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시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5)
사전(46)
- 김시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荷潭集 龍洲遺稿 燃藜室記述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김시양 필적 1581(선조 14)-1643(인조 21).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 있다.이칭별칭 자중(子仲)| 하담(荷潭)| 충익(忠翼)
- 김시양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서우신이 전후 함경도로 회군하다 철령에서 몽고군을 격파하고방심하여 안변에서 패전하여 전멸에 이른 것을 두고 사형에 처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린다. 또한 김경징이 귀양을 가자 사사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린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자해필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시양(金時讓)의 잡록집. [개설] 불분권 1책. 당시의 정치나 정치인‧현인‧악인 등에 얽힌 기담(奇談) 및 이사(異事)에 속하는 내용이 실려 있다. 『대동야승』 권71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는 임진왜란 때의...
- 김시량(金是樑)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1421 인물 김시량(金是樑) 김시량 金是樑 1664 ? 조선 후기의 역관(譯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대재(大哉). 『조선통신총록(朝鮮通信總錄)』에는 자가 양보(楊甫)로 되어 있고, 『계림창화집(鷄林唱和集)...유형분류인물
- 민종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33(인조 11)∼?.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여증(汝曾). 영(韺)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응협(應協)이고, 아버지는 좌찬성 점(點)이며, 어머니는 판중추부사 김시양(金時讓)의 딸이다.이칭별칭 여증(汝曾)
고서·고문서(89)
- 1 第一統統首金時良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59년_유포면(柳浦面) 1759년 유포면(柳浦面) 第十伍 堂祀津 1 第一統統首金時良 第一戶 寡私婢金時良年陸拾肆丙子本金海主府居李奉父私奴石乙男祖私奴石乙奉曾祖私奴石乙先 外祖金石中本金海率子南玉烽軍北實年拾柒癸亥率女自隱連年拾貳戊辰率子兵營負軍之夫同 各戶去...연도_면이름1759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伍 堂祀津
- 1656년 김시양(金時陽)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하담집(荷潭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하담문견록(荷潭聞見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540 B064540 도중 島中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仁祖 7年 6月 30日_002 ○島中凡干事情, 一一探聽, 連續馳啓事, 平安監司金時讓處, 下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7)
-
김시양 / 金時讓 [종교·철학/유학]
1581(선조 14)∼1643(인조 21). 조선 중기의 문신. 김언묵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석, 아버지는 비안현감 김인갑, 어머니는 남양 홍씨로 서윤 홍이곤의 딸이다. 1605년(선조 38)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전라도도사, 예조정랑, 도원수, 판중추부사를
-
부계문기 / 涪溪聞記 [문학/한문학]
조선 광해군 때에 김시양(金時讓)이 지은 문견잡록(聞見雜錄). 2권 1책. 1612년(광해군 4) 이후 김시양(金時讓)이 함경북도 종성(鍾城)에서 귀양살이하는 동안 집필한 것으로 부계는 종성의 딴 이름이다.『부계문기』의 수록기사는 총 110칙(則)이다. 광해군의 실
-
하담파적록 / 荷潭破寂錄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 김시양의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광해군과 인조 때의 여러 역사적 사실을 서술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또 그 당시의 사회적인 사건의 내용을 싣고 있다. 뒤에는『자해필담』과 천연두 예방법인『두진방』도 함께 수록되었다. 후세에 각각의 내용에
-
대동야승 / 大東野乘 [문학/구비문학]
조선 성종 때 학자인 성현(成俔)의 『용재총화』로 시작하여 인조 때의 김시양(金時讓)의 『부계기문』으로 끝맺고 있는데, 이는 대략 250년간에 걸쳐 배출된 유가(儒家)의 작품을 저술시대순으로 선별하여 배열한 야사의 일종이다. 각 편을 살피면 『용재총화』·『해동야언』과
-
권경 / 權璟 [종교·철학/유학]
1604년(선조 37)∼1666년(현종 7). 조선 후기 학자. 부제학 권자홍 후손, 부친은 사복시정 권의협이다. 하담 김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경사자집에 두루 해박하였으며 배운 바를 반드시 실천하였다. 학문과 행실이 모두 뛰어나 인근 유림의 추앙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