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상정” 에 대한 검색결과 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

사전(11)

  • 곡천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922년 함안 화산재(花山齋)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병린(金柄麟)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5(고종 12)∼1954. 조선 말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명옥(明玉), 호는 한월당(寒月堂). 아버지는 덕재(德載)이며, 어머니는 연안 이씨(延安李氏)승원(昇遠)의 딸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
    이칭별칭 덕삼(德三)| 곡천(谷川)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중대 일본에 사신으로 파견된 관리. [내용] 관등은 급벌찬(級伐飡)이었다. 734년(성덕왕 33) 12월에 쓰쿠시(筑紫)의 대재부(大宰府)에 도착하여 735년 2월에 일본의 도읍에 입경하였다. 이때 일본조정은 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2(경종 2)∼1788(정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치오(稚五), 호는 석당(石堂). 장생(長生)의 6세손이며, 대사헌 만채(萬埰)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진항(鎭恒)이고, 아버지는 군수 영택...
    이칭별칭 치오(穉五)| 석당(石堂)
  • 옥계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에 있었던 서원. [내용] 1740년(영조 1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시열(宋時烈)‧()‧전선(田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77년(정조 1)에 초평...
    연계항목옥계서원(玉溪書院)

고서·고문서(47)

신문·잡지(3)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相七海州府主事權寧奭依願免本官 任寧邊府主事李鳳載 任光州府主事金相鎭 任大邱府主事 任海州府主事金祚永以上三月六日 命特派日本國祝賀大使義陽君李載覺三月十六日 命侍從院副卿從二品李漢英 命署理卿事務經理院監督金永振以上三月十七日
    게재일1905년 3월 22일 | 기사분류관보
  • 천도교회월보_1915_05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34 강진세간마(降盡世間魔) 박사직 36 감화료병(感化療病) 39 환원제씨의 불오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5
  • 노서아학생들의하휴생활 SS생 71 제3회현상발표 72 내진정에서우러나는감사 정재운, 박노춘,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기타자료(10)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7955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84면 - ; 1940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0371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76면 ; 경북 영덕군 영해면 성내동 664 제20회 4265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0455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156면 ; 조선 1929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376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창간호 1933―06―25 93면 ; 경남 통영군 屯源面 鶴里 1932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1977 일본 東京 中央大學 中央大學우리同窓會 회원명부 1935―06―10 12면 ; 경남 통영군 屯源面 鶴里 1932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中央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68년(현종 9)∼1728년(영조 4). 조선 후기 유학자. 항재 이숭일과 갈암 이현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두 선생의 제자 중 유독 뛰어나 성리학을 하면 대성할 것이라는 말에 과거를 포기하고 성리학만을 연구하였다. 스승 이현일의 사후에 고향으로 돌아가 서당을

  • / [종교·철학/유학]

    1722년(경종2) ∼1788(정조12). 조선 후기의 문신. 김장생의 6세손이며, 대사헌 김만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진항이고, 아버지는 군수 김영택이며, 어머니는 신성하의 딸이다. 1771년 의성현령으로 재직중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으며, 1777년 정조

  • 곡천문집 / 谷川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2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922년 함안 화산재(花山齋)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광정(李光庭)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병린(金柄麟)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 김천서 / 金天瑞 [종교·철학/유학]

    1712년(숙종 38)∼1777년(정조 1). 조선 후기 문신·효자. 고려 김취려와 도원수 김상의 후손, 고조는 예빈시참봉 김승서, 증조는 , 조부는 김옥이다. 부친 김성려와 모친 흥양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두 명의 부인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태인허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