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상로” 에 대한 검색결과 1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2)

사전(42)

  • 하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필사본. 서와 발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8수, 문 1편, 규약 1편, 묘표 2편, 신도비명 1편, 권2에 사실기(事實記) 1편이 수록되어 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2(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경일(景一), 호는 하계(霞溪) 또는 만하(晩霞). 공조정랑 극형(克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전라도관찰사 징(澄)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유(楺)이며, 어...
    이칭별칭 경일(景一)| 하계(霞溪), 만하(晩霞)| 익헌(翼獻)
  • 민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령전투에서 적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1701년(숙종 27) 신료들의 건의에 의하여 정려를 세웠다. 1755년(영조 31) 영사 이정보(李鼎輔)가 병자호란 때의 척화절인 26인의 치제를 건의할 때 이에 뽑혔으며, 이듬해 ()의 건의에 의하여 시호가...
    이칭별칭 정보(正甫)
  • 신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등이 천거하자 영조 또한 ‘당론의 주인’인 박세채를 생각하여 등용하였다. 1756년(영조 32) 호조참의로 있으면서 박세채의 문묘배향을 주장하다가 사림들의 탄핵으로 삭탈관직되었다. 1763년에 시강원찬선에 특별히 제수되자 이를 고사하였다. 이에 영...
    이칭별칭 명윤(明允)| 직암(直菴)
  • 서지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1766년에는 영의정에 올라 할아버지 종태(宗泰), 아버지 명균에 이어 3대째 상신(相臣)이 되었다. 대사헌으로 있을 때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비행을 조작하여 영조에게 허위보고한 ()ㆍ홍계희(洪啓禧) 일당을 탄핵하였으며, 시강원(侍講院)의 빈객(...
    이칭별칭 일지(一之)| 송옹(松翁), 졸옹(拙翁)| 문청(文淸)

고서·고문서(139)

  • 5 第五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85년_상부면(上府面) 1885년 상부면(上府面) 第六금巖里 5 第五統統首 第一戶幼學年肆拾貳甲辰本김海父學生振斗祖學生思翟曾祖 學生俊默外祖學生鄭甭淳本溫陽妻李氏年參拾柒己酉本蔚山父學生 聖熙祖學生運杓曾祖學生世淡外祖學生朴之馨本義興等壬午 戶口相准 ...
    연도_면이름1885년_상부면(上府面) | 면이름상부면(上府面) | 마을이름第六금巖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65년_청양면(靑良面) 1765년 청양면(靑良面) 第十七山下里 1 第一統統首 第一戶 禁米保年參拾肆壬子本金海父正兵孝根祖正兵弘立曾祖正兵臣得外祖嘉善李希必本月城妻崔姓年參拾柒 己酉本月城父忠衛永巾祖通政貴善曾祖正兵彦己外祖通政朴正果本密陽率女今故率女召...
    연도_면이름1765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七山下里
  • 무진년 () 혼서(婚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안동 송파 진주하씨 하위지 후손가
  • 52175 B052175 도민 島民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33年 10月 4日_025 爲之, 可也? 純儉曰, 臣親承聖敎, 敢不竭力爲之乎? 上曰, 金海是大處乎? 曰, 自失明沿海故未免凶歉云矣。 上曰, 不至於設賑云耶? 至英曰, 不至於設賑云矣。 上曰, 前倅誰也? 至...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7345 B057345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35年 3月 29日_021 ... 如? 眩氣加減, 亦何如? 令曰, 一樣矣。 曰, 大朝哀疚之餘, 夜間, 聖體若何? 令曰, 水刺不得近御矣。 曰, 王世孫日寒如此, 能無傷損之節乎? 令曰, 一樣矣。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제1급을 다음과 같이 수여한다. 국기훈장 제1급 군관 강응천 김무훈 김홍근 리기봉 리동식 리수호 리순님 박창설 서동준 정훈 주명봉 허수철 하사관 전사 김상우 김택선 민영엄 박동현 오득철 장재근 장중구 전말원 전송운 진두평 최원서 최진수 한계열 홍명국 황봉철 조선...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218_02 | 책임주필서춘식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702(숙종 28)∼?. 조선 후기의 문신. 공조정랑 김극형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전라도관찰사 김징이고, 아버지는 대제학 김유이며, 어머니는 송박의 딸이다. 좌의정을 지낸 김약로의 아우이다. 1744년 승지로서 무과에 폐단이 많음을 지적하고 엄격하게 시행할 것을

  • 김한록 / 金漢祿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현감 운경의 아들, 영조의 장인인 한구의 종제, 우의정 관주의 아버지이다. 한원진의 문인이다. 관직은 세자익위사세마에 그쳤으나, 종질인 구주와 함께 ·홍계희·정휘량·신만 등 벽파 대신들을 조종하여 1762년(영조 38) 사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