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언건”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11(중종 6)∼1571(선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영동(永同). 자는 정보(精甫), 호는 운정(芸亭).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공저(公著)이고, 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郎) 자(滋)이며, 어머니는 흥양...
    이칭별칭 정보(精甫)| 운정(芸亭)
  • 연악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내용]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강응철(康應哲)‧조광벽(趙光璧)‧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고서·고문서(4)

  • 러 보네. ”라고 하였다. 淵嶽書院追享奉安文 15 ‧趙光璧‧康用良을 淵嶽書院에 추향 할 때 봉안문이다. 연악서원은 1702년(숙종 28)지방유림의 공의로 朴彦誠‧‧康應哲‧趙光璧‧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51...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해좌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仁義禮智가 모두 드러나는 그의 실천적 삶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芸亭集序 (33) 1775. (1511∼1571)의 문집인 『芸亭集』의 서문이다. 의 후손인 金光澈의 부탁을 받고 썼다. 의 지극한 효성, 이를 본받아 부모에 효도하는 마음을 나라에...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강고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6∼1631)의 『취사집』를 읽고 소감을 기록한 글이다. 書芸亭石川世藁後 (8) 『운정석천세고』를 읽고 소감을 기록한 글이다. (芸亭, 1511∼1571)과 金覺(石川, 1536∼1610)은 부자간이고 『석천유집』이 『운정유집』의 부록으로 달려 있다. 謹書...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여빈의 유집 3책에 대한 발문을 함께 부탁하였다. 書芸亭石川世藁後 8 尙州출신의 永同金氏芸亭(1511∼ 1571, 자는 精甫)과 그의 아들 石川金覺 (1536∼1610, 자는 景惺)부자의 유고 뒤에 쓴 발문이다. 은 至行과 懿德이 한 시대의 모범이 되었고...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511(중종 6)∼1571(선조 4).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공저, 아버지는 장사랑 자, 어머니는 흥양이씨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어 어려운 과정에서 학문을 닦았고, 장년이 되자 노수신·임훈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는『운정유집』이 전한다.

  • 연악서원 / 淵岳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동에 있는 서원. 1702년(숙종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朴彦誠)·()·강응철(康應哲)·조광벽(趙光璧)·강용량(康用良)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

  • 김각 / 金覺 [종교·철학/유학]

    1536(중종 31)∼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진사 , 어머니는 참봉 조이의 딸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해 여름에 상주에서 의병을 일으켜 적을 다수 참획하는 전과를 올렸다. 감사 김수가 그의 전공을 행재에 보고하여 사온서주부를 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