어나 농사를 지었다. 1918년 10월 15일 법정사(法井寺) 승려 김연일(金蓮日)과 강창규(姜昌奎)가 주도한 항일운동에 참가하였다. 김연일은 포교 활동을 하며 신도들에게 배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