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시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4)
- 김시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4(숙종 10)∼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창(咸昌). 자는 휴백(休伯), 호는 백남(白南). 영천(榮川) 출신. 아버지는 통덕랑 정휘(鼎輝)이며, 어머니는 이상언(李尙彦)의 딸이다. [내용] ...이칭별칭 휴백(休伯)| 백남(白南)
- 백남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시빈(金始鑌)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858년(철종 9)에 후손 진하(鎭河)와 기헌(騎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진하와 기헌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 거창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誼)가 중건하였으며, 1574년에는 현감 장문한(張文翰)이 명륜당을 건립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23년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1714년에는 현감 김시빈(金始鑌)이 대성전 앞에 춘풍루(春風樓)를 건립하였다. 1748년에 도유사(都有司) 김...연계항목거창향교(居昌鄕校)
- 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義)‧염(廉)‧치(恥) 등 유가적 덕목을 소재로 하여 쓴 것이다. 각각 8행씩으로 교육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권2의 「술계자질시(述誡子姪詩)」도 이와 거의 동일한 내용이다. 그리고 이 시에 화답한 엄한붕(嚴漢朋)‧홍우택(洪禹澤)‧김시빈(金時彬) 등 12인의 당시 여...
고서·고문서(16)
- 7 第七統統首金是彬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청양면(靑良面) 1765년 청양면(靑良面) 第七亭子里 7 第七統統首金是彬 第一戶 業武金是彬年陸拾參癸未本金海父業武尙好祖業武士東曾祖業武春龍外祖業武李貞好 本慶州妻李姓年伍拾柒己丑本慶州父驛吏玉先祖驛吏貞上曾祖驛吏鶴只外祖業武金玉立本 金海率子二道別軍官元...연도_면이름1765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七亭子里
- 백남선생문집(白南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1264 B061264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年 5月 16日_050 ○正言成震齡所啓, 請尹恕敎拿問事。 請逆鏡疏下六賊正刑事。 請申致雲島配事。 請柳時模·金始鑌遠竄事。 請合啓首發三司, 與時龍一體鞫問, 連啓諸臣遠竄事。 請沈埈遠竄事。 請趙鎭禧遠竄事。 請按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25년 권상일(權相一)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강릉부사가 조정에 사은숙배를 했는지 물어보고, 추록에서는 김시빈숙부가 정말 유배형에 처해졌는지, 수찬조덕린 어른의 상소가 어떤 내용인지, 나학천이 사은숙배하기 위해 출발했는지 등을 묻고 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168 B007168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3年 9月 11日_005 ○晝講。 入侍, 知事趙相愚, 特進官閔鎭遠, 承旨黃一夏, 玉堂權詹·宋正明, 假注書李眞儒, 兼春秋金始鑌·呂渭良, 武臣姜泰相。 入侍時, 特進官閔鎭遠所啓, 小臣待罪江都時, 船頭浦築堰之役,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김시빈 / 金始鑌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29(영조 5).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이상언의 딸이다. 1702년(숙종 28) 사마시에 합격하고, 그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필선을 거쳐 1724년(영조 즉위년) 장령이 되어 영조의 탕평책을 두둔하다
-
고시헌서 가사집 / 古時憲書 歌詞集 [문학/고전시가]
53년 동안 53책을 모은 사람은 1761년 최종의 『시헌서』 말미에 장인의 제문을 지은 김시빈(金始鑌)으로, 조정에서 벼슬을 한 경남(慶南) 거창(居昌) 출신이다. 『시헌서』의 기록으로 볼 때, 김시빈의 출생 연도는 1680년(숙종 6)이고, 그의 몰년은 최종 『시헌
-
거창향교 / 居昌鄕校 [교육/교육]
)이 명륜당을 건립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23년에 대성전을 중건하고 1714년에는 현감 김시빈(金始鑌)이 대성전 앞에 춘풍루(春風樓)를 건립하였다. 1748년에 도유사(都有司) 김천분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고 1809년에 도유사 이상조(李尙朝)가
-
김시화 / 金始鏵 [종교·철학/유학]
년(숙종 28)에 아우 김시빈과 함께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무신란때에는, 70의 노구를 이끌고 친구 송만종, 박태래 등과 함께 창의하였다. 1721년(경종 1) 이후 산수에 유유자적하며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