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시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5)
사전(10)
- 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시형(金是螢)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석인본. 1977년 후손 관희(瓘熙)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헌주(李憲柱)의 서문과 권말에 관희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시 54수, 만사...
- 휘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시형(金始炯)이 편찬한 유서(類書). [내용] 10책. 필사본. 우리나라 명사(名士)들의 저작 중에서 후세에 전할만한 사실을 수집하여 각 부문으로 유별하여 수록하였다. 장서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국회도서관 등...
- 김시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1(숙종 7)∼1750(영조 2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계장(季章). 선여(善餘)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득원(得元)이고, 아버지는 봉사(奉事) 홍주(弘柱)이며, 어머니는 주서(注書) 남궁 배(南...이칭별칭 계장(季章)| 효헌(孝獻)
- 창의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현명(趙顯命), 1734년 김시형(金始炯) 등이 각각 썼다. 서문에 「화왕수성도(火旺守城圖)」가 그려져 있다. [내용] 본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용사응모록(龍蛇應募錄)」이 실려 있는데, 이 장에는 의병장 곽재우, 영장(領將) 윤탁(尹鐸), 도총(都摠)...
- 창의록(倡義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후손인 곽원갑이 쓰고, 박윤광(朴胤光)이 교열하였는데, 편찬·간행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서문은 1732년(영조 8) 조현명(趙顯命)이, 1734년(영조 10) 김시형(金始炯)이 각각 썼으며, ‘화왕수성도(火旺守城圖)’가 실려 있다. [편찬/발간 경위] ...
고서·고문서(107)
- 김시형(金始亨)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김시형(金始烱) 소초(疏草)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신사년 김시형(金始亨)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毓祥宮(1803)_전라도 장흥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00369 18741_0053 奎18741 毓祥宮(1803) 전라도 장흥부 南上面 正莊坪 전라도 장흥부 南上面 正莊坪 23 2.5 23결 2.5두락 김시형(金時衡)...자료번호18741_0053 [奎1874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淑善翁主房(1816)_전라도 장흥부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21043 18890_0564 奎18890 淑善翁主房(1816) 전라도 장흥부 南面 船倉坪 전라도 장흥부 南面 船倉坪 204 4 204결 4두락 김시형(金時衡)자료번호18890_0564 [奎1889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기초학문(1)
- 루소 비판을 통한 칸트의 새로운 철학이념의 확립 – 학문과 지혜의 통일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시형, 게재일 : 201552213 김시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철학회 2015 루소 비판을 통한 칸트의 새로운 철학이념의 확립 – 학문과 지혜의 통일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5)
- 함남로동신문_1949_1213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 김동근, 김동주, 김동혁, 김두수, 김명섭, 김문석, 김문용, 김문혁, 김병자, 김병팔, 김석든, 김성곤, 김성준, 김새길, 김승규, 김시형, 김양준, 김여상, 김영일, 김요국, 김용근, 김용배, 김용진, 김용해, 김운둔, 김익상, 김인순, 김인영, 김□성, 김재근...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1213_01 | 책임주필강길모
- 한양_1980_19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8백만 서울시민에게 고함 재경 전남도민 302 광주는 고발한다 외 김승신 외 304 문학의 고행과 새 연대의 갈망 김시형...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0
- 해방일보_1950_0822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 미국의 류혈적인 간섭을 즉시 중지시키라』라는 구호는 평화로운 농촌들과 미군의 야수적 폭격에 파괴된 수다한 도시들에서의 군중집회에서 전쟁 방화자들의 새로운 횡포를 반대하는 인민들의 격렬한 분노와 함께 우러나오고 있다. 김일성 종합대학 력사학부장 김시형 씨는 조선인민...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822_02
- 함남로동신문_1949_032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의학박사를 비롯하여 김일성종합대학 교수 최용달 도상록 김광진 박시형 정형규 전동수 김시형 김지정 기타 저명한 학자 교수들이 평화옹호선언서를 지지하는 개인성명서를 발표하였음을 보도하였다. 그중 장기려 씨는 평화옹호를 위한 『선언은 다만 평화를 열망하는 세계 지식인 문화...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325_03 | 책임주필강길모
- 조선사상통신_1927_2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家の反省すべき点 83 金堤衡平臨時總會 83 新舊總督を送迎す 84 釜山の貧民窟...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27
기타자료(2)
- 김시형;金時瀅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1533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13면 김시형;金時瀅 제주도 구좌면 하도리 제6회(24명) 1926년 3월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학교, 학급경영) 소인수 학급에서의 컴퓨터 활용 사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학급경영 잡지 김시형 1996 6 교육제주 92호 제주도교육청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시형 | 사료철명교육제주
주제어사전(4)
-
김시형 / 金時馨 [역사/근대사]
1894-195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배천(白川)이고, 본적은 평안북도 용천(龍川)이다. 1919년 3·1 독립운동에 참가한 뒤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였다. 1920년 11월 임시 정부 연통제 평안북도 독판부 소속으로 활동하면서 동시에 광복
-
김상적 / 金尙迪 [종교·철학/유학]
1708년(숙종34) ∼1750년(영조26). 조선 후기의 문신. 김득원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홍주, 아버지는 병조판서 김시형, 어머니는 이광조의 딸이다. 1735년 사관이 되어 사초의 작성에 종사하였으며, 1744년 응교로서 궁중에서 사용할 가인례에 대해 진술하였
-
김계락 / 金啓洛 [종교·철학/유학]
1753년(영조 29)~1815년(순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병조판서 김시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상우이고, 아버지는 이조판서 김화진이며, 어머니는 정이검의 딸이다. 178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병조좌랑이 되고 그 뒤 중앙과 지방의 여러 관직을 지
-
김계렴 / 金啓濂 [종교·철학/유학]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김시형, 조부는 김상우, 부친은 가선대부 경상도관찰사 김화진이다. 외조부는 정리검, 두 명의 부인 파평윤씨와 전주이씨를 두었으며, 동생 김계락이 있다. 1774년(영조 50) 식년시에 생원 3등 46위로 합격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