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승곤” 에 대한 검색결과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조지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 때 광복군의 제복과 계급장을 도안하기도 하였다. 버마작전 기간 중 영국군의 요청에 의하여 인도파견 공작대의 증강이 계획되자, 1945년 3월 황민(黃民 본명 ) 등 8명과 더불어 파견공작원으로 선발되었다. 훈련과정을 이수하고 여권발급의 수속까...
  • 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國語文法體系의 史的硏究(李承旭, 一潮閣, 1973) 韓國語助詞의 通時的硏究(, 大提閣, 1978) 國語助辭의 硏究(成光秀, 螢雪出版社, 1978) 國語特殊助詞論(洪思滿, 學文社, 1983) 格의 獨立品詞是非(李崇寧, 국어...
    이칭별칭토씨
  • 의열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民族運動으로서의 義烈團의 活動(金昌洙, 3‧1운동50周年記念論文集, 東亞日報社, 1969) 1920年代에 있어서 民族運動의 樣相-義烈團의 活動補遺-(金昌洙, 亞細亞學報 12, 1976) 朝鮮義烈團의 創立과 鬪爭(, 軍史 5, 1982) ...
  • 문법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다. 고영근의 <국어형태론연구>(1989), 김석득의 <우리말형태론연구>(1992), 허웅의 <20세기우리말형태론>(1995), 김계곤의 <현대국어의 조어법연구(1996), 의 <현대나라말본>(1996)은 대체로 현대국어의 형태론을 전개한 업적이며, 권재일의 <...
  • 대한민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系統」(金芳漢, 民音社, 1983) 「한국어의 기원」(, 건국대학교 출판부, 1984) 「韓國演劇‧舞踊‧映畫史」(藝術院, 1985) 「韓國映畫60年」(, 敎育科學社, 1980)

기타자료(5)

  • ;;금자인언;金子仁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0913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54면 ;;금자인언;金子仁彦 경북 제21회 1942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초대석) 광복 반세기, 광복 정신의 미래 지향적 계승을 광복회 회장을 모시고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초대석) 광복 반세기, 광복 정신의 미래 지향적 계승을 광복회 회장을 모시고 (초대석) 광복 반세기, 광복 정신의 미래 지향적 계승을 광복회 회장을 모시고 교육 문헌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용옥 | 사료철명교육월보
  • (82 교육지표 구현성과) 중등교육의 내실과 장학행정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지방교육행정 교육행정 교육이념 중등교육 학교운영 잡지 1982 12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승곤 | 사료철명교육경남
  • (특집 81교육지표 구현성과) 중등장학행정의 실적과 반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행정 지방교육행정 교육행정 교육이념 잡지 1981 12 ...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승곤 | 사료철명교육경남
  • (82 장학계획) 중등장학의 주요업무계획과 과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지방교육행정 교육행정 교육이념 잡지 1982 3 교육경남 ...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승곤 | 사료철명교육경남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1915-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황민(黃民)·호영(胡英)이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본적은 전라남도 담양군(潭陽郡) 담양읍(潭陽邑)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서울 성동구(城東區) 금호동(金湖洞)이다. 1933년 중국 망명 후 9월 1일 입교

  • 이병훈 / 李秉勳 [교육/교육]

    요청을 받고 인도파견공작대(印度派遣工作隊) 요원으로 ()·조지영(趙志英)·김재호(金在浩) 등 8명과 함께 선발되었는데, 중국정부군사위원회에 여권발급을 신청하던 중 미얀마 작전의 종결로 중단되었다. 1945년 11월 3일 조국의 광복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