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안로” 에 대한 검색결과 30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0)

사전(25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이 있다. 中宗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希樂堂稿 大東奇聞 大東野乘 朝野輯要 (1481-1537) 1481(성종 12)-...
    이칭별칭 이숙(?叔)| 희락당(希樂堂), 용천(龍泉), 퇴재(退齋)
  • 유세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듬해 사헌부지평을 거쳐, 사헌부장령ㆍ세자시강원필선ㆍ부제학ㆍ승지ㆍ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1537년 동지사(冬至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나, 다음해 ()의 일파라 하여 삭직당하였다. 『중종실록(中宗實錄)』
    이칭별칭 사인(士仁)| 활탄(活灘), 팔우당(八友堂)
  • 이명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내용] 1519년(중종 14) 생원ㆍ진사 양과에 합격하고, 1528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대교에 특별히 제수되었다. 이어서 홍문관부수찬ㆍ수찬으로서 활발한 정계활동을 폈으나, 1531년 ()가 실권을 장악하면서 그에게...
    이칭별칭 광윤(光潤)| 안혜(安惠)
  • 복성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庶人)으로 되어 귀양갔다가 1533년 모자가 함께 사사(賜死)되었다. 1541년(중종 36) ()의 아들 희(禧)가 사건을 조작한 진범으로 밝혀져 신원(伸寃 :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었다. 『중종실록(中宗實錄)』 ...
    이칭별칭미(嵋)
  • 양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도 하였다. 1536년 전라도관찰사가 되었으며, 1537년 대사헌으로 왕의 밀지를 받아 ()ㆍ채무택(蔡無擇)ㆍ허항(許沆) 등을 탄핵하여 처형시켰다. 그 뒤 좌승지ㆍ병조판서ㆍ이조판서ㆍ우찬성ㆍ좌찬성 등의 관직을 역임하고,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에 이르렀...
    이칭별칭 거원(巨源)| 설옹(雪翁)

고서·고문서(46)

  • [經史篇八]論史門五_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今人言, 安老之罪, 都無人明白說出, 其專權自恣, 屢 屢: 미의회도서관본ㆍ연세대본(가)에는 비어 있다. 아단문고본(가)에는 ‘必’로 되어 있다. 興大獄, 罪固難赦, 及其被誅, 則非此故也. 偶見李義吉遺稿云: “恭僖末年, 東宮 宮: 미의회도서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
    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아침 일찍 서소문 집에 나가 사당에 배알했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
    1537_150_103 1537년4월 ○아침 일찍 서소문 집에 나가 사당에 배알했다 1537년 4월 15일 계해, 가뭄. ○아침 일찍 서소문 집에 나가 사당에 배알했다. 최계훈(崔繼勳)을 만났다. 또 좌의정 ()씨에게 가서 알현하고, 희릉(禧...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31437 B031437 금물도 今勿島 도서 미상 大東地誌 권2 경기도 金浦 山水 歌絃山西北十五里有古胎封雲陽山北十五里雲腰山西十五里象頭山右三山皆平原高阜嶺路天燈峴東南十五里通京大路○海西二十五里漢江東二里掘浦東十七里富平大橋川下流評富平○高麗崔怡欲鑿渠通海乃止 本朝復始之亦無成...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미상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3203 B063203 도서 島嶼 도서 도서(島嶼) 大東地誌 권2 경기도 金浦 山水 歌絃山西北十五里有古胎封雲陽山北十五里雲腰山西十五里象頭山右三山皆平原高阜嶺路天燈峴東南十五里通京大路○海西二十五里漢江東二里掘浦東十七里富平大橋川下流評富平○高麗崔怡欲鑿渠通海乃止 本朝復始之亦...
    출처전거大東地誌 | 지역분류도서(島嶼)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은 곳을 다듬었다. 석수(石手)가 만들 때 주의하지 않았기 때문이니 너무 밉다. ○좌의정를 가리킴의 아들 김기(金祺)가 죽었다고 한다. 卄八日壬子, 雨雨終日。 卄八日壬子, 雨雨終日。 ○與煇共守廬。○向夕, 奴今守、有山等許還家。○磨石物不精。石手造時不用意故也,...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2)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일화를 소개한 글 정광필(鄭光弼), 조광조(趙光祖), (), 이사균(李思勻) 조양보번역문.pdf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8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과 일화를 소개한 글 상진(尙震), (), 정광필(鄭光弼), 고인주(古麟州), 포주(抱州), 의주(義州), 임권(任權), 이윤경(李潤慶), 이기(李芑), 이준경(李浚慶), 윤원형(尹元衡) 조양보번역문.pdf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481(성종 12)∼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군수 우신, 아버지는 참의 흔, 어머니는 윤지의 딸이다. 1501년(연산군 7) 진사가 되었고, 1506년(중종 1)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전적에 처음 임명된 뒤 수찬·정언·부교리

  • 이준경 / 李浚慶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72(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극감의 증손, 할아버지는 세좌, 아버지는 수정, 어머니는 신승연의 딸이다. 1537년 일파가 제거된 뒤 다시 등용되어 세자시강원필선·사헌부장령·홍문관교리 등을 거쳐 대사헌, 우의정을 역임하였다.

  • 채무택 / 蔡無擇 [종교·철학/유학]

    ?∼1537(중종 32). 조선 중기의 문신. 신보의 증손, 할아버지는 연, 아버지는 준, 어머니는 김여영의 딸이다. 1524년(중종 1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지평·부교리·장령·응교 등을 거쳐 1535년 대사간, 그리고 이듬해 부제학이 되었다. ·허항과

  • 기묘유적 / 己卯遺蹟 [역사/조선시대사]

    송사련(宋祀連)의 고변으로 일어난 신사무옥에서 안처겸(安處謙) 등 11인이 주살된 일을 기술하였다. 권3에는 남곤의 죽음과 ()의 탄핵으로 심정 등이 처형당한 일 및 기묘제현(己卯諸賢)의 사적(事蹟)을 수록하였다. 부록으로 이황(李滉)이 지은 조광조의 행장과

  • 용천담적기 / 龍泉談寂記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문신 가 35가지의 이야기를 수록한 야담집. 1권(42장). 필사본. 『희락당문고(希樂堂文稿)』 권8에 실려 있다. 『대동야승』과 『패림(稗林)』·『시화총림(詩話叢林)』에도 수록되어 있다. 『희락당문고』에서는 잡저로 분류되어 있다. 『용천담적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