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87)
사전(393)
- 김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진하게 되었다. 신라 퇴진군이 고부(古阜) 동쪽 빈골양(賓骨壤)에 이르렀을 때, 백제군을 만나 싸웠으나 신라군은 또 패하여 퇴진하였다. 이같이 잇따른 신라군의 패전소식을 들은 태종무열왕은 장군 김순‧진흠(眞欽)‧천존(天存)‧죽지(竹旨) 등을 파견하여 신라군을 구...
- 김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의 대신‧귀족. [내용] 775년(혜공왕 11)에 시중 정문(正門)이 모반을 꾀하다가 죽임을 당하여, 그 뒤를 이어 이찬(伊飡)으로 시중이 되었다. 시중이 된 뒤 혜공왕 10년을 전후로, 김은거(...
- 김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197(명종 27). 고려 후기의 무신. [내용] 임진현(臨津縣) 출신. 아버지는 상장군을 지낸 인단(仁旦)이다. 의종 때 대정(隊正)이 되고 교위ㆍ산원을 거쳐 1155년(의종 9)에 우사원외랑(右司員外郎)으로 금나라에 가서 용흥절(...이칭별칭 원평(元平)
- 김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03(신종 6). 고려 후기의 민란 주동자. [내용] 1199년 명주(溟州)ㆍ동경(東京 :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 등지에서 대대적인 민란이 일어났을 때, 동경의 민란 지휘자로서 중앙정부의 회유책에 순응, 울진의 초적(草賊) 괴수 금...
- 김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58(고종 45)∼1321(충숙왕 8).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귀후(歸厚). 방경(方慶)의 셋째아들이다. 1279년(충렬왕 5)에 과거에 급제하여 낭장(郎將)으로 학사(學士)ㆍ직강(直講)이 되었다. ...이칭별칭 귀후(歸厚)| 문영(文英)
단행본(2)
- 근대 유교개혁론과 유교의 정체성 [한국 근대종교의 탄생과 정체성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저자 : 김순석... | 출판사 :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 출판일 : 2016.10.31유형단행본이 연구는 개항 이후 해방 직전까지 유교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고 유학자들이 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였으며, 근대 유교는 조선시대의 유교와 무엇이 다르며, 근대 유교의 정체성은 무엇이었는가를 규명하였다. 개항에서 식민지 시기 직전까지는 서구 문명의 침략으로 유교가 전근
- 세조, 폭군과 명군 사이 [조선 초기 군주 평전: 권력과 이념 | 고려대학교]저자 : 김순남 ... | 출판사 : 푸른역사 | 출판일 : 20220831이 책은 세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계유정난이라는 핏빛 서사를 거쳐 초월적 예치禮治를 꿈꾸었으나 결국 미완으로 마감한 세조 이유의 정치적 삶을 다룬 것이다. 세조는 ‘권력’을 찬탈한 후 그 권력을 강제하며 조선의 외적 기반을 완성했다. ‘권위’를 가탁하며 내적 기반을 ...
