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53)
사전(627)
- 돈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선(金瑄)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목판본. 1879년(고종 16) 이돈우(李敦禹)의 교정, 편집을 거쳐, 아들인 필호(弼鎬)에 의해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돈우의 서문, 권말에 족손 우수(愚洙)의 후서와 강건(...
- 원주민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지기를 불에 태워 죽이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원주목민들에 대항하기 위하여 이서들도 별도로 무리를 지어 각 촌리로 나가 양반가 등 민가를 파괴하였다. 이에 조정에서는 춘천부사 김선근(金善根)을 안핵사(按覈使)로 파견하여 난을 수습하게 하였다. 안핵사의 보고에 따...
- 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말기의 왕족. 언양김씨(彦陽金氏)의 시조. [내용] 김알지(金閼智)의 28대손이며,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여섯째 아들로서, 언양군(彦陽君)에 봉해져 언양김씨의 시조가 되었다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7대손 취...
- 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4(명종 19)∼1614(광해군 6).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성시(聖始), 호는 취락당(冣樂堂) 또는 백졸(百拙). 아버지는 제용감정(濟用監正) 취연(就練)이며, 어머니는 함양박씨(咸陽朴氏)로 직장(...이칭별칭 성시(聖始)| 취락당(?樂堂), 백졸(百拙)
- 김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8(선조 1)∼1642(인조 20). 조선 중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이헌(而獻), 호는 시서거사(市西居士) 또는 지서자(之西子). 전라남도 나주 출신. 아버지는 상호군(上護軍) 부성(富成)이다. [내용...이칭별칭 이헌(而獻)| 시서거사(市西居士), 지서자(之西子)
단행본(4)
- 현대한국구술자료관 현황과 전망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김원, 김선정, 송치욱, 윤충로, 이호신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01224이 책은 1부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개관, 2부 구술 자료 아카이브 구축, 3부 구술자료관 활용 방안과 전망의 총 3부로 구성됐다. 먼저 1부는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의 내용과 특성, 수집 자료의 특성을 밝힌다. 1장은 한국 구술사 연구의 발전 궤적과 ...
- 북한신문 연구 해제집 (한국전쟁기 북한노획문서)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저자 : 정병준, 기광서, 한모니까, 김선호, 한봉석, 이선우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10928이 책은 한국전쟁기 북한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를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미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 소장된 한국전쟁기 미군이 북한으로부터 빼앗은 북한노획문서 안에는 다수의 북한신문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북한신문자료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북한...
- K컬처 트렌드 2024 [K-콘텐츠의 태동과 역동: 한류 문화유전자로서 한국어문 | 경희대학교]저자 : 고윤화 고일권 김선영 김소원 김영대 김형석 배동미 백태현 이현경 정덕현 정명섭... | 출판사 : 미다스북스 | 출판일 : 20231231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평론가, 창작자, 기자 등을 모아『K컬처 트렌드 2023』을 냈던 이들이 다시 한 번 모였다. 이번에는 웹툰까지 포함하여 부문을 확대했고, 드라마 부문에서는 예능까지 포괄하여 내용을 풀어냈다. 저자들은 앞으로도 매년 K컬처, 한국 대중문화의 ...
