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소월” 에 대한 검색결과 2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6)

사전(5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꿈으로 오는 한 사람(吳世榮編, 文學世界社, 1981) 詩와 想像力의 構造(金賢子, 文學과 知性社, 1982) 硏究(申東旭編, 새문社, 1982) 韓國現代詩人硏究(金載弘, 一志社, 1986) 임과 집과 길(柳宗鎬, 世界의...
    이칭별칭 소월(素月)|김정식
  • 산유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김순남(金順男)의 가곡집. [내용] 1947년 10월 21일 백양당에서 발행하였다. 「바다」ㆍ「그를 꿈꾼 밤」ㆍ「산유화」ㆍ「잊었던 마음」ㆍ「초혼」 등 5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모두 ()의 시를 가사로 하고 있다. 우리나...
  • 시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지은 시론(詩論). [개설] 작자의 유일한 시론으로, 1925년 『개벽(開闢)』 5월호에 발표되었다. 이 글은 1923년 『개벽』 12월호에 실린 「시단(詩壇)의 1년」에서 김억(金億)이 의 시 작품 「사욕절(思欲...
  • 엄마야누나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지은 시. [내용] ()이 지은 시. 1922년 1월호 ≪개벽≫에 발표되었다가 시집 ≪진달래≫(1925)에 수록되었다. 4행으로 된 민요조의 서정시이다. 뜰에는 금모래가 반짝이고 있고, 뒷문 밖에는 갈잎의
  • 금잔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이 지은 시. [개설] 단연 9행의 시이다. 1922년 『개벽』 1월호(통권 19호)에 발표되었다. ‘금(金)잔듸’라는 큰 제목으로 「엄마야 누나야」‧「부헝새」‧「」‧「첫치마」 등 10편의 작품도 함께 싣고 있다. 이 가...

단행본(1)

  • 저자 : 니 나탈리야 ... | 출판사 : 카자흐국립대 출판부 | 출판일 : 202303
    본 교재에는 중세(시조 장르)와 20세기 한국의 현대시를 아우르는 한국시 작품 텍스트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 원본 시들과 함께 러시아어 번역본들이 같이 제시되어 있다. 본 교재의 저자이기도 한 니 나탈리야의 번역시들에는 당시 사회에 대한 시인들의 시민적인 입장이 보다 ...

논문(1)

고서·고문서(19)

  • , 생각, 근고대사전, 부쳐달라고, 고국, 편지, 가장, 존경, , 선생님, 선집, 책갑, 얼마던, 한가지, 마을, 좌상, 부탁, 이전, 찔레꽃, 책, 중국, 고국, 책, 이름, 밝히지말라고, 자신, 민족, 신용, 필, 신체건강, 축원, 사연, 성과
    대표표제어하루하루 | 성씨
  • 엄마야 누나야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7931 창가 조선동요전집1 22140 1946년 정태병 신성문화사 25.00 엄마야 누나야 〈a〉〈/a〉 〈#46〉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 뒷문 밖에는 갈ㅅ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구분창가 | 편저자정태병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부업 김 길림성(吉林省) 화룡시(和龙市) 화룡현(和龙县) 2 2 부업, 선생님, 사진, , 시집, 방송국, 바람에붙치는...
    대표표제어부업 | 성씨
  • 신확인증, 일한사전, 시집, 팔도민요집, 반가히, 받았음, 헤어진사람, 찾는그일, 정형, 알려고함, 서신, 알려줄수있다면, 감사, 많은량해
    대표표제어보내주신 | 성씨
  • 신, 한한사전, 부치고, 3월, 인물한국사, 부송, 시집, 88년도달력, 연하장, 송부했다는데, 받아보지못하였습니다,
    대표표제어관심 | 성씨

구술자료(1)

기초학문(7)

  • 시의 영어 번역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나, 게재일 : 2014
    51956 이지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시의 영어 번역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시의 정전화 과정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명찬, 게재일 : 2008
    30149 이명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서학회 2008 중등교육과정에서의 시의 정전화 과정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천기론의 관점에서 본 시학의 전통성과 근대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6944 한국연구재단 우리말글학회 2004 천기론의 관점에서 본 시학의 전통성과 근대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김억과 의 번역 문체 비교 연구-??원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철환, 게재일 : 2017
    62853 장철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연구소 2017 김억과 의 번역 문체 비교 연구-??원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시 창작의 놀이치료 기능-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미정, 게재일 : 2008
    24989 전미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8 시 창작의 놀이치료 기능-의 시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
    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24)

멀티미디어(106)

  • _1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이육사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_1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이육사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_1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이육사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_1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이육사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 _1주차_5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그문제의식이어떻게놀라운예술적 성취로 이어졌는지를 이해한다. 이 과정을돕기위하여시로만든노래를들어본다. 1주차. 2주차. 한용운,이상화 3주차. 이상 4주차. 정지용,김영랑 5주차. 백석,이용악 6주차. 윤동주,이육사 7주차. 방정환,윤석중 8주차. 김종삼 9주
    강좌제목노래로 함께 읽는 한국시 | 강의자홍승진 교수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4)

  • / [문학/현대문학]

    항일기의 시인(1902-1934). 호는 소월(素月). 본명은 정식이며 서춘·이돈화·김억을 스승으로 모시고 배웠다. 시작활동은 1920년 《창조》에 시 〈낭인의 봄〉·〈야의 우적〉·〈오과의 읍〉·〈그리워〉·〈춘강〉 등을 발표하면서 시작됐으며 주로 《개벽》을 무대로 활

  • 금잔디 / 金─ [문학/현대문학]

    ()이 지은 시. 단연 9행의 시로, 1922년『개벽』 1월호(통권 19호)에 발표되었다. ‘금(金)잔듸’라는 큰 제목으로 「엄마야 누나야」·「부헝새」·「ᄭᅮᆷ」·「첫치마」 등 10편의 작품도 함께 싣고 있다. 이 가운데 「달맞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2·4

  • 접동새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한 소재는 비단 설화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여러 문학작품의 중요한 원천으로 작용하여 많은 계모형 소설들을 형성하게 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유형은 ()의 시 「접동새」의 직접적인 소재적 원천으로서 우리 문학의 비극적 정서환기에

  • 창조 / 創造 [언론·출판]

    약한 자의 슬픔>(1919), <배따라기>(1921) 등이 발표, 주요한, <그리워> (1920)가 발표되어 현대시단이 출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