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성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9)
사전(13)
- 팔오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성구(金聲久)의 시문집. [내용] 7권 4책. 활자본. 1873년(고종 10) 6대손 우수(禹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권연하(權璉夏)와 후손 우철(禹鐵)의 지(識)가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
- 김성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1(인조 1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덕휴(德休), 호는 팔오헌(八吾軒) 또는 해촌(海村). 의성 출신. 득가(得可)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율(瑮)이고,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이칭별칭 덕휴(德休)| 팔오헌(八吾軒), 해촌(海村)
- 백담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구봉령(具鳳齡)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본집은 1645년(인조 23) 풍기군수 김계광(金啓光)이 편집‧간행하였고, 속집은 1691년(숙종 17) 이유수(李裕垂)와 김성구(金成九)가 간행하였다. 본집에는 권두...
- 긍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동성의 통혼을 주장하자, 이에 호응하는 자들이 많다는 소문을 듣고 읊은 것도 있다. 서의 「여김성구김회백(與金聖九金晦伯)」은 당시 정치의 잘못을 성토하고 정치에 참여하자는 김노동(金魯東)과 김택(金澤)에게 시사(時事)를 살펴보건대 우리들의 성토가 아무런 영향이...
- 부여쌍북리요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비로 천도한 6세기 전반경에 개요한 중요한 백제시대의 가마터임을 알 수 있다. 『부여군지(扶餘郡誌)』(부여군지편찬위원회, 1987) 「부여(扶餘)의 백제요지(百濟窯址)와 출토유물(出土遺物)에 대하여」(김성구, 『백제연구』21, 충남대학교...연계항목부여쌍북리요지(扶餘雙北里窯址)
고서·고문서(134)
- 5 第五統統首金成九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53년_농소면(農所面) 1753년 농소면(農所面) 第十七泉谷坊 5 第五統統首金成九 第一戶 水軍金成九年參拾柒丁酉本金海父老人畢先祖正兵秋良曾祖守男 外祖李汝主本完山率雇工女召史年參拾柒丁酉率女召史年玖乙丑率 召史年陸戊辰庚午戶口相準 第二戶 老人金必善年捌拾...연도_면이름1753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十七泉谷坊
- 3 第三統統首金聲九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10년_청양면(靑良面) 1810년 청양면(靑良面) 第二十四巨南里 3 第三統統首金聲九 第一戶 業武金光範改[名]聲九年貳拾柒甲辰本金海父業武禹瑞祖業武壽邦曾祖業 武龜察外祖業武姜遇宅本晋州妻鄭姓年貳拾捌癸卯本東萊父業武德壽祖 業武泰聖曾祖業武甘札外祖業武吳球泰本海州...연도_면이름181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二十四巨南里
- 2 第二統統首김成口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76년_온북면(溫北面) 1876년 온북면(溫北面) 第三十四唐浦里 2 第二統統首김成口 (第二戶) 業武김成口年肆拾參甲午本김海父正三祖貴男曾祖在石乙外祖김 學用本김海率人女李召史年肆拾壹丙申本慶州婢順丹前逃亡等 癸酉戶口相准 * 第一戶의 오기이다. 第二戶 寡朴...연도_면이름1876년_온북면(溫北面) | 면이름온북면(溫北面) | 마을이름第三十四唐浦里
- 1694년 김성구(金聲久)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의 근황을 알리기 위해 1694년 1월 23일에 김성구가 쓴 편지이다. 글쓴이는 이미 상대방에게 위로의 편지를 받고 그에 대한 답장을 보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상대의 정이 담긴 편지를 받은 후, 새해에 조용히 지내는 상대의 일상생활이 큰 복...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695년 김성구(金聲久)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695년 6월 26일, 김성구가 자식이 귀양살이에서 방석의 명을 얻었으나 환수의 계가 나왔음을 알리기 위해 수취인 미상에게 쓴 편지이다. 소식이 끊어진지가 한 계절을 지날 정도였으나 그 회포가 느슨해 질 수 없다고 했다. 그러나 한창의 농번기에 사람을 빼내어 상대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기초학문(1)
- 우주적 실재에 관한 인식론적 성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성구, 게재일 : 200105802 김성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회 2001 우주적 실재에 관한 인식론적 성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19)