논문(1)
- 朝语、汉语“中指义”表达方式之对比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金顺女(延邊大學), 池花(延邊大學:교신저자) | 게재정보 : 동강학간 29권 2호, 게재일 : 2012.4조선어, 한어 “中指义”표달방식 비교 (김순녀, 지화) 본 논문은 조선어와 한어에서 각각 "中指义"가 갖고 있는 표현방식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이런 분석을 통해 조선어에서 中指义의 본질적인 특징과 한어에서 '中指义'의 특점은 다소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유형논문
고서·고문서(1,979)
- 김순명(金舜明) 초사(招辭)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부안현에 사는 유파회가 계집종 1인을 매입하고서 임피현에 입안을 신청하는 청원서를 올릴 때 매매문서에 첨부하여 제출한 증인들의 초사이다. 초사란 일종의 진술서로 증인들의 초사는 이 매매가 실제로 이루어졌음을 증언해주는 내용을 담고 있다.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초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초사 | 현소장처부안 우동 세덕각
- 7 第七統統首金順昌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35년_유포면(柳浦面) 1735년 유포면(柳浦面) 第一穴巖里 7 第七統統首金順昌 第一戶兵營別炮手金順昌年肆拾陸庚午本金海父正兵古音孫祖正兵貴 福 曾祖正兵太白 外祖良人金日同本慶州妻私婢辛於仁連年肆拾陸庚午本仁同主永川居鄭士明父私奴申 日祖私奴永守曾祖私奴禮生外祖...연도_면이름173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一穴巖里
- 4 第四統統首金順岳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35년_유포면(柳浦面) 1735년 유포면(柳浦面) 第二 山下里 4 第四統統首金順岳 第一戶兵營藥汗私奴金順岳年肆拾貳甲戌本金海父正兵世好祖正兵好命不喩世命曾祖良 人希龍外祖正兵金戒還本慶州母私婢石每主慶州居任克世妻私婢朴正禮年肆拾伍辛 未本慶州父良人尙得祖良人命立曾...연도_면이름1735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二 山下里
- 1 第一統統首金順禎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59년_농소면(農所面) 1759년 농소면(農所面) 第三佛堂里 1 第一統統首金順禎 第一戶 幼學金順禎年參拾玖辛丑本慶州父學生萬重祖學生俊季曾祖學生天立外祖老職通政大夫池承哲 本機張妻吳氏年肆拾壹己亥籍高敞父顯信校尉訓練院僉正振白祖學生季雲曾祖宣武原從功臣軍 資監判官...연도_면이름175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三佛堂里
- 3 第三統統首金順必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699년_농소면(農所面) 1699년 농소면(農所面) 第三山方里 3 第三統統首金順必 統第一戶 金禮發今故代子府案付束伍別隊金順必年貳拾柒癸丑本金海父步保禮發祖水軍得天曾祖正兵末叱石外祖定虜衛崔 武龍本密陽率母崔召史年伍拾伍乙酉率妹分伊年拾捌壬戌次妹分今年拾壹己巳等丙子...연도_면이름1699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三山方里
구술자료(75)
- 김순선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가계도 김순선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SK_SF_김순선.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가계도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김순태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무계도 김순태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HN_SF_김순태.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무계도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김순곤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가족관계, 광주항쟁 참여 및 체포 광주항쟁과 고문, 막노동과 취업의 어려움 광주청문회, 운전 일, 광주항쟁 보상, 운전 일, 광주 특별법 5.18특별법 제정 위한 농성, 광주항쟁 목격담, 행방불명자 문제 학창시절, 군생활, 방통대 진학 방통대 입학, 정치 상황 비판분야사회 | 유형인물 | 지역광주 | 시대현대 | 테마건국 60년
- 신들린 김순남 씨의 용한 약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약남할배가 절터에 묘 쓴 이야기’가 끝난 후 이동걸 씨의 생애사를 들었다. 간식거리를 먹으면서 잠시 이야기가 중단되었다가 제보자는 갑자기 생각난 듯이 이야기를 시작했다. 구연이 끝난 후에도 주인공 김순남 씨에 대한 잡담이 잠시 이어졌다.조사일시2010. 2. 21 (일요일) | 조사장소경상북도 포항시 죽장면 가사리 마을회관 | 제보자이동걸
- 통골 칠지효[[七指孝]] 김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자가 마을에서 전승되는 효자이야기를 해 달라고 요청하자 ,맹동면 통동리에 있는 효자이야기라면서 제보자 강태생이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07.09 | 조사장소강태생 자택 / 충청북도 음성군 맹동면 쌍정2리 덕금로234번길43 | 제보자강태생
기초학문(122)
- 음악과 시문학. 김순남 가곡 산유화와 진달래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9748 한국연구재단 민족음악학회 2011 음악과 시문학. 김순남 가곡 산유화와 진달래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한양〉지의 장일우, 김순남 평론에 나타나나 민족주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현일, 게재일 : 200922918 조현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9 〈한양〉지의 장일우, 김순남 평론에 나타나나 민족주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화에 대한 고찰 (preprin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임07000 김순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개념화에 대한 고찰 (preprin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3유형논문
- 明治・大正期의 修身敎科書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전, 게재일 : 200409823 김순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센터 일본연구소 2004 明治・大正期의 修身敎科書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2004
- 張愛玲 소설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진, 게재일 : 200110025 김순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1 張愛玲 소설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770)
