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시습” 에 대한 검색결과 5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72)

사전(288)

  • TD_L7_D_0610 남자 侍中, 綴文, 召試, 賜物, 遜位, 讀書, 閉門, 大哭, 盡焚, 發狂, 緇門, 威儀, 豪邁, 勁直, 不容人過, 傷時, 憤俗, 放浪, 形骸, 山水, 文章, 韻致, 高遠, 晩年, 還俗 江陵, 高麗, 三角山 悅卿, 台鉉...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2장 3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3_J_0379 시 奇童, 三角山詩, 三峯, 斗牛星, 岳岫, 雲霧, 王都, 萬世, 佯狂, 被緇, 趙吠, 榮兆, 飛黥, 禍胎, 羊頭, 園梅, 太公釣魚圖, 求詩, 風雨, 釣磯, 渭川, 魚鳥, 忘機, 鷹揚, 采薇, 諷, 僞作 英廟, 韓明澮, 夷...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日省)은 음보(蔭補)로 충순위(忠順衛)를 지냈으며, 그의 어머니는 울진 선사 장씨(仙槎張氏)이다. 은 서울성균관 부근에서 태어났다. 1437년(세종 19) 3살 때부터 외조부로부터 글자를 배우기 시작하여 한시를 지을 줄 아는 천재였다. 『정...
    이칭별칭 열경(悅卿)| 매월당(梅月堂), 청한자(淸寒子), 동봉(東峰), 벽산청은(碧山淸隱), 췌세옹(贅世翁), 설잠(雪岑)| 청간(淸簡)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82년 이이(李珥)가 지은 전(傳). [개설] 에 대하여 지은 전이다. 『율곡집(栗谷集)』 권14∼16 잡저에 실려 있는 작자의 유일한 전이다. [내용] 의 선세가계(先世家系)에서 시작하여, 어린...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단종에 대한 절의를 지킨 생육신의 한 명. 연회에서 김종서에이어 절구 한 수를 읊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논문(1)

고서·고문서(49)

  • ()傳【奉敎製進】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十四 雜著一 38 ()傳【奉敎製進】 14_127_046.jpg ()傳【奉敎製進】 字悅卿, 江陵人。 新羅閼智王之裔, 有王子周元, 邑于江陵, 子孫仍籍焉。 厥後, 有淵、有台鉉, 皆爲高麗侍中。 台鉉之後久住, 官止安州牧, 生謙侃, 終五衛部...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매월당시사유록(梅月堂詩四遊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민족, 애국, 문학가, , 고대, 소설, 제공, 세배, 이상, 여려, 선생, 건강, 사업, 성과, 축하, 문자, 언어, 타당, 못한점, 랭해, 인도, 바람, 1989년, 10월, 9일
    대표표제어선생님 | 성씨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初等大韓歷史 卷一 初等大韓歷史_卷一 第四篇 現世 第一章 本朝 第二十八節 佯狂,放浪 정인호 1908 옥호서림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梅月堂]이 三歲에 能히 綴文ᄒᆞ니 神童이라 稱ᄒᆞ고...
    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四篇 現世 第一章 本朝 第二十八節 佯狂,放浪

구술자료(9)

  • 의 글재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김삿갓 이야기 후 누가 글에 능했는지 이야기했다. 최병문은 그 중에서도 조선시대 김시습이 어릴 때부터 글을 참 잘 지었다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조사일시2009.03.07(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경상북도 청송군 현서면 구산리 119-6 순이식당 | 제보자최병문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근처 절에 매월당이라는 스님이 있었다는데 모르겠느냐고 물으니, “매월당 김시습 비가 있어요.”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 이야기를 모르느냐고 물으니, 잘 모른다고 했다. 그러자, 좌중의 주재현씨가 나서서 이야기 <page id="137"></page> 를 하기 ...
    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내남면 | 제보자주재현
  • 매월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를 마친 후, 조사자가 모여있는 제보자의 손자들에게 듣고 싶은 이야기를 청하라고 하자 맏손자가 지혜있는 사람들에 대한 것이 듣고 싶다고 했다. 그러자 “그거 참 좋은 제안을 했다.” 하면서 시작한 것이다.*
    조사일시1982-08-10 | 조사장소경상북도 군위군 우보면 | 제보자박영화
  • ()이 지은 농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랜 시간 구연하였으나 조금도 자세를 흐트러짐이 없이 계속 구술하였다.*
    조사일시1981-07-11 | 조사장소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 제보자함기성
  • 어린 천재 매월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얘기 후 재미있는 얘기가 많다며 바로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년 1월 14일(목) | 조사장소임실군 임실읍 이도리 812-1번지 임실향교 | 제보자한준석

기초학문(2)

  • 매월당 의 백이 이해와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홍식, 게재일 : 2013
    52854 이홍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연구학회 2013 매월당 의 백이 이해와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과 성현의 귀신 담론과 원귀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4
    62367 한국연구재단 우리문학회 2014 과 성현의 귀신 담론과 원귀 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1)