- 한국 상고문화 기원 연구 [한국 상고문화기원 연구 -고고학,유전자,언어,문화교류- | 단국대학교]저자 : 이성규(단국대학교), 박상빈(서울역사박물관), 박선미(서울시립대학교), 우장문(대지중학교... | 출판사 : 학연문화사 | 출판일 : 2013.10.31분야역사 | 유형단행본언어 (1) 이성규 - 광물이름의 비교를 통해 본 알타이어족의 분화시기 연구 (2) 최형원 - 중세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어 관직명에 대한 고찰 4. 문화교류 (1) 김선숙 - 古代 史料
고서·고문서(2,270)
- 김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선생님 문 남자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포득합기 알수없음 성길사간조선족소학교 1 1 김선생님, 꽃, 만개, 봄...대표표제어김선생님 | 성씨문
- 김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선생님 문 남자 평안북도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포득합기 알수없음 성길사간조선족소학교 4 1 김선생님, 보...대표표제어김선생님 | 성씨문
- 김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선생님 김 남자 베이징시(北京市) 북방교통대학 2 1 김선생님, 영어발음법, 심정, 책, 테프, 학습, 벗, 난관, 감사,...대표표제어김선생님 | 성씨김
- 김선생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선생님 채 남자 강원도 삼척시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농업은행 3 3 김선생님, 저, 경제, 문제없으니...대표표제어김선생님 | 성씨채
- 김선생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선생 김 여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허평구(和平区) 서탑마 흥문리 9호 1 1 김선생, 선생님, 귀국,대표표제어김선생 | 성씨김
구술자료(133)
- 김선비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김선비 김선비 역사 인물 현대 황해도 장연군 구술자료 1. 황해도에서 태어나 광산에서 일하던구술자김선비 | 직업무직 | 지역황해도
- 김선몽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월남민 생애구술자료 김선몽 김선몽 역사 인물 현대 황해도 황주 구술자료 - 가호적의 생년월일은 1937년 12월구술자김선몽 | 직업인천 제삼교회 장로 | 지역황해도
- 사계 김선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제와 같이 영빈서원에서 청중 12명이 모인 가운데 조사를 하게 되었는데, 마침 이 부락에 다니러 왔다가 정수진씨의 연락으로 조사장소에 나타난 제보자가 <page id="625"></page> 조사취지나 조사자의 신분 등을 묻고는 들려 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80-08-20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 제보자정연학
- 봉이 김선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설화 9에 이어서 인물 전설을 요청했더니 이 ‘봉이 김선달’ 일화를 구술하였다. 구술자는 물론 청중도 이야기 후반에 가서 자주 웃었다.*조사일시1980-08-11 | 조사장소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북동 | 제보자임길포
- 봉이 김선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화 9] 녹음을 한 뒤, 제보자에게서 민요 13편을 녹음했다. 그리고 나서 제보자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하고 다시 노인회관에 돌아왔다. 민요를 더 청했으나, 제보자는 ‘봉이 김선달 얘기’만 해도 한 자루 더 된다고 자랑하면서 ‘크흠’하고 몇번 목을 가다듬고 이야...조사일시1985-04-15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 제보자서보익
기초학문(268)
- 金善臣의 생애와 그의 저작에 관한 일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868712 한국연구재단 동방한문학 2008 金善臣의 생애와 그의 저작에 관한 일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유형논문 | 게재일2008
- 淸山 金善臣 編纂 『頭流全志』의 구성 내용과 특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7797 한국연구재단 대동한문학회 2015 淸山 金善臣 編纂 『頭流全志』의 구성 내용과 특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연령과 속도 경향이 예측 타이밍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선진, 게재일 : 200001064 김선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00 연령과 속도 경향이 예측 타이밍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유형논문 | 게재일2000
- A Study on Case by Agree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선웅, 게재일 : 200403302 김선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4 A Study on Case by Agree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유형논문 | 게재일2004
- A Note on Expletive Split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선웅, 게재일 : 200204786 김선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생성문법학회 2002 A Note on Expletive Split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490)
- 先金還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림쳔군거 방영식은 림쳔 한산 량군에 도슈쟝을 셜치로 농상공부에 먼져 셰금을 밧치고 인허엇어 도관찰의게 도부되 관찰가 인허치안이야 셜치슈업슴으로 다시 농상공부에쳥원고 그 먼져밧친셰랍금 십환을 도로 츌급라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採金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 황금굴난 미국긔계 발명얏난 그 긔계난 륜션에부쳐셔 바다밋혜 모파난긔계와 근기로 일홈을 금션이라칭더라 그 광잇난근쳐에 노으면 그가 스로 을파고 광잇난곳으로들어가 금을고 금을불녀 분셕야난 금이 심히만은데 그긔계갑은 칠만원 혹 십만...