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시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고서·고문서(9)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一國皆知, 雖麗季之崔忠獻・〮〮〮崔沆、我國之安老・元衡, 未聞有如此之事也。 況李溟、金時言、鄭復亨等三人, 負君護逆之罪, 上通天地鬼神。 而彛敍不待長官之言, 排斥同僚之議, 乃敢書啓於伸理之列。 噫!彛敍以三人之罪爲冤, 則其將置君父於何地也? 其專擅無法無君之罪, 可勝誅哉? 然則書啓三人...출처전거光海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기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二祖不知妻良女召史年貳拾伍戊子本上同父金 正山三祖不知己酉戶口相准 戶豆毛岳金汝邑同年參拾壹壬午本濟州父福伊祖福萬二祖不知妻良女召史年貳拾捌乙酉本濟州父溫介 祖溫同二祖不知率女子召史年參庚戌加現己酉戶口相准 戶豆毛岳獨女召史年伍拾癸亥本濟州父崔白隱伊三祖不知率子金屎隱山年貳拾參庚寅己酉戶口相...연도_면이름1672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十白蓮巖里
- 片時春(편시츈)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발) 서름이 더욱 설다 五陵金市銀鞍白馬(오릉금시은안백마)는 暫時豪傑(잠시호걸) 너련만은 長安靑褸少年(장안쳥루쇼년)들아 네 혼잔들 자랑말아 滄江(창강)에 배를 워 風月(풍월)을 가득 실고 泛泛中流(범범즁류)를 내려가니 白鷗飛去(백구비거)이로다 어대서 琵琶曲終人不見數峰...구분잡가 | 편저자―‧제―핸드포―드
- 장위황 판결문(경성복심법원)( 張渭璜 判決文(大正7年形控第500號, 경성복심법원))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지 1917년 3월 무렵 종우(種牛) 보관료 금 44원40전 등을 횡령하였다. 셋째 피고는 1916년 음력 7월 4일 피고 소유 이천군 용포면 호암리 소재 568호 답(畓) 5두락을 동리(同里) 김원달(金元達)에게 동소 소재 596호 답 7두락을 동리 한성암, 김시은에...제목장위황 판결문(경성복심법원)( 張渭璜 判決文(大正7年形控第500號, 경성복심법원)) | 사건유형횡령 사기 매직 문서위조 피고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 추안급국안 : 계해년(1623, 인조 즉위) 역적 유전(柳湔) 범죄사건 문서(2)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司僕寺正睦大欽軍器寺正李命俊禮曹正郞全湜兵曹正郞韓仁及 弘文館修撰金時言別刑房都事李必成尹復元 文書都事尹昌遠柳時英韓必久 ○ 신대지에게 네 번째 매질하며 심문하다 申大枝更推白等矣身與柳湔頻頻往問於柳應泂臥病 處爲有如可七月二十五日矣身又爲往見所言曲折與 柳湔所言一一相同哛不喩應泂問於...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0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구술자료(1)
- 비행기 폭격의 공포와 포로가 된 오빠의 탈출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기 뒤에 저기 김시은 할머닌가, 그 할머니 아직도 정정하세 요?] 여기 계셔요, 예, 정정하지 [조사자 : 예, 여든 일곱, 여덟] 여든 일곱 이나 여덟 그렇게 됐어 요. 그래 됐는데. 그 저 할머니를 부를까 하다가, 저 귀가 점백이라. [조사자 : 예, 그때도 귀가조사지역경북 문경 | 조사일2012년 3월 9일
기타자료(1)
- 김시은;金施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3595 남한 경남 동래일신여학교 2-23 日新제10호 1938―07 146면 김시은;金施恩 전북 옥구군 臨陂면 술산리 300 동래일신12회 1937-03-16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동래일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김시은 / 金時殷 [역사/근대사]
)의 영향을 받아, 1919년 3월 21일부터 3월 24일까지 신좌면을 중심으로 시위 군중 500여 명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시위대의 행진이 신촌리(新村里)에 이르렀을 때 경찰과 대치하였으며, 13명이 체포되었다. 김시은은 1919년 5월 29일 대구복심
-
김경희 / 金慶熙 [역사/근대사]
宇)를 찾아가 상황을 설명하였으며, 이에 김시우는 김시범(金時範)·김시은(金時殷)·김경희(金慶熙) 등의 동지를 모아 신좌면(新左面) 조천리에서 ‘독립만세시위운동’을 전개할 것을 계획하였다. 3월 21일 1차 시위에서 이들은 김시범의 지휘 아래 김영배(金塋培)가 제작한
-
한석영 / 韓晳瑛 [역사/근대사]
3·1운동을 벌였던 김장환(金章煥)이 귀향하여, 각지의 사정을 알리고 동지들을 규합하였다. 3월 21일∼24일에 걸쳐서 김시은(金時殷)·김시범(金時範)·송정왕(宋正王)·한백흥(韓伯興)·김재일(金在一) 등과 함께 신좌면(新左面) 조천리(朝天里)와 함덕리(咸德里) 등지에서
-
한석화 / 韓錫化 [역사/근대사]
동을 벌였던 김장환(金章煥)이 귀향하여, 각지의 사정을 알리고 동지들을 규합하였다. 3월 21일∼24일에 걸쳐서 김시은(金時殷)·김시범(金時範)·송정왕(宋正王)·한백흥(韓伯興)·김재일(金在一) 등과 함께 신좌면(新左面) 조천리(朝天里)와 함덕리(咸德里) 등지에서 태극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