  • 민세안재홍전집 : 哭譜(六)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110 1925 8 26 9 6 民世學人 安在鴻 哭譜(六) 신문 조선일보 1면3단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桓雄天王, 金尙憲, 劉玄德, 洪景來, 諸葛孔明, 杜少陵, 咸興差使, A19250826조선...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靑年老年(一)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114 1925 9 2 4 1 民世學人 安在鴻 靑年老年(一) 신문 조선일보 1면3단 논단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 한니발, 項羽, 李施愛, 朱蒙, 나폴레옹, 諸葛孔明, 劉玄德, 耶律楚材, 成吉斯汗, 맑쓰...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연경별찬(蓮經別讚) 6 蓮經別讚 연경별찬 형태서지 蓮經別讚序 撰 朝鮮 韓國 木板本 瑞興 歸眞寺 1546年(明宗 1) 1冊 26.3x1...
    대표표제어연경별찬(蓮經別讚) 6 | 대표서명蓮經別讚 | 한글서명연경별찬 | 서지형태형태서지
  • 대화엄일승법계도(大華嚴一乘法界圖)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대화엄일승법계도(大華嚴一乘法界圖) 大華嚴一乘法界圖 대화엄일승법계도 형태서지 大華嚴法界圖 義湘 述 ; 註 朝鮮 韓國 木版本 [發行地不明] [發行...
    대표표제어대화엄일승법계도(大華嚴一乘法界圖) | 대표서명大華嚴一乘法界圖 | 한글서명대화엄일승법계도 | 서지형태형태서지
  • 18.3 序: 淸寒子雪岑撰 刊記: 嘉靖二十五年丙午(1546)...歸眞寺開刊 H7, p.287.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D 219.5 연14 無 1. 題簽: 蓮經隨品讚頌 古書目錄 : 동국대학교 건학 100주년 기념(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고...
    대표표제어연경별찬(蓮經別讚) 2 | 대표서명蓮經別讚 | 한글서명연경별찬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111)

  •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_함허득통__보우_휴정_유정_선수_9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고려시대 선종의 철학자들- 순지,이자현,담진,지눌,혜심,나옹,보우 8주차. 역사와 문화에 기여한 철학자들- 진표,도선,혜초,일연 9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함허득통,,보우,휴정,유정,선수 10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2- 운봉대지,백암성총,백곡처
    강좌제목한국불교철학자들 | 강의자지혜경
  •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_함허득통__보우_휴정_유정_선수_9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고려시대 선종의 철학자들- 순지,이자현,담진,지눌,혜심,나옹,보우 8주차. 역사와 문화에 기여한 철학자들- 진표,도선,혜초,일연 9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함허득통,,보우,휴정,유정,선수 10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2- 운봉대지,백암성총,백곡처
    강좌제목한국불교철학자들 | 강의자지혜경
  •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_함허득통__보우_휴정_유정_선수_9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고려시대 선종의 철학자들- 순지,이자현,담진,지눌,혜심,나옹,보우 8주차. 역사와 문화에 기여한 철학자들- 진표,도선,혜초,일연 9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함허득통,,보우,휴정,유정,선수 10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2- 운봉대지,백암성총,백곡처
    강좌제목한국불교철학자들 | 강의자지혜경
  •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_함허득통__보우_휴정_유정_선수_9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고려시대 선종의 철학자들- 순지,이자현,담진,지눌,혜심,나옹,보우 8주차. 역사와 문화에 기여한 철학자들- 진표,도선,혜초,일연 9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함허득통,,보우,휴정,유정,선수 10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2- 운봉대지,백암성총,백곡처
    강좌제목한국불교철학자들 | 강의자지혜경
  •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_함허득통__보우_휴정_유정_선수_9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고려시대 선종의 철학자들- 순지,이자현,담진,지눌,혜심,나옹,보우 8주차. 역사와 문화에 기여한 철학자들- 진표,도선,혜초,일연 9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1- 무학,함허득통,,보우,휴정,유정,선수 10주차. 조선시대 불교 사상가들2- 운봉대지,백암성총,백곡처
    강좌제목한국불교철학자들 | 강의자지혜경

기타자료(1)

  • 문을 중심으로 그 좌우에만 회랑이 있는 양식이 된다. 일탑삼금당을 이루는 건물들은 명문와의 분석에 따르자면 조선조에 들어와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적어도 그 완성은 북금당지에서 확인된 바에 따라 세조 9년 이후임이 분명하다. 이점은 의 만복사저포기에서도...
    발행연도1986 | 발굴기관전라북도/전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북도

주제어사전(29)

  • / [종교·철학/유학]

    1435(세종 17)∼1493(성종 24). 조선 초기의 학자·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1455년 수양대군의 왕위찬탈에 반대하여 중이 되었다. 1463년 잠시 세조의 불경언해사업을 도왔고, 우리나라 최초 한문소설 <금오신화>를 지었다. 유불교체기에 태어나 유교와

  • 전 / [문학/한문학]

    1582년이이(李珥)가 지은 전(傳). 에 대하여 지은 전이다. 『율곡집(栗谷集)』 권14∼16 잡저에 실려 있는 작자의 유일한 전이다. 의 선세가계(先世家系)에서 시작하여, 어린 시절 학문을 처음 익히는 과정에서 있었던 일화와 단종의 손양(遜讓)과 세조의

  • 초상 / 肖像 [예술·체육/회화]

    조선시대 승려이자 문인이었던 의 초상. 보물 제1497호.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72㎝, 가로 48.5㎝.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무량사(無量寺)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전기의 승려이자 문인이었던 ()을 그린 영정이다.

  • 남염부주지 / 南炎浮洲志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이 지은 한문소설. 조선 전기에 ()이 지은 한문소설. 목판본. 작자의 단편소설집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실려 있다. 주인공이 꿈속에서 겪은 일을 중심으로 내용이 전개되는 몽유구조의 소설로서, 작자의 철학사상이 가장 집약적으로

  • 취유부벽정기 / 醉遊浮碧亭記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이 지은 한문소설. 원본은 전하지 않고 일본 동경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된 작자의 단편소설집 『금오신화 金鰲新話』에 실려 있다.「취유부벽정기」는 기자조선의 도읍지로 알려진 평양을 배경으로 하여 한 남자 상인과 죽어서 선녀가 된 기자(箕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