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수항” 에 대한 검색결과 5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0)

사전(240)

  • 해동유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 조선 성종 때부터 인조에 이르기까지 활약한 명현들의 사적과 언행 등을 발췌해 편찬한 책. [내용] 4권 4책.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저자가 젊었을 적에 쓴 자필본으로, 권별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黨議通略(李建昌) (1629-1689) 1629(인조 7)-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이칭별칭 구지(久之)| 문곡(文谷)| 문충(文忠)
  • 이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임하여 선정을 베풀었다. 유애비(遺愛碑)가 세워졌는데, 100년 만에 처음으로 잘 다스려졌다는 칭송이 있었다. 외삼촌인 ()이 사사되자 그의 묘문을 짓고는 다시는 글을 짓지 아니하였다. 관직에 있을 때 법을 엄격히 준수하였으며 옥사를 처결함이 매우 공...
    이칭별칭 경화(景和)| 성재(醒齋)
  • 박치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안 승지를 지냈으며, 한때 목사를 지낸 바 있다. 문장에 능하고 학행이 뛰어났으며, 민정중(閔鼎重)‧() 등과 깊이 사귀었다.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이칭별칭 학계(學季)| 검암(黔巖)
  • 심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을 강력히 탄핵, 유배시켰다. 그 해 좌참찬(左參贊)을 거쳐 1693년 판중추부사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죽은 이듬해 갑술옥사가 일어나 관직이 추탈되었다. 『현종실록(顯宗實錄)』 ...
    이칭별칭 문숙(文叔)| 양졸재(養拙齋)

고서·고문서(299)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196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40면 1. 본년도 회원 씨명;1학년 병반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1629(인조 7)∼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김극효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상관,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광찬, 어머니는 목사 김래의 딸이다. 1646년 진사시와 1651년(효종 2) 알성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 전적이 되었다. 이어 병조좌랑·사서·경

  • 녹동서원 / 鹿洞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에 있는 서원. 1630년(인조 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덕지(崔德之)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존양사(存養祠)를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1665년에 최충성(崔忠成), 1695년(숙종 21)에 (), 1711년에 김창

  • 호산서원 / 湖山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후정리에 있는 서원. 805년(순조 5)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몽주(鄭夢周)·송시열(宋時烈)·()의 절의와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송시열이 거주하였던 비비정(飛飛亭) 곁에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

  • 화왕전 / 花王傳 [문학/한문학]

    「화사(花史)」, ()의 「화왕전(花王傳)」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듯하다.

  • 김기하 / 金器夏 [종교·철학/유학]

    1649(인조 27)∼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 김인후 4세손으로, 아버지는 김형우, 어머니는 허열의 딸이다. 숙종 때의 명신이었던 의 여러 자제들과 깊이 사귀었는데, 벼슬길에는 뜻이 없어 과거에는 응하지 않았으나 학행으로 추천받아 후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