- 金順俊(金順俊)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順俊(金順俊) 서울 金順俊 金順俊 新堂町 162-12 식료품 - 수육(獸肉) 소매 37.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順俊(金順俊)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수육(獸肉)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金順福(金順福)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順福(金順福) 서울 金順福 金順福 阿峴町 561 식료품 - 수육(獸肉) 소매 229.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順福(金順福)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수육(獸肉)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金順用(金順用)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順用(金順用) 서울 金順用 金順用 昌信町 583-26 식료품 - 수육(獸肉) 소매 55.6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順用(金順用)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수육(獸肉)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金順石(金順石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順石(金順石商店) 서울 金順石 金順石商店 錦町 213 연료품 - 신탄(薪炭) 소매 15 곡물, 부엌용 잡화(荒物)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대표표제어金順石(金順石商店) | 지역서울 | 품목연료품 | 영업종목신탄(薪炭)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金淳臣(-)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淳臣(-) 원산 金淳臣 - 上里1洞 - - 목재상 판매 7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淳臣(-)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목재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기타자료(645)
- 김순;金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8086 남한 경성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1-45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진명>> 1934 140면 ㅁ1. 회원명부(1934년 5월 현재);ㅁ23) 제21회(1931년 3월 19일) 95명 김순;金淳...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순;金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3579 남한 전남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2-10 제9회 卒業記念 1939―03 0 김순;金順 전남 光州府 大正町 161 제9회 1939년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순;金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5208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13면 김순;金洵 평양부 水玉里 45 1931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순;金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7455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14면 김순;金洵 평양부 水玉里 45 1931년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순;金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3387 남한 경남 동래일신여학교 2-23 日新제10호 1938―07 138면 김순;金順 부산진5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동래일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조선 초기 군주 평전: 권력과 이념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순남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한국 근대종교의 탄생과 정체성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장석만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2011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6)
-
김순 / 金洵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721(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공조정랑 김극형, 어머니는 동지중추부사 심대해의 딸이다. 송시열·송준길의 문인이다. 1687년(숙종 1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기사환국의 변란을 보고 관계에 나갈 뜻이 없다가 169
-
김순부전 / 金淳夫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광정(李光庭)이 지은 전(傳). 조선 후기에 이광정(李光庭)이 지은 전(傳). 『눌은문집 訥隱文集』 제20권에 수록되어 있다. 그 분량은 2,300여 자에 이른다. 뛰어난 식견과 의연한 태도를 갖춘 선비 김순부의 비극적 생애를 그린 작품이다. 사실보고적
-
김순애 / 金淳愛 [역사/근대사]
1889-1976년. 독립운동가·교육자. 황해도 장연 출신. 아버지는 성승(聖勝)이며, 어머니는 김성은(金聖恩)이다. 송천학교를 마치고 상경, 정신여학교를 졸업한 뒤 부산 초량소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민족정신을 일깨우고자 학생들에게 우리나라 역사와 지리를 몰래 가르쳤다.
-
김순종 / 金順鍾 [역사/근대사]
文道培) 집에서 신재홍(申才弘) 등과 '혁우동맹(革友同盟)'이란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소집 책임자가 되었다. 김순종은 동지들과 함께 1930년 말 농촌 처녀, 해녀, 소년, 소녀 등에게 계몽운동을 통해 민족주의 사상과 공산주의 사상을 고취시켰다. 1931년 제주도 사회
-
김순탁 / 金淳鐸 [역사/근대사]
1895-1938.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교육자·언론인. 호는 양천(養泉)이고, 본관은 김해(金海)이며, 제주도 조천읍(朝天邑) 조천리(朝天里) 출신이다. 제주공립농업학교를 졸업하고, 신명사숙(神明私塾) 교사로 지냈다. 제주 조천에서 일어난 1919년 독립만세운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