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상옥” 에 대한 검색결과 2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4)

사전(5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3(숙종 9)∼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언장(彦章), 호는 소와(疏窩). 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오(粹五)이고, 아버지는 장령(掌令) 호(灝)이며, 어머니는 윤제(尹堤)...
    이칭별칭 언장(彦章)| 소와(疏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3(국사편찬위원회, 1967) 『무장독립운동비사(武裝獨立運動祕史)』(채근식, 대한민국공보처, 1949) 「의사(義士)의 의거(義擧)의 전말(顚末)과 역사적 평가」(임영정, 『동아일보(東亞日報)』, 1983.1.22) ...
    이칭별칭 한지(韓志)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01∼1969.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상옥(尙玉‧相沃). 평안북도 선천 출신.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향리인 선천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일본경찰에 잡혀 평양형무소에서 6개월간 복역하였다. 그해 만주로 망명하여 ...
    이칭별칭상옥(尙玉)|상옥(相沃)
  • 유득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912년 3월부터 7월 사이에 일본 동경신학회(東京神學會)에서 기독교에 관한 교육을 받고 귀국하였다. 1920년 10월 왕십리의 목사 김태현(金泰鉉)의 집에서 ()의 권유로 암살단에 가입하고 으로부터 권총 1정과 탄환 3발을 받았다. 10월 1...
    이칭별칭홍익수(洪益洙)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349 인물 () 1727 ? 조선 후기의 무관. 자는 온숙(溫叔), 호는 석재(石齋). 본관은 해풍(海豊). 경오년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였고, 내금장(內禁將)을 지냈다. 1763년...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92)

  • 판결문(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CJA0000769-0051 / CJA0000531-0011 大正11年 刑控 第825號 / 大正11年 刑上 第174號 국가기록원 대구복심법원 / 고등법원 判決文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22.11.08. / 1922.12.21. 나가시마(永島雄藏), 나...
    제목김상옥 판결문(金祥玉 判決文) | 사건유형문서위조행사, 사기 | 소장처국가기록원
  • 6 第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25년_웅촌면(熊村面) 1825년 웅촌면(熊村面) 第八召周里 6 第六統統首 第一戶 業武年肆拾捌戊戌本慶州父原遜祖萬富曾祖錫東外祖朴碩本密陽妻郭 姓年肆拾捌戊戌本玄風父武及第光周祖元智曾祖鳳梧外祖김進弼本김海子道淳年 貳拾伍辛酉婦車姓年貳拾柒己未婢日今年...
    연도_면이름182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八召周里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86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786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五路東里 2 第二統統首 第一戶 府軍官年肆拾丁卯本慶州父嘉善大夫行龍驤衛副護軍雲峯祖學生秋三曾祖學生慶 立外祖學生金瑞建本慶州妻李姓年參拾肆癸酉本蔚山父貢生瑞龜祖進赫曾祖同知中樞府事俊榮 外祖...
    연도_면이름1786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五路東里
  • 9 第九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4년_웅촌면(熊村面) 1774년 웅촌면(熊村面) 第十二德峴里 9 第九統統首 第一戶 年柒拾參壬午本金海父汝貞祖膴信曾祖聲宇外祖郭承命本玄風妻朴姓年柒拾乙酉本密陽父學生進 昌祖學生海成曾祖學生殷寶外祖學生李繼遠本慶州率子應寶年參拾柒戊午次子宗澤年貳拾玖...
    연도_면이름1774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二德峴里
  • 기사년 () 수기(手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수기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수기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신문·잡지(56)

기타자료(1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9570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8224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33면 ; 제5회 1936-09-30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4947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1 82면 1. 제12. 졸업생;27) 상과 제9회 졸업생 (1921년 3월 23일) 10인 ; 경성부 社稷洞 156...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6800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87면 2. 제8. 졸업자;27) 상과 10인 (1921년 3월 23일)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0356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20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16) 제16회 104명(1920년 3월 졸업) ;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 [역사/근대사]

    1890-1923.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한지(韓志). 1910년에는 경성영어학교를 다녀 국제정세와 서양문화에 안목을 넓혔다.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된 것은 3.1독립운동 이후부터였다. 혁신단이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혁신공보>를 발간해 독립사상을 계

  • / [역사/근대사]

    1901-1969년. 독립운동가. 일명 상옥(尙玉)·상옥(相沃). 평안북도 선천 출신.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향리인 선천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일본경찰에 잡혀 평양형무소에서 6개월간 복역하였다. 그해 만주로 망명하여 항일운동단체인 대한청년단연합회에 가입

  • 종로경찰서투탄의거 / 鍾路警察署投彈義擧 [역사/근대사]

    1923년 의열단원 이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던진 사건. 1923년 1월 12일 밤 8시 10분경 종로경찰서 투탄에 성공한 은 그날 밤으로 삼파동에 있는 매부집에 은신하고 있다가 일본경찰에 포위되었다. 이 곳에서 총격전을 전개하여 형사부장 마에무라를 비롯하여

  • 김봉한 / 金鳳漢 [역사/근대사]

    미상-1922.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평소 항일의식이 투철하였는데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독립운동에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하고 중국으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철마별영(鐵馬別營)에 가담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하였다. ()·김용택(金龍澤)·김세진(金世鎭)·박

  • 고원의곡 / 故園의曲 [문학/현대문학]

    ()의 시집. 시인이 쓴 머리말 ‘이끼 푸른 옛 비석(碑石)’과 서문, 그리고 동창생인 김청석(金靑石)이 쓴 발문과 더불어 총 26편의 시가 Ⅰ, Ⅱ부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동심을 주제로 한 작품은「봄 ① - 햇빛과 아기」,「강(江) 건너 마을」,「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