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신근” 에 대한 검색결과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

사전(51)

  • 홍원청년구락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0년 함경남도 홍원에서 조직되었던 애국계몽청년단체. [내용] 1920년 5월 15일 ()‧정덕현(鄭德鉉)‧최팔용(崔八鏞) 등 60여 명의 청년들이 발기하여 창립된 단체이다. 청년상호간의 친목도모와 체육의 발달을 목적으로
  • 박용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구급방(救急方)을 찬술(纂述)한 것을 김상건(金相健)이 교정하여 서울 공애당(共愛堂)에서 발행하였다. 『한의약서고(韓醫藥書攷)』(,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김두종, 탐구당, 1979)
    이칭별칭 운계(雲溪)
  • 수진경험신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의 경험방을 덧붙인 것으로 되어 있는데, 서양문명과 동양문명이 모두 중요하다는 기본적 시각 아래 쓰여졌다. 책의 구성은 사진문(四診門)‧부인문(婦人門)‧소아문(小兒門) 등으로 되어 있다. 『한의약서고(韓醫藥書攷)』(, 서울대학교출판부, 198...
  • 의과선생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록하였는데, 『의과방목(醫科榜目)』에서 부족한 것을 보충하여 자세히 기록하였다. 『한의약서고(韓醫藥書攷)』(, 서울대학교출판부, 1987) 의과선생안 ...
  • 활인신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 약초를 많이 채집하였으며, 또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 후 고향에 돌아가 의서를 많이 읽고 활인(活人)을 많이 하였는데 그때의 경험을 적은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중종실록(中宗實錄)』 『한의약서고(韓醫藥書攷)』(, 서울대...

고서·고문서(8)

  • (圖說)醫療藥學用語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圖說)醫療藥學用語事典 의약학 약학 약학일반 (圖說)醫療藥學用語事典 編著 한국메디칼인덱스사 서울 1990 의료; 약...
    대표표제어(圖說)醫療藥學用語事典 | 대분류의약학 | 중분류약학 | 소분류약학일반
  • (圖說)醫療藥學用語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圖說)醫療藥學用語事典 의약학 약학 약학일반 (圖說)醫療藥學用語事典 編著 한국메디칼인덱스사 서울 1995 의료; 약...
    대표표제어(圖說)醫療藥學用語事典 | 대분류의약학 | 중분류약학 | 소분류약학일반
  • 醫藥品大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醫藥品大辭典 의약학 약학 약학일반 醫藥品大辭典 編著 高文社 서울 1987 의약; 의약품; 약학; 대사전; [국중...
    대표표제어醫藥品大辭典 | 대분류의약학 | 중분류약학 | 소분류약학일반
  • 17973 B017973 거제군 巨濟郡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3年 10月 11日_003 ○度支部稅務主事李八應任敦寧司主事, 稅務主事鄭鎭植任電務課主事。 稅務主事閔廷基·李重穆依免。 陸軍砲兵參尉朴在鉉命停職。 任醴泉郡主事, 丁縵燮任南平郡主事, 趙純圻任突山郡主事, 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8214 B078214 두모포 豆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憲宗 5年 12月 23日_021 ... , 迎日縣監李溟游, 永春縣監宋持宇, 任實縣監鄭基轍, 松禾縣監, 彦陽縣監成元鎭, 海南縣監白樂聞, 康津縣監李寅奭, 陰城縣監申命準, 溫陵參奉韓鎭序, 章陵參奉姜㳣, 顯隆園...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5)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0967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2호 1923―06―08 18면 1. 본 신학교 재학생 씨명;3) 제1학년생 34명 ; 함남 홍원군 주익면 학산리 18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541 남한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1-27 배제 제5호 1924 110면 1. 동창생 씨명 및 주소 (가나다 순);22) 고등보통학교 제6회 ; (주소및현황)봉산군 동선면 선령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배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78-1945.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함경남도 홍원(洪原)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정(龍井)이다. 1919년 2월 중국 길림성 용정촌(龍井村) 영신학교(永新學校)에서 기독동지청년회(基督同志靑年會)를 조직하고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