- 金成九(-)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成九(-) 원산 金成九 - 松興里 - - 정미업, 쌀, 콩, 잡곡상 판매 8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成九(-)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정미업, 쌀, 콩, 잡곡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金成九(-)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成九(-) 원산 金成九 - 松興里 - - 면사포,타면(打綿),어망(漁網)상 판매 8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成九(-)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면사포,타면(打綿),어망(漁網)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함남로동신문_1949_013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25 강길모 함흥시 삼일리 3구 56번지 함남로동신문사 로주철 김성구, 서인복, 로주원 세포위원회 우리 당 함주군 천원면 유정리 세포 내 일부 당원들 중에는 9개월 사업 총결 전까지 회의에서 자기 의사를 충분히 발표하며 비판과 자아빞나을...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130_02 | 책임주필강길모
- 계간삼천리_1982_3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を考える 奈良和夫, 淨土卓也, 武富端夫, 中村守, 正木峯夫 132 在日朝鮮人 (22)-ジャズの金成亀 辛基秀 141 民族意識の変革期迎えた韓国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2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김春긔 이상각三十전식 秋셕규 張긔형 盧尙운 김슌식 이상二十五전식 劉緖復 리寅식 박긔영 龍順河 奇星환 리致홍 김창桓 리긔鎬 丁희 리긔원 최應柱 김현셥 김振模 박승직 夫人 김聖七 김聖九 졍石슝 박長潤 高회 이상각二十錢식 최允範 二十五뎐 손光한 최셕긔 졍죵식 咸德一 이상...게재일1907년 2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2)
- 김성구;金成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82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7면 김성구;金成九 제6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성구;金聖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351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71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4)송도고보 제17회(소화11년) 92명 김성구;金聖龜...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성구;金聖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1781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21면 ㅁ1. 동문회회원록;ㅁ5) 제5회 14명(1910) 김성구;金聖九 평남 용강군 지운면 진지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성구;金聖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1529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99면 김성구;金聖龜 충남 공주군 常盤町 230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성구;金聖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2515 일본 東京 慶應義塾 慶應義塾總覽 1940년도 1940―06―20 228면 김성구;金聖龜 조선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慶應義塾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김성구 / 金聲久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김득가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율,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 김추길, 어머니는 유화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사마시를 거쳐 166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전적·무안현감·직강·지평·수찬·정언 등을 지
-
백담문집 / 栢潭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구봉령의 시문집. 14권 6책. 목판본. 본집은 1645년(인조 23) 풍기군수 김계광이 편집·간행하였고, 속집은 1691년(숙종 17) 이유수와 김성구가 간행하였다. 본집에는 권두에 홍여하의 서문과 권말에 유동준의 발문이 있고, 속집에는 김
-
팔오헌집 / 八吾軒集 [종교·철학/유학]
김성구의 문집. 7권 4책. <규 15537> 1873년(고종 10)에 4책 8권으로 간행되었다. 문집 말미의 발문과 지에 의하면 6대손 우수와 외예 권연하 등이 집안에 보관된 유고와 사우들이 가지고 있는 글 등을 모아 엮어 간행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규장각 소장본
-
김기찬 / 金基纘 [종교·철학/유학]
1809(순조9)∼?. 조선 후기의 문신. 김도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성구이고, 아버지는 김주묵이며, 어머니는 이제현의 딸이다. 김용묵에게 입양되었다. 1835년(헌종 1)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842년에 경상우도 암행어사로 활동하고 돌아온 후 지
-
김시태 / 金時泰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22년(경종 2). 조선 후기 무신. 김상준 후손, 부친 김성구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김시정‧김시승이다. 1714년(숙종 40) 증광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1721년(경종 1) 당시 황해병사로 재직 중, 사헌부에서는 김시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