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봉화”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
사전(6)
- 구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루지 못했음을 아쉬워하고 있다. 김봉화(金鳳和)에게 보낸 편지는 별지(別紙)로서 『중용』의 의심난 항목에 대하여 자기의 의견을 첨부하여 질의한 내용이다. 「포고팔로문(布告八路文)」은 1895년 왜병이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시해했을 때 장영서기(將營書記)로 의병...
- 堂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 木樨, 蓮, 菊, 臘梅, 窑磁甁, 嬪御, 閨房, 揷花, 揷甁, 鹽水, 芍藥, 桅子, 荷花, 芙蓉竹, 金鳳花, 蜀葵, 秋葵, 萱花, 鳳仙花, 海棠花, 桅子花, 甁花之法, 花卉, 細少竹木法, 石菖蒲, 揷甁法 宋時, 乙未正月 燕都, 京師, 我東, 中原, 日本, 江...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8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花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丹, 白色, 芬香, 佛書, 藥用, 山梔, 越梔, 六花, 薝蔔, 林間佛, 禪友, 映山紅, 杜鵑, 躑躅, 南方, 白牡丹, 五色, 變紫, 變紅, 靑蓮花, 鳳仙花, 金鳳花, 婦人, 染指, 躑躅, 紅白, 二種, 白躑躅, 紅躑躅 冬至, 元 江邊, 北道慶興, 宋, 金, 我國...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20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醃蔬菜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醃鹽韮法, 肥韮, 糝鹽, 胡蘿蔔菜, 芥菜, 川椒, 假萵筍法, 金鳳花, 胡蘿蔔鮓, 蔥絲, 花椒, 紅麴, 造蒲筍鮓, 熟油, 粳米飯, 造藕稍鮓, 蔥油, 薑橘絲, 造虀菜法, 老薑, 相公虀法, 蘿蔔, 萵苣條, 白菜, 芥末茄兒法, 茄, 乾芥末, 造瓜虀法, 甛瓜, 醬瓜茄法, 醬黃,...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8권 19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閨秀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 詠雨, 玉索, 銀鈴, 行幸, 天中, 天中新日月, 輦下, 輦下舊臣民, 近代, 閨秀, 第一, 早夭, 詩集, 琴瑟, 怨思, 采蓮曲, 碧玉, 蘭舟, 讀書, 江舍, 洞房, 流蕩, 金鳳花, 染指, 火星, 紅雨, 點化, 遊仙詞, 宮人, 入道, 樂府, 古詩, 僞作, 白玉樓上樑文,...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4권 1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3)
- 조선시대 역학서:1690_역어유해(下)_香氣花 진.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역어유해 106 1690_역어유해(下) 香氣花 진. 1690역어유해(하)_40a.jpg 香氣花 진. 鷄冠花 만도라미. 蘡粟花 양구빗곳. 金鳳花 봉션화. 鳳仙花 봉션화. 捲丹花 개너리곳. 水葒花 료화. 水蓼 료화. 冬花 동. 木槿花 무궁화. 木蓮花 木蓮花. 映...편명1690_역어유해(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1 第一統統首金己善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春福外祖金應世本慶 州率同生己亥率同生己弘率母仁上等父戶去率叔母金召史今故率女日花年 拾伍甲戌今加現等乙酉戶口相准 第二戶 府案付主鎭騎保金梅石乙伊年參拾參丙辰本金海父正兵德民祖正兵能上 曾祖應上外祖正〈兵〉金奉化本慶州妻良女朴召史年參拾己未本密陽 父驛吏--祖驛吏進奉曾祖驛吏進好外祖司果崔自〈隱...연도_면이름1708년_부내면( 府內面) | 면이름부내면( 府內面) | 마을이름第一水落洞里
- 9 第九統統首김漢宗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學生仁 載外祖學生鄭桂南本延日侍繼母李氏年陸拾陸乙丑本慶州婢月禮年 辛丑前逃亡等丁卯戶口相准 第四戶 璿源錄參奉李基一年陸拾柒甲子本慶州父學生賢祖學生發 秀曾祖學生永祿外祖學生김鳴哲本김海妻김氏年陸拾陸乙丑本 江陵父學生正元祖學生時鳴曾祖學生德希外祖學生김奉化本 慶山婢日今年癸亥等丁卯戶口相准...연도_면이름187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鶴南里
- 1 第一統統首김道鉉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尙宅祖道先曾祖南和外 祖羅春得本羅州率人女김召史年肆拾玖辛卯本光山女年拾壹己巳等丙 子戶口相准 第四戶 幼學김鳳化年伍拾參丁亥本慶州父學生斗浹祖學生順彩曾 祖學生禹鼎外祖學生李興穆本慶州妻鄭氏年伍拾陸甲申本東萊父學生時東祖 學生正龍曾祖學生汝興外祖學生朴順碩本密陽子長壽年拾玖辛酉婦朴氏年 貳拾...연도_면이름1879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二南洞里
- 5 第五統統首孫弼琥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琮祖學生雲城 曾祖學生復喬外祖學生朴文旭本密陽妻鄭氏年參拾陸丁未 本晋州父學生禧文祖學生元萬曾祖學生日泰外祖學生姜禹 定本晋州婢甘辰年辛未等己卯戶口相准 第五戶幼學김鳳化年伍拾陸丁亥本慶州父學生斗浹祖學生順埰 曾祖學生禹鼎外祖學生李興穆本慶州妻鄭氏年伍拾玖甲申本 東萊父學生時東祖學生正曾祖學生...연도_면이름1882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南洞里
