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시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
사전(4)
- 묵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시화(金始鏵)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김시화의 후손 김호상(金鎬相)에 의해 유문이 수집되고 5대손인 병조참판 김진하(金鎭河)의 교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정확한 간행 연도는 알 수 없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김...
- 죽하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시화(金時和)의 시문집. [내용] 4권 4책. 목활자본. 1853년(철종 4) 손자 한영(漢永)이 간행하였고, 권말에 한영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2에 시 462수, 권3에...
- 묘향산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에 김시화(金時和)가 지은 기행문. [내용] 조선 후기에 김시화(金時和)가 지은 기행문. 이 기행문은 1853년(철종 4) 손한영(孫漢永)이 시문 4권과 함께 간행한 ≪죽하집 竹下集≫에 수록되어 있다. 그 내용은, 묘향산은 해동...
- 윤치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3(고종 30)∼1970.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김시화(金時化). 경상남도 밀양 출신. 국운이 기울자 안곽(安郭)ㆍ이각(李覺)ㆍ황상규(黃尙奎) 등과 함께 비밀결사인 일합사(一合社)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하던 중 1919년 2월...이칭별칭김시화(金時化)
고서·고문서(52)
- 1 第一統統首金是華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0년_대현면(大峴面) 1720년 대현면(大峴面) 第四奉月里 1 第一統統首金是華 第一戶 束伍別隊金是華年伍拾壹庚戌本金海父正兵承業祖衛保德生曾祖正兵 德龍外祖正兵張加叱同本仁同妻朴召史年肆拾陸乙卯本密陽父忠衛朴之業祖 忠衛成翼曾祖鶴立外祖正兵金云哲本金海率子束伍保...연도_면이름1720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四奉月里
- 3 第三統統首金時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6년_미상 1726년 미상 第四奉月里 3 第三統統首金時化 第一戶 束伍別隊金時化年伍拾柒庚戌本金海父正兵承業祖正兵德生曾祖正兵德龍外祖正兵張加叱同 本仁同妻朴召史年伍拾貳乙卯本密陽父忠衛之業祖忠衛成翼曾祖鶴立外祖正兵金云哲本金 海率子二人幷保束伍自隱者未年貳拾伍壬午...연도_면이름1726년_미상 | 면이름미상 | 마을이름第四奉月里
- 3 第三統統首金時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7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774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六北門外里 3 第三統統首金時化 第一戶 府軍官金時化年肆拾捌丁未本金海父業武進生祖芿昌曾祖通政戒明外祖通政金承雲本金海妻李姓年肆拾參壬子 本月城父業武元根祖折衝順培曾祖學生春外祖司果朴斗建本鶴城率母金姓年...연도_면이름1774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六北門外里
- 12 第十二統統首金時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59년_농소면(農所面) 1759년 농소면(農所面) 第十一射廳里 12 第十二統統首金時化 第一戶老人金時化年陸拾庚辰本金海父司果益剛祖司果斗輝曾祖通政汝禎外祖折衝將軍 李斗平本蔚山率奴毛老金年庚戌前逃亡一所生婢彦禮逃亡奴得金庚午逃亡婢成禮年伍拾捌壬午 同婢一所生婢介春...연도_면이름175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一射廳里
- 1861년 김시화(金時化)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861년(철종12)12월 15일에 답주 한량 김시화가 전라도 복내 상도 복성촌(오늘날 전남 보성군 복내면 복내리로 추정)에 있는 논을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문서이다. 논은 1마지기의 면적이며, 거래가격은 18냥이다. 이 자료는 조선조 후기 향촌사회의 토지경제사를 연...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보성 복내 죽산안씨 죽곡정사
주제어사전(3)
-
김시화 / 金始鏵 [종교·철학/유학]
1662년(현종 3)∼1732년(영조 8). 조선 후기의 유생.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통훈대부 이상언의 딸이다. 종조 이요석에게서 수업하였으며, 우헌 유세명이 그를 보고 재능이 뛰어나니 상경하여 면학하도록 격려하였다. 부친의 명으로 과거에 나가 1702년
-
묘향산기 / 妙香山記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김시화(金時和)가 지은 기행문. 이 기행문은 1853년(철종 4)손한영(孫漢永)이 시문 4권과 함께 간행한 『죽하집 竹下集』에 수록되어 있다. 그 내용은, 묘향산은 해동(海東)의 명산으로 태백산이라고도 한다. 단군이 이 산의 단목(檀木) 아래 내려와서 동
-
묵재집 / 默齋集 [종교·철학/유학]
김시화의 문집. 3권 1책. 목판본. 권1에는 100여 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권2에는 먼저 ‘묵재’라고 당호를 정한 까닭이 담긴 서문이 있고 김홍렬이 지은 「고시책」과 학사 김응조의 유훈을 받들어 「서악지」를 모방하여 지었다고 하는 「삼봉지」의 발문을 비롯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