게재일1906년 2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金善佑(-)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善佑(-) 인천 金善佑 - 龍里 85 - - 중개(仲立),주선업 미곡류중립 7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善佑(-)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중개(仲立),주선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金善奎(-)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善奎(-) 인천 金善奎 - 柳町 22-1 - - 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도소매 12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대표표제어金善奎(-)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쌀(미),콩(대두),좁쌀(속),잡곡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金善佑(-)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善佑(-) 인천 金善佑 - 龍里 85 - - 매갈이(籾摺) - 4 겸업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善佑(-)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매갈이(籾摺)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멀티미디어(190)
-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강의 소개 및 총론_1주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강의 소개 및 총론_1주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강의 소개 및 총론_1주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강의 소개 및 총론_1주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신채호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강의 소개 및 총론_1주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기타자료(371)
- 김선;金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411 일본 奈良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一覽 昭和4年度 1929―10―30 181면 김선;金善학교소재지역奈良 | 학교명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선;金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420 일본 奈良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一覽 昭和5年度 1930―09―20 174면 김선;金善학교소재지역奈良 | 학교명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선;金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436 일본 奈良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一覽 昭和6年度 1931―09―30 176면 김선;金善학교소재지역奈良 | 학교명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선;金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453 일본 奈良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一覽 昭和7年度 1932―10―15 169면 김선;金善학교소재지역奈良 | 학교명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선;金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8490 일본 奈良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一覽 昭和8年度 1933―11―25 272면 김선;金善 제21회 1933년 3월학교소재지역奈良 | 학교명奈良女子高等師範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3)
-
Democratization and Social Change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혁래 | 연세대학교 | 2007 | 국내 | 서울
-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구술자료 아카이브 구축사업 | 김원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2 | 국내 | 경기
-
한국 근대화의 사상적 동력 : 근대 조선과 대한민국 건국기까지의 거대 담론들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황태연 | 동국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
한국 근대(고종‧순종시대: 1863~1910년) 기록물의 아카이빙과 활용방안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태진 | 서울대학교 | 2024 | 국내 | 서울
-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권수 | 서울대학교 | 2008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28)
-
김선 / 金瑄 [종교·철학/유학]
1599년(선조 32)∼1614년(광해군 6).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는 김안도, 조는 김오, 부친은 김제남이다. 모친은 광주노씨 광산부부인으로 노계의 딸이다. 김선은 선조의 처남이다. 백헌 이경석과 과거 공부를 같이 하였는데, 김선의 문예를 따를 수 없다고 항상
-
김선기 / 金善琪 [언어/언어/문자]
1907∼1992. 언어학자. 930년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37년 영국 런던대학에서 음성학을 전공하여 문학석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였다. 1938년 연희전문학교 전임강사로 취임, 1939년 조교수, 1940년 교수가 되었다. 1942년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함흥형무
-
김선량 / 金善亮 [역사/근대사]
1899-미상. 독립운동가. 황해도 안악 출신. 3·1운동 때 선천의 신성학교(信聖學校)학생으로 이승훈(李昇薰)의 지시를 받은 교사 홍성익(洪盛益)·김지웅(金志雄)·양준명(梁濬明) 등의 지도 아래 기숙사에서 독립선언서를 등사하고 격문과 태극기를 제작하여 3월 1일 선천
-
김선이 / 金仙伊 [역사/근대사]
1880-미상.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북도 영주(榮州)이다. 1907년 일본에 의해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 군인들이 대거 의병진에 가담함으로써 전국적인 무력투쟁이 시작되었다. 이때 1909년(융희 3) 5월 김상태(金相泰) 의진(義陣)에 가담하였다.
-
김선필 / 金善弼 [역사/조선시대사]
1807년(순조 7)∼1883년(고종 20). 조선 말기의 무신. 아버지는 학기이다. 1829년(순조 29) 무과에 급제, 전라도·충청도의 병마절도사를 역임하였다. 1871년 신미양요 때 강화수로의 중요한 근거지인 광성진을 방어하다 미국군의 공격을 받아 장렬하게 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