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8)
사전(42)
- 김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아버지는 지도첨의사(知都僉議事) 주정(周鼎)이다. 1279년(충렬왕 5) 김흔(金忻) 등과 함께 뚤루게(禿魯花 : 볼모)로 원나라에 다녀온 뒤 낭장이 되었고, 1298년에 우...이칭별칭 충숙(忠肅)|화평부원군
- 김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45(세종 27)∼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군량(君諒). 할아버지는 내자시유(內資寺尹) 해(?)이고, 아버지는 참의 우신(友臣)이며, 어머니는 지청풍군사(知淸風郡事) 이계충(李繼忠)...이칭별칭 군량(君諒)| 문정(文貞)
- 金諶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573 金諶 남자 人名, 知中樞, 端重不苟, 繩墨, 知中樞 延安 君諒, 友臣, 我成廟 D_08_02_16 대동운부군옥 8권 2장 1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2장 1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金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580 金深 남자 人名, 都僉議事, 高麗兵馬都元帥, 僉議, 政承 光山 周鼎, 忠肅 D_08_02_20 대동운부군옥 8권 2장 2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2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김심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폐신(嬖臣). [내용] 뒤에 별장이 되었다. 1269년(원종 10) 임연(林衍)이 원종을 폐위하고 동생 안경공 창(安慶公?)을 세운 사건으로 세자로 있던 왕이 파사부(婆娑府 : 九連城)까지 갔다가 돌아온 일이 있...
고서·고문서(33)
- 1895년 최종신(崔宗信)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95년10월 18일에 최종신이 전라북도 진안군 일서내면 궁항리에 있는 마전 2마지기를 15냥을 받고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매득인의 이름은 적혀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김심주가 이 거래에 증인으로 참여하여 착명하였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원광대학교 박물관
- 記録材料・宮内省省報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성의 인사명령 중 이왕직에 관련된 부분이다. 1월 8일 참봉 金心鉉은 의원면직하고, 崔益模는 명예직 참봉에 임명되었다. 장신 2015. 12. 05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2. 05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舜龍召方慶至是國人益信汾禧兄弟貳於茶丘 金周鼎朴球廉承益屢陳汾禧兄弟過惡金深證之⁄及王還國周鼎等因內僚諷王王召方慶密議流汾禧于白翎島槢于祖忽島籍其家或謂 若茶丘 ...출처전거高麗史 권12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210 B038210 다구 茶丘 인물 高麗史 권123 列傳36 嬖幸1 李汾禧[*(李)槢] ... ]方慶至是國人益信汾禧兄弟貳於茶丘 金周鼎朴球廉承益屢陳汾禧兄弟過惡金深證之⁄及王還國周鼎等因內僚諷王王召方慶密議流汾禧于白翎島槢于祖忽島籍其家或謂 若茶丘聞之必告都省究問不如殺之 乃遣...출처전거高麗史 권12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구(茶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212 B038212 다구 茶丘 인물 高麗史 권123 列傳36 嬖幸1 李汾禧[*(李)槢] ... 金周鼎朴球廉承益屢陳汾禧兄弟過惡金深證之⁄及王還國周鼎等因內僚諷王王召方慶密議流汾禧于白翎島槢于祖忽島籍其家或謂 若茶丘聞之必告都省究問不如殺之 乃遣人皆沈于海 未幾茶丘果訴帝遣速魯哥...출처전거高麗史 권12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1)
- 집단학살 현장에서 오빠 시신을 찾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죽으믄 막 몇날며칠 굿을 해요. 그 당골네가 바른 말 해요. 그렇게 해가지고 잘 알거여 이 추적허러 댕김심. 그 쇠 탁 놓는 그가 쇠여. 그것이 세 개째 부러져. 심방이 허는디. 그 이장 우리 언니네 사는 안 거리 이장 허는 말이 북촌을 다 씰어버리겠다고 하는 거야.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4년 01월 21일
신문·잡지(8)
- 청년_1931_11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김윤경 10 7화가 아니라 6화임. 10쪽 기사 하나 더 있음. 파일분절요망. 중양일서감, 김심농, 10쪽. 이충무공실기 (4) 김원근 13 해당기사는 14쪽까지. 14쪽...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 조선_1938_27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朝鮮昭和十年國勢調査結果の槪要(黃海道) 國勢調査課 134 彙報 158 기사분절 産金資金審査委員會規程, 158 滿洲移民戶數 人員決定, 158 時局對策準備委...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8
- 조선공론_1923_11_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朝鮮統治の參政權 金心石 35 朝鮮の稅關と支那の稅關 永野淸 (仁川稅關長) 42 比例代表に就いて 江木翼 (貴族院議員...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3
- 조선인민군_1950_0806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87 오기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족보위성 한태숙 구분대 1부, 한일해 구분대, 인민군 【○○전선에서 특파 기자 김심영발】 전라북도 전도의 패주 순경들이 집결되였던 남원과 전라남도 구례를 지난 7월 27일 오전 11시경 단숨에 해방시킨 한태숙...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806_02 | 책임주필오기찬
- 조선공론_1923_11_0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規との關係 金心石 90 寸筆餘慶 95 古槐庵夜話 (十五) 蒼洞隱士 96 杵屋佐吉...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3
기타자료(4)
- 김심영;金審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2992 남한 경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1-19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 10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0) 제10회 74명(1914년 졸업) 김심영;金審永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심영;金審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9824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10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0) 제10회 74명(1914년 졸업) 김심영;金審永 (주소 및 동정)...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라가 박억득 등을 일본에 보내어 진조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신라→일본 【번역】 11월 신묘일 초하루 무술일(8)에 신라가 급찬(級湌) 박억덕(朴億德)·김심살(金深薩) 등을 보내 조(調)를 전했다. 신라에 보내는 사신 직광사(直廣肆) 오기나가노마히토 오유(息長眞人老)·무대이(務大貳) 가와치노이미키 츠라(川內忌寸連) 등에게...대표표제어신라가 박억득 등을 일본에 보내어 진조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92년(壬辰/신라 신문왕 12, 효소왕 1/周 天授 3, 如意 1, 長壽 1/倭 持統 6)
- 신라가 박억득 등을 일본에 보내어 진조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신라→일본 【번역】 11월 신묘일 초하루 무술(8)에 신라가 급찬(級湌) 박억덕(朴億德)·김심살(金深薩) 등을 보내 조(調) 조(調) : ‘調’는 원래 지방에서 거두어 왕경으로 보내는 수취물을 가리키는 말로, 신라가 일본에 보낸 조는 신라 국왕이 일본천황에게 올린...대표표제어신라가 박억득 등을 일본에 보내어 진조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92년(壬辰/신라 신문왕 12, 효소왕 1/周 天授 3, 如意 1, 長壽 1/倭 持統 6)
주제어사전(2)
-
김심 / 金諶 [종교·철학/유학]
1445(세종 27)∼1502(연산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내자시유 해, 아버지는 참의 우신, 어머니는 지청풍군사 이계충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에는 좌랑으로서 문과중시에 을과로 급제하여
-
대전속록 / 大典續錄 [역사/조선시대사]
에 차질을 가져왔으므로 영구히 시행할 만한 법령을 뽑아 다듬고 증감한 것이다. 1491년 10월 성종의 명에 따라 감교청(勘校廳)을 설치, 이극증(李克增)·어세겸(魚世謙)·이집(李諿)·안호(安瑚)·김수손(金首孫)·김심(金諶)·김무(金碔)·권건(權健) 등이 편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