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성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1)
사전(33)
- 제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성탁(金聖鐸)의 문집. [내용] 16권 8책. 목판본. 편집경위와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와 만장 296수, 권3에 소(疏) 7편, 권4에 연중주대(筵中奏...
- 김성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4(숙종 10)∼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진백(振伯). 호는 제산(霽山). 할아버지는 생원 방렬(邦烈)이고, 아버지는 태중(泰重)이며, 어머니는 순천김씨로 호군 여만(如萬)의...이칭별칭 진백(振伯)| 제산(霽山)
- 황후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00(숙종 26)∼1773(영조 49).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이직(而直), 호는 이봉(夷峰). 아버지는 도익(道翼)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 시혁(時赫)의 딸이다. 이재(李裁)‧김성탁(金聖...이칭별칭 이직(而直)| 이봉(夷峰)
- 불선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이만 줄임. 餘適有客擾 不宣 伏惟崇照 拜謝狀上, 김성탁(金聖鐸), 44-5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우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자신의 못난 분수. 겸사. 자신에 대한 겸칭. 聖鐸奉老遣免 所.職名 亦已遞解 自此愚分 庶幾粗安, 김성탁(金聖鐸), 44-50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68)
- 김성탁(金聖鐸)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김성탁(金聖鐸)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김성탁(金聖鐸)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김성탁(金聖鐸)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김성탁(金聖鐸)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기초학문(1)
- 대주주의 이사선임 독점현상을 시정하기 위한 제도모색-집중투표제의 실효성 제고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성탁, 게재일 : 200107839 김성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상사법학회 2001 대주주의 이사선임 독점현상을 시정하기 위한 제도모색-집중투표제의 실효성 제고방안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4)
- 신앙생활_1936_05_0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교농운동의가부 채연민 5 총회농촌부존폐문제에 대하야 김성탁 2 말세학 11 길선주목사유고 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6
- 黃海道長淵又新學校捐助人員 郡守朴始淳...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金知鎬二圓五十錢 吳宗烈二圓五十錢 李根培五圓 李昌奎七圓五十錢 韓晶五五圓 趙奎南五圓 金成鐸 五圓 吳庚瑞 五圓 金尙厚 五圓 元龜謙二圓五十錢 沈收洛 五圓 金善奎 五圓 崔利化 三圓 邊基淳二圓五十錢 盧獐坊 一圓 樂山坊五十圓 仙亭同三十圓 薪北同六十八圓 牧甘同五十圓 樂興同二十圓 速...게재일1907년 1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 인물계_1958_02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50 역사소설 대원군(1) 우현민 작, 우경희 화 55 관용성이 두터운 실천가-김성탁 론 59 불의를...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8
- 신학지남_1931_13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1쪽은 앞의 기사임. 12쪽부터 시작하는 기사. 파일수정 및 분절요망 한_신학지남_1930_13_02_012~014수정요망 기념동상문제 김성탁 14 자연과 종교 채필...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1
기타자료(5)
- 김성탁;金聖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9249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17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15) 제15회 졸업생 20인(1921년) 김성탁;金聖鐸 평남 강동군 원탄면 송오...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성탁;金成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021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9면 김성탁;金成鐸 제12회 1946년 3월 2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성탁;金聖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김성탁;金聖鐸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성도;金性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1338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39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29) 제27회 111명(1931년 3월 졸업) 김성도;金性度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성도;金性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2751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39면 (29) 제27회 111명(1931년 3월 졸업) 김성도;金性度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4)
-
김성탁 / 金聖鐸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생원 김방렬, 아버지는 김태중, 어머니는 김여만의 딸이다. 1735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사헌부지평,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737년이현일의 신원소를 올렸다가 왕의
-
김강한 / 金江漢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은사(1719∼1779). 김성탁이 호남의 광양에서 귀양살이할 때 그곳에 따라가서《대학》·《중용》·《서명》·《주자행장》 등을 공부하였다. 김성탁의 문하에 들어간 지 9년 만에 스승이 죽자, 그 아들 구사당 김낙행의 문하에서 배웠다. 평생 동안 성리를 멀
-
권렴 / 權濂 [종교·철학/유학]
1701년(숙종 27)∼1781년(정조 5). 조선 후기 학자. 부친 권후준의 4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권순과 동생 권호·권집이 있다. 제산 김성탁의 문인으로, 훈수 정만양·지수 정규양 형제와 함께 학문을 토론하기도 하였으며, 1729년(영조 5)에는 밀암
-
김낙행 / 金樂行 [종교·철학/유학]
1708(숙종 34)∼1766(영조 42)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교리 김성탁. 어머니는 무안박씨로 통덕랑 진상의 딸이다. 이재의 문인이었다. 아버지가 이재를 변호하다 유배되자 아버지를 따라가서 봉양하였다. 저서로는《계몽질의》·《구사당집》 등이 있다.
-
박용상 / 朴龍相 [종교·철학/유학]
1680년(숙종 6)∼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학자. 이재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721년(경종 1)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고향에서 학문에 정진하는 한편, 후학을 양성하는 데에 힘썼다. 김성탁·권만·권상일·이광정 등과 교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