구술자료(3)
- 제주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나 이어도사나” 7) 해녀노래[독창: 미상](10:10): “이어도사나”로 시작. 8) 노젓는소리 소리[선후창: 김봉화](12:30): “이어도사나”로 시작. 9) 노젓는소리 소리[선후창: 박금용](13:59): “이어도사나”로 시작. 10) 뱃노래[선후창: 박금용]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봉화
- 제주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나 이어도사나” 7) 해녀노래[독창: 미상](10:10): “이어도사나”로 시작. 8) 노젓는소리 소리[선후창: 김봉화](12:30): “이어도사나”로 시작. 9) 노젓는소리 소리[선후창: 박금용](13:59): “이어도사나”로 시작. 10) 뱃노래[선후창: 박금용]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상희
- 제주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나 이어도사나” 7) 해녀노래[독창: 미상](10:10): “이어도사나”로 시작. 8) 노젓는소리 소리[선후창: 김봉화](12:30): “이어도사나”로 시작. 9) 노젓는소리 소리[선후창: 박금용](13:59): “이어도사나”로 시작. 10) 뱃노래[선후창: 박금용]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금용
신문·잡지(6)
- 金鳳化(-)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鳳化(-) 원산 金鳳化 - 銘石洞 - - 양복상 조제 9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鳳化(-)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양복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황해일보_1953_1114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한동순 황해도 강운여 황해도 윤정하, 김수철, 김봉화, 황의환 서흥광산 우리 브리가다에는 40%이상이 신입로동자들이다. 로동생활에 경험이 적은 이들 중에는 초기에 마음대로 결근지각하거나 또는 다만 출근만 잘하면 되는 듯이 생각하고 작업...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3_1114_03 | 책임주필한동순
- 우리들_1967_02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페이지-펜팔 김봉화 76 독자페이지-낙동강 인진호 77 독자페이지-다시 뱃고동 소리를 들으며 최정웅 77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7
- 황해로동신문_1947_0920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성음) 해운동에서는 9월 16일 인민반 좌담회에서 해운동 546번지에 거주하는 김봉화 씨는 편지 랑독이 끝난 후의 분심에 넘치는 어조로 말하기를 『남조선 반동 도당들의 최후 발악으로 이같이 친형제 자매들이 검거 투옥 학살당하고 쏘미공동위원회 사업이 지연되고 있으며...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920_03
- 근위_1951_0816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봉화 김영주 최광흠 박성실 차□균 김문걸 리승준 류의순 김천식 정찰대대 리기화 김영우 리수엽 모종현 리중언 김원민 조이남 김영복 장학선 오도재 황종석 김남용 장상혁 림봉산 조운수 리□□ 공민식 258 조준구 소진후 권□진 송□문 허금암 리경춘 황원호 최원길 강...대표표제어근위_1951_0816_01 | 날짜1951년 8월 16일
기타자료(2)
- 김봉화;金鳳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김봉화;金鳳化 경상남도 마산 소화10년 3월8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봉화;金奉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1419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5면 김봉화;金奉華 제주도 신우면 애월리 제1회(19명) 1921년 3월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김봉화 / 金奉和 [역사/근대사]
1882-1919.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경주(慶州)이고, 제주도 안덕(安德)에서 태어났다. 1918년 10월 5일 서귀포 법정사(法井寺) 승려 김연일(金蓮日)·강창규(姜昌奎) 등의 주축이 되어 400여 명의 주민이 중문주재소를 습격한 무오법정사항일운동에 승
-
김상언 / 金商彦 [역사/근대사]
1873-1965년.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제주도 외도(外都)에서 태어났다. 1918년 10월 5일 서귀포 법정사(法井寺) 승려 김연일(金蓮日)·강창규(姜昌奎) 등이 주축이 되어 일어난 무오법정사항일운동에 참여하였다. 김봉화(金奉和), 김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