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시혁” 에 대한 검색결과 1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2)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76(숙종 2)∼1750(영조 2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회경(晦卿), 호는 매곡(梅谷). 선여(善餘)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득원(得元)이고, 아버지는 제용감봉사(濟用監奉事) 홍주(弘柱)이며, ...
    이칭별칭 회이(晦而)| 매곡(梅谷)| 효헌(孝憲)
  • 매곡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불분권 4책. 필사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정확한 필사 연대는 알 수 없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1책에 시 270수, 만(挽) 30수, 2책에 소...
  • 연미정(燕尾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미정 연미정 燕尾亭 갑곶진(甲串津), 강화도(江華島), 경강(京江), (), 보장처(報障處), 세곡선(稅穀船), 영종진(永宗鎭), 월곶진(月串鎭), 조운(漕運), 진보(鎭堡), 통어영(統禦營), 황형(黃衡) 왕실왕실...
    관련어갑곶진(甲串津), 강화도(江華島), 경강(京江), 김시혁(金始㷜), 보장처(報障處), 세곡선(稅穀船), 영종진(永宗鎭), 월곶진(月串鎭), 조운(漕運), 진보(鎭堡), 통어영(統禦營), 황형(黃衡)
  • 新羅, 高麗, 華岳, 畿甸, 京畿道加平郡, 高句麗深川縣, 楊州, 山內村, 永平, 鐵原, 陰城, 韶州府, 國內城, 安市城, 蒙古, 契丹, 哈丹, 加平 溫祚, 近肖古王, 完豐府院君李曙, 南格庵師古, 仁廟, 肅宗辛卯, 李濡, , 漢武, 彭吳, 菊村, 浚川, 皇明崇禎...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권 17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원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형(呂運亨)이 파리에 파견될 때, 목사 안승원(安承源)을 비롯한 장로 () 등 11인과 함께 연서(連署)한 ‘한국시정진술서(韓國時情陳述書)’를 국제연맹 장로교만국연합총회 및 미주 각 교회에 보내어 일제의 만행을 폭로하였다. 그 밖에 국민대표회기성위원회...
    이칭별칭원익(元翼)

고서·고문서(107)

  • 12104 B012104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3年 9月 26日_022 ○副司直疏曰, 伏以臣老病垂死, 作一尸居餘氣而晩始得見諫臣疏避。 其論禹夏亨者, 以江都築城時事, 添一罪案, 而其曰虐害島民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681 B07368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5年 8月 17日_018 ○啓曰, 卽伏見東萊府使李匡世狀啓, 則着名字盡頗大, 莫重奏御文書, 殊無敬謹之意, 推考警責,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3370 B073370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5年 8月 17日_018 ○啓曰, 卽伏見 H010404]東萊府使李匡世狀啓, 則着名字盡頗大, 莫重奏御文書, 殊無敬謹之意, 推考警責,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0596 B070596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2年 4月 20日_022 ○備邊司薦望, 江華留守, 李正臣·李世瑾·尹行敎。 東萊府使, 朴乃貞·李濟·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0612 B07061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景宗 2年 4月 20日_022 ○備邊司薦望, 江華留守, 李正臣·李世瑾·尹行敎。 東萊府使, 朴乃貞·李濟·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6∼1750). 김선여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득원, 아버지는 제용감봉사 김홍주, 어머니는 주서 남궁배의 딸이다. 1708년(숙종 34) 식년 병과 급제 후, 경종 대에 수원부사로 물러났다가 영조 때 정미환국 후 복직되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 강화 전성 / 江華塼城 [예술·체육/건축]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해안가에 있는 조선후기 벽돌로 축조된 성곽.전성. 시도기념물. 강화 전성(江華塼城)은 조선 영조 때 강화유수 ()이 벽돌로 쌓은 성으로, 고려가 몽골의 침입에 대항하여 개경에서 강화도로 천도한 시기인 강도(江都) 시기(1232~12

  • 김상철 / 金尙喆 [종교·철학/유학]

    1712년(숙종38)∼1791년(정조15). 조선 후기의 문신. 김득원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홍주, 아버지는 판돈녕부사 , 어머니는 이기정의 딸이다. 1736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지평·교리·충청도관찰사·대사간·한성부판윤·병조판서 등을 거쳐 1766년 우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