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세락” 에 대한 검색결과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

사전(13)

  • 고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석판본. 1969년 그의 조카 병하(秉河)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과 발문은 없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사(辭) 1편, 시 268수, 소 1...
  • 삼오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의 아들 김정무(金政武)가 편집하고, 1911년 의 손부(孫婦) 권씨(權氏)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신태종(申泰宗)‧신정석(申晶錫)...
  • 소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남만회(南萬會)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31년 손자 도순(道淳)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6수, 권2에 서(書) 27편...
  • 아맹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권창진(權昌震)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05년 사손(嗣孫) 성좌(成佐)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도헌(柳道獻)의 서문, 권말에 ()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 담계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니며, 많은 서책을 읽어서 사리에 통달하게 되면 구하지 않아도 자연히 이루어진다는 내용이다. 발문 중 「훈몽천언발(訓蒙千言跋)」은 ()이 주흥사(周興嗣)의 『천자문』을 모방하여 만들었는데, 아이들이 이해하지 못할까 염려하여 주석을 부탁하므로 여기에...

고서·고문서(15)

  • 조선시대 한글편지:아들이 어머니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아들 (, 1828~1888)이 있다. 그러나 발신자는 “오  번 낫마 쥬인의 집의셔 견 길 업니 민망오이다”라고 하여 번(番)을 들고 나는 벼슬을 하고 있으며, 집을 떠나 유숙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은 벼슬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발신자미상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김진화가 맏며느리 진성이씨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호집’은 김진화의 셋째 아우 김진형(金鎭衡, 1801~1865)의 아들인 (, 1828~1888)의 처 한산이씨(韓山李氏, 1829~1855)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때 첫째 딸은 이미 사망한 상태이고, 둘째 딸은 법흥, 셋째 딸은 ‘한들집’, 넷째 딸...
    발신자김진화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여강이씨가 남편 김진화에게 쓴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것은 8월 초에 사망한 김진화의 측실을 두고 한 말이다. 또 “돌이도 약 먹다 오니 병이 잇”하고 묻는 것으로 보아, 이 8월에 무장으로 가서 이때까지도 무장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죽음, 혼인, 출산 여강이씨가 남편 김진화에게 쓴 편지 G0...
    발신자여강이씨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 後叙 25 權錫耆(1~1)가 乙酉年에 쓴 後叙이다. 後識 26 (1~1)이 辛酉年에 쓴 後識이다. 附成均生員自遠堂公墓碣銘 金應祖(1~1)가 丙戌年에 쓴 權俊臣(1561~1...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序 金承學이 저자의 아들 李元熙의 부탁을 받 고 1968년에 지은 서문이다. 구한말 안동과 영주지역에 활동한 睡山 金輝轍(1842∼ 1903), 東亭 李炳鎬(1851∼1908), 古巖 (1854~1929)의 가르침을 받아 성취한 사람이 많았다. 저자는 처음 錦...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9)

  • / [종교·철학/유학]

    1804년(순조 4)∼1873년(고종 10).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김종백이다. 정재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경상북도 영덕군에 있는 마고산에 서당을 지어 동생 양몽재 김재락과 함께 자연을 벗 삼고 독서로 소일하며 은거하였다. 문집으로《삼오당문고》가 전한다

  • 동거집 / 東渠集 [종교·철학/유학]

    동거 송정환의 시문집. 목판본 4권 2책. 풍산김씨 의 서문과 선성김씨 김석이 동거 사후 200여년 뒤 1925년에 기록한 발문이 있고, 족후손 계흠과 동구의 5세손 인옥의 후지가 있다.

  • 박규양 / 朴奎陽 [종교·철학/유학]

    1840년(헌종 6)∼1903년(광무 7). 조선 말기 학자. 조부는 박재기, 부친은 박재망, 모친은 권석원의 딸이다. 조부 박재기로부터 가학을 전수받았다. 조부의 장원에서 후학들을 가르치는 일에 힘썼다. 등과 교유하였다. 문집으로《금남문집》4권이 전한다.

  • 이춘근 / 李春根 [종교·철학/유학]

    1883(고종 20) - 1954. 이버지는 윤수, 어머니는 창원황씨이다. 부인은 박승구의 딸이다. 박우현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했고, 1907년(순종 1) 고암 에게 3~4년간 집중적으로 사사하여 학문이 크게 발전하였고 유림사회에 많은 문제를 신중하게 처리하였

  • 고암집 / 古巖集 [종교·철학/유학]

    의 문집. 석인본, 8권 4책. 권1에는 사 <차귀거래사>와 시127 제180수, 권2에는 시108제166수와 소 <청참오적물허왜청소>. 권3에는 서 44편, 권4에는 잡저로 <한명제구불법론> <고암설>, <효감설>, <양화설>, <유주왕산록>, <동유록>과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