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숭겸”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2(숙종 8)∼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시인. [개설] 본관은 안동. 자는 군산(君山), 호는 관복암(觀復庵). 할아버지는 영의정 수항(壽恒), 아버지는 성균관대사성을 지낸 창협(昌協)이며, 어머니는 연안이씨로 부제학 단...
    이칭별칭 군산(君山)| 관복암(觀復庵)
  • 김창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감사이만웅비(監司李萬雄碑)」‧「표(表)」‧「김명원신도비전액(金命元神道碑篆額)」 등의 작품을 남겼다. 저서로는 『농암집』‧『주자대전차의문목(朱子大全箚疑問目)』‧『논어상설(論語詳說)』‧『오자수언(五子粹言)』‧『이가시선(二家詩選)』 등이 있고, 편저...
    이칭별칭 중화(仲和)| 농암(農巖), 삼주(三洲)| 문간(文簡)
  • 관복암시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집. [내용] 1권 1책. 교서관활자본. 서문으로 보아 1709년(숙종 35) 그의 숙부 창흡(昌翕)에 의하여 처음 편집, 간행되었으나, 간기에 의하면 1739년 중간된 것으로 되어 있다. 책머리에
  • 노산문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있는 것은 물론 민중의 정의감이 발로된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소년시인 군산론 少年詩人君山論>은 19세의 나이에 요절하였던 ()의 짧은 생애를 소개하고, 그의 유고인 ≪군산시고 君山詩稿≫를 통하여 염세와 비애에 젖었던 문학을 논하고 있다. ...
  • 박권(朴權)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씨(安東金氏): 김인량(金寅亮)의 딸 남양홍씨(南陽洪氏): 홍석보(洪碩普)의 딸→(자녀)3녀 (양자)박영후(朴永厚) (1녀)()의 처 (2녀)이기진(李箕鎭)의 처 (3녀)윤상원(尹尙遠)의 처 [총론] ...

고서·고문서(2)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동유록(東遊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스스로 말하기를 ‘일찍이 백운산에 머물며 농암의 문하에 출입했고, 농암이 조계(槽溪)로 갈 때 자신도 모시고 갔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군산(君山) 군산(君山) : 19세에 요절한 농암의 아들 (, 1682-1700)을 가리킨다. 의 어린 시절 일을 이야기...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하곤(李夏坤)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2)

  • /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할아버지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 아버지는 성균관대사성을 지낸 김창협(金昌協)이며, 어머니는 연안이씨로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의 딸이다. 일찍이 아버지에게 학문을 배워서 깊이 통달하였고, 서법 또한 절묘하였다. 비록 19세로 요절했으나, 그 뜻이

  • 관복암시고 / 觀復庵詩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 「우음」·「월야」·「범주」등을 수록하여 1709년에 간행한 시집. 1권 1책. 교서관활자본. 서문으로 보아 1709년(숙종 35) 그의 숙부 창흡(昌翕)에 의하여 처음 편집, 간행되었으나, 간기에 의하면 1739년 중간된 것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