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시민” 에 대한 검색결과 1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0)

사전(8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충당(山城旌忠堂)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宣祖實錄 燃藜室記述 亂中雜錄 龍蛇日記 鶴峯集 韓國金石文大系 4(趙東元 編, 1985) ...
    이칭별칭 면오(勉吾)| 충무(忠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1(숙종 7)∼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수(士修), 호는 동포(東圃)ㆍ초창(焦窓). 경기도 양주에서 살았다. 아버지는 호조정랑 성후(盛後)이며, 어머니는 임천조씨(林川趙氏)...
    이칭별칭 사수(士修)| 동포(東圃), 초창(焦窓)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왜병과 진주에서 싸워 커다란 승리를 거두나전사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조선의 장수로, 진주에서 일본 군사를 깨뜨리고 명나라 군사와협력해 크게 승전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진주 목사이다. 2만의 군사로 가등광태와 세천충흥의 왜적으로부터 진주성을 지켜내지만 적군의 탄에 맞아 큰 부상을 입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38)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76700 B076700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十一年(1735) 二月 영조실록_11102014_002 ○命致祭殉節臣晋州、東萊宋象賢之祠, 錄用戊申殉節人居昌李述原、鎭川金天章、淸安張潭子孫, 從朴文秀言也。
    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진사간과일기(辰巳干戈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도 전역에서 의병(義兵)이 봉기하여 역부족이었던 관군을 대신하여 적군을 격파하였다. 또한 10월에 진주목사()은 군관민과 합세하여 제1차 진주성싸움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본 자료는 이러한 사건에 대해 기록한 초고본으로 대구지역 의병의 형성과 조직 체계를 알...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398 B018398 거제현령 巨濟縣令 정치행정 輿地圖書 慶尙道 晉州 壇廟 ... 守城却賊中丸而死贈領議政上洛府院君立祠祀之丁未賜額) 彰烈祠(在矗石城中萬曆癸巳倡義使金千鎰忠淸兵使黃進慶尙兵使崔慶會等守城禦倭城陷力戰而死立祠祀之 宣廟萬曆丁未 賜額同時戰亡將士復讐將高從厚敵愾...
    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以功上啓, 差晉州牧使。 先是, 前牧使, 大破賊, 中丸死, 禮元至州, 繕兵勵士, 爲死守計。 癸巳五月, 以明兵支待都差使員, 往留尙州, 賊將淸正最鷙悍, 思逞前憾, 率數十萬衆, 自東萊直向晉州, 禮元星夜馳還, 十九日到城。 明游擊沈惟敬方主和在平行長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호조정랑 김성후, 어머니는 임원기의 딸이다. 김창협·김창흡의 문인이다. 1732년(영조 8) 선공감역이 되고, 장례원사평·사옹원주부·사직서영·종묘서영·의빈부도사·진산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

  • 선무공신교서 / 宣武功臣敎書 [언론·출판/출판]

    1604년 무신 을 선무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공신교서.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정에서는 18명에게 선무공신을 책봉하였는데,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인 진주대첩(晋州大捷)에서 큰 공을 세워 선무2등공신에 책봉된 에게 내린 교서이다. 2006년 12월 29

  • 최강 / 崔堈 [종교·철학/유학]

    1559∼1614. 조선 중기의 무신. 아버지는 운철이다. 1585년(선조 18) 무과에 급제,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 균과 함께 고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과 합세하여 진주성싸움에서 공을 세웠고, 1593년 김해로부터 웅천에 침입하려는 적을 격퇴하였으

  • 부계문기 / 涪溪聞記 [문학/한문학]

    편 사례도 소개하였다.『부계문기』에는 이항복의 「유연전 柳淵傳」과 관련된 「후서 後敍」와 「옥사 獄辭」를 비판하여 원전 비평의 안목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양만춘(楊萬春)·정문부(鄭文孚) 등의 무용담을 소개하여 기개를 고취시키기도 하였다. 『대동야승

  • 선무공신 / 宣武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임진왜란 때 무공을 세웠거나 명나라에 병량주청사신으로 가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준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1등은 이순신·권율·원균 3인으로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이라 했다. 2등은 신점·권응수··이정암·이억기 등 5인으로 효충장의협력선무공신이라 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