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수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
- 치치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수삼(金秀三)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연활자본. 1926년 8대손 동헌(東憲)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권말에 이구(李球)와 동헌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 이원구(...
고서·고문서(11)
- 1825년 김수삼(金守三), 최용삼(崔用三)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25년 김수삼(金守三), 최용삼(崔用三)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弘遠爲多大浦僉使, 朴光迪爲古群山僉使, 崔齊喆爲撫夷萬戶, 小吉号里權管單金守三, 副司直蔡弘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 第一統統首趙命孫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67년_유포면(柳浦面) 1867년 유포면(柳浦面) 第二十五地海里 1 第一統統首趙命孫 第一戶 主鎭軍趙命孫年柒拾壹丁巳本咸安父太白祖先伊曾祖厚氏外 祖김厚德本김海妻김召史年陸拾肆甲子本김海父八應祖石立曾祖 坤外祖김守三本김海等甲子戶口相准 第二戶 寡鄭召史年陸拾伍...연도_면이름1867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二十五地海里
- 13 第十三統統首김守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守堅年參拾玖辛丑婢今心年丙子前逃亡等丙子 戶口相准 第二戶 業儒姜時先年貳拾玖辛亥本晋州父學生赫錄祖學生千宅 曾祖學生得龍外祖張益達本仁同妻崔姓年參拾壹己酉本慶州父學 生仁喆祖學生聖來曾祖學生順起外祖學生김守三本김海奴仁郞 年乙酉等丙子戶口相准 第三戶 寡黃召史年伍拾玖辛巳本平海父西南祖天一二祖...연도_면이름1879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西洞里
신문·잡지(1)
- 전국농민신문_1947_013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6 서울시 소공동 82 전국농민신문사 김수삼 연백농민 우리 연백지방에서는 작년 12월 초순부터 강제공출이 굉장히 심해젓는데 그 참혹하고 횡폭한 짓이란 왜정시대에도 볼 수 없든 정도임니다. 공출수량의 조사도 하지 않고 또 소위 활당이란 것도 별로 없음니...대표표제어전국농민신문_1947_0130_02
주제어사전(2)
-
김수삼 / 金秀三 [종교·철학/유학]
1679년(숙종 5)∼1767년(영조 43).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승지 김우벽과 모친 참판 유세정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6세에 19사를 읽었고, 15세에 사서삼경과 외사자집을 읽었다. 향시에는 여러 번 합격하였으나 대과에서는 번번이 실패하자 벼슬길을 단념하였다
-
치치재집 / 耻耻齋集 [종교·철학/유학]
김수삼의 문집. 활자판본, 서: 김도화(1906), 후지: 김동헌, 3권 1책. 권1에는 목록과 시 146제 221수를 실었고, 권2는 서.서.기.발.잡저.설.잠.제문.애사.유사, 권3 부록으로 저자에 대한 후손 및 후진들의 글을 모아 엮었다. 편지 세 편은 개인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