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봉학” 에 대한 검색결과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6)

사전(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1(고종 8)∼1905. 독립운동가. [내용] 황해도 황주 출신. 1895년 10월 일제의 민비시해 만행이 일어나자 김하락(金河洛)의 휘하로?경기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제2대십장으로 활약하였다. 그 뒤 군대에 입대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3(고종 20)∼1943. 판소리의 명창. [내용] 전라남도 나주 출생. 원각사(圓覺社) 주석으로 있던 판소리 명창 김창환(金昌煥)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아버지로부터 판소리를 10여년간 배웠고, 아버지의 법통을 이어받았...
  •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판소리연희자 가 1. ()은 충북 진천(현재 충북 진천군)에서 태어나 19세기 후반-20세기 전반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으로, 정확한 생몰연대는 알 수 없다. 이석순(李錫順)의 제자이다. 〈흥보가〉를 장기로 삼았다. 2. (, 1883-1...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이석순(李錫順)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판소리연희담당 아 이석순(李錫順) 이석순(李錫順)은 경기 안산(현재 경기 안산시)에서 태어나 조선후기에 활동한 판소리 명창으로, 정확한 생몰연대는 알 수 없다. () 등이 그의 제자이다. 〈춘향가〉를 장기로 삼았으며, 그중 ‘사벽도 사설’은 그의 더늠이...
    대분류판소리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구례중앙초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禮客舍)로 이전하였으며, 그 뒤 독지가 안기섭이 사재를 희사하여 1939년 6월에 현재의 위치로 교사를 신축하였다. 광복 후 초대교장에 ()이 취임하였으며, 학생수의 증가에 따라 1964년에 구례북국민학교를 분리ㆍ독립시켰다. 1996년 3월에 구례중앙...

고서·고문서(47)

구술자료(17)

  • 정광수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 음질 중 정광수 유성준 판소리 1991-04-28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정광수 학원 31:08 30:52 A면 정광수 대담B면 정광수 대담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30:21 28:33 A면 1) 모찌는소리(05:12) 소리 김기연 김수년2) 상사소리(08:37) 소리 김기연3) 상사소리(15:00) 소리 4) 뽕따러가세(18:15) 소리 김기연5) 굴까러가세(25:50) 소리 강춘자 외B면 1)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봉학
  • 정광수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언이 녹음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정광수 김창환 신재효 김봉이 김정문 오수암 성원목 강남준 임방울 박지홍 정금옥 김녹주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흥보가 중타령 제비노정기 화랑극단 목포권번 판소리 1988-07-0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 정광수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자료이다. . 2) 음질 상 정광수 이동백 김창룡 김득수 한승호 김창환 강장원 박종기 임유앵 장판개 정경태 임방울 염계달 박유전 배희근 정응민 정재근 이날치 군목 조선성악연구회 삼고초려 우조 계면조 청우조 엄우조 호령조 적성가 남창 지름시조 강산제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 정광수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한 얘기가 녹음된 자료이다. 2) 음질 상 정광수 이동백 김창룡 김득수 한승호 김창환 강장원 박종기 임유앵 장판개 정경태 임방울 염계달 박유전 배희근 정응민 정재근 이날치 김명환 군목 조선성악연구회 삼고초려 우조 계면조 청우조 엄우조 호령조 적성가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정광수

신문·잡지(14)

  • 경제·산업 사건 근대 () 서울 漢江通 3市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57.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鳳鶴(金鳳鶴)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泰興商會) 서울 泰興商會 南大門通 4-10 복장품 - 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소매 4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金鳳學(泰興商會) | 지역서울 | 품목복장품 | 영업종목일본/서양식 잡화(和洋雜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贈職表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징샹삼 샹등병 씨 결일로 죠칙을 나리시기 이 우분격렬야 목숨을 경히넉이고 졀 셰운거시 더욱 가샹지라 특별이 법부참셔관을 증직고 졍문을셰우게고 례랑을보여 치졔고 쟝비 궁부에셔 후이쥬라 압셧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改只丞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징샹병으로 슌졀 씨의 증직은 법부참셔관으로 얏더니 다시 쳐분이나리 비셔승 증직이되얏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 聖恩優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슌졀 학부쥬 리상쳘 상등병 량씨에계 쟝비 나리셧 리씨에계난 포목두동에 돈 원에 미 열셤이오 김씨에계난 목 삼십필 마포 삼십필 돈 이원에 미오셕이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8)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4157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0면 (2) 졸업생일람 ; 경성부 世富蘭偲병원 고보12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5622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6면 1. 졸업생 177명(과별) ;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2115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10호 1930―03 95면 ; 청주군 오창면 후기리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0036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9호 1929―01―10 106면 ; 청주군 오창면 후기리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0739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387면 ; 조선;東京府下瀧野川町西ヶ原489 1928년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예술·체육/국악]

    1883-1943. 판소리의 명창. 원각사(圓覺社) 주석으로 있던 판소리명창 김창환(金昌煥)의 아들로 전라남도 나주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아버지로부터 판소리를 10여년간 배웠고, 아버지의 법통을 이어받았다. 풍채와 더불어 좋은 목과 재질을 타고나서 대명창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