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시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4)
사전(12)
- 표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시온(金是榲)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필사본. 이현일(李玄逸)의 서문에 의하여 손자 태중(台重)이 편집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74수, 권2‧3에 서(書) 37편, 제문...
- 김시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표은집(瓢隱集)』 『기언(記言)』 송정 조선 중기의 학자 김시온(1598~1669)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정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2호. 경북 안동시...이칭별칭 이승(以承)| 도연(陶淵), 표은(瓢隱)
- 김학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내용] 김시온(金是榲)의 문인으로 1651년(효종 2)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예학에 조예가 깊은 송준길(宋浚吉)이 유학을 강론할 때 이를 듣고 명쾌한 견식을 펴서 송준길의 칭찬을 크게 받은 바 있다. 1663년(현종 4) 식년문과에 병과로...이칭별칭 천휴(天休)| 금옹(錦翁)
- 고중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그리움이 간절하던 차에. 不意苦中逢着司果 古之人雖其友之所與者 如其友焉 況其一體而分者耶 .若更對兄之十年前面目也, 김시온(金是.), 21(義)-29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오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앗아 타고 돌아왔다. 그 뒤 국가에서 등용하려고 하였지만, 그는 남한산성의 비보를 듣고 통곡하면서 칼을 버리고 산속으로 들어가서 사명단(思明壇)을 쌓고 수시로 올라가 북쪽을 바라보며 지냈다. 당시 이시명(李時明)ㆍ이준(李埈)ㆍ정영방(鄭榮邦)ㆍ김시온(金時榲) 등과...이칭별칭 덕원(德源)| 취수당(醉睡堂), 돈재(遯齋)
고서·고문서(22)
- 김시온(金是榲)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김시온(金是榲)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640년 김시온(金是榲)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907년 김시온(金是榲)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663년 김시온(金是榲)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주제어사전(4)
-
김시온 / 金是榲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9(현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찰방 김수일, 아버지는 진사 김철, 어머니는 찰방 김종무의 딸이다. 큰아버지인 사성 김극일에게 입양되었다.어려서부터 재행이 경상좌도에 이름났으나, 일찍부터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고 병자호란 이후
-
김태중 / 金台重 [종교·철학/유학]
1649년(인조 27)∼1711년(숙종 37). 조선 후기 유학자. 숭정처사 표은 김시온의 후손이다. 1693년(숙종 19) 갈암 이현일의 천거로 건원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은 채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1679년(숙종 5)에 병자호란 때 창의한 선조 김시
-
권두경 / 權斗經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725(영조 1).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충정공 권벌의 5세손으로 할아버지는 군자감정 권석충, 아버지는 권유, 어머니는 예안김씨이며, 처는 김시온의 딸이다. 이현일의 문인으로 이재 등과 교유하였다. 1679년(숙종 5)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
김성흠 / 金聖欽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57년(영조 33). 조선 후기 유학자. 증조는 김시온, 부친은 김구중, 모친은 이표의 딸이다. 이동완과 이현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외조부 이표에게 나아가 문장을 배웠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이양신의 난을 토벌하기 위해 의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