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복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1)
사전(6)
- 양도일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인형극연희자 아 양도일 양도일(梁道一, 1907-1979)은 충청남도 대덕군에서 출생했다. 15세 때 마을에 공연하러 온 남사당패를 따라나섰다. 그 후 홍덕화(洪德和, 1870-1939), 김복만, 유덕일 등에게서 무동, 장고, 꼭두각시놀음의 산받이 기․예능을 배웠...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양도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중 「꼭두각시놀음」 기예능보유자. [내용] 1907∼1979. 충청남도 대덕군에서 태어나 대전 은행동에서 살았다. 1919년 ‘안성복만이패’의 김복만에게 놀이를 배워 남사당패를 따라다녔으며 유덕일에게
- 송창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며, 안성 복만이패 행수 김복만의 제자인 양도일(梁道一)에게 남사당 덧보기를 배워 덧보기도 잘 하였다. 1964년에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인 「꼭두각시놀음」의 호적잽이 기예능보유자로 인정을 받았다. 경기도 평택시 서정동에 살았으며, 서울 남사당놀음에...이칭별칭송복산(宋福山)
- 김조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31년 코민테른 동양부의 지시로 귀국하고 김복만(金福萬)과 재혼했다. 1931년 8월 태평양노동조합 계열의 활동가들과 함께 활동하던 중 일본경찰에 검거되어 징역 3년을 선고받았다. 해방 후에는 1945년 11월에 열린 전국인민위원회 대표자대회에 인천 대표로 참석했으...이칭별칭은곡(隱谷)|마야꼬바
- 안성남사당풍물놀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당의 마지막 뿌리였던 김복만을 비롯하여 남운용‧양도일‧송순갑‧최은창‧송복산 등이 1950년대 후반에 새 남사당농악을 꾸몄다. 요즈음 연희되고 있는 서울 남사당 농악(상쇠-김재원)‧평택농악(상쇠-최은창)‧천안시 흥타령농악(상쇠-이돌천)‧안성남사당농악(상쇠-김기복)‧대전웃...연계항목안성남사당풍물놀이(安城男寺黨風物놀이)
고서·고문서(35)
- 4 第四統統首金福萬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01년_대현면(大峴面) 1801년 대현면(大峴面) 第四十二長承里 4 第四統統首金福萬 第一戶 朴召史故代子別防射夫金福萬年參拾肆戊子本金海父江生祖尙奉曾祖萬年外祖朴介福本 慶州妻金召史年貳拾貳庚子本慶州父朔不祖重華曾祖成堅外祖金芿叱石乙本金海同生女 召史年貳拾壬寅等...연도_면이름1801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四十二長承里
- 龍洞宮 (1875)_경기도 안산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41946 18294_0198 奎18294 龍洞宮 (1875) 경기도 안산군 草山面 경기도 안산군 草山面 20 20결 김복만(金卜晩 ) 김복만(金卜晩 )자료번호18294_0198 [奎18294]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明惠公主房(1769)_전라도 나주목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06390 18770_2236 奎18770 明惠公主房(1769) 전라도 나주목 飛禽島 廣大後坪 전라도 나주목 飛禽島 廣大後坪 9 9결 김복남(金卜萬) 김복남(金卜萬)자료번호18770_2236 [奎18770]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庄土文績_제4책 : 金晟粲提出圖書文績類 49. 雍正拾壹年-癸丑-二月初六日姜壹千處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6.5x39.7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46.5x39.7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733년(영조 9) 2월 6일 金福萬 답주 金福萬 답주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江原道庄土文績_제12책 : 江原道原州郡彌乃面所在庄土景祐宮提出圖書文績類 42. 乾隆二十五年-庚辰-正月二十日朴五永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45.3x48.5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배면 1760년(영조 36) 1월 20일 金福萬 답주 金福萬 답주 朴五永 朴五永 元石乭/金乭伊 李■■ 강원 원주 미내 森破員 강원도 원주(군/현) 미내(면...자료명江原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2)
- 전라북도 부안군_상서면 논매기소리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117 전북 전라북도 부안군 전라북도 부안군_상서면 논매기소리 상서면 논매기소리 1. 진소리 어기여 디여 2. 에염소리 둘러라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용서리 1987.1.28 素87-1-28②B 김복만, 이상옥 김복만(1920년생.남.가오리 토민녹음지역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용서리 | 녹음날짜1987.1.28 | 가창방식1, 2. 멕받형(선후창).
- 경상남도 의령군_궁굴레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6_200 경남 경상남도 의령군 경상남도 의령군_궁굴레 궁굴레 의령 동부 논매기소리 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서암리 1987.3.23 素87-3-23①AB 1.이태수 2.김복만 이태수(1929년생.남.토민), 김복만(1920년 합천군 초계면 출생.남.8세에 서암리녹음지역경상남도 의령군 봉수면 서암리 | 녹음날짜1987.3.23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신문·잡지(14)
- 金福滿(華虹寫眞館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福滿(華虹寫眞館 ) 수원 金福滿 華虹寫眞館 本町 3町目 39 - - 사진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福滿(華虹寫眞館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사진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다리 근쳐 술장 김복만이 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다리 근쳐 술장 김복만이 집에셔 어졔 시위일 병뎡 신게술이가 술을만히 먹고 크게 취여셔 김복만의 가장 집물을 물수히 부수고 계집을 무수란타 엿다니 그런 병뎡은 교휵이 업셔 셔 병뎡 노릇 의무를 모로보더라게재일1898년 12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照請遣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외부에셔 부로 죠회기를 룡쳔군보를 거즉 아인의 통 박형쥰이가 김샹념 김복만의 뎐을 득에 삭쥬군슈 졍익용이가 룡쳔군슈 셔리로셔 집 매것을 허가되박형쥰이가비록외국인통로 사인즉 한국사이니 인가다야 층졀을 엿스니 졍군슈를 견야 톄를 죤...게재일1903년 6월 4일 | 기사분류잡보
- 강원로동신문_1950_0707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50년 7월 7일 161 한성(韓星) 원산시 중앙리 37 강원로동신문사 길용범 본사기자 리승만, 장연택, 고경준, 리재명, 김복만, 신봉화 인민군대 보고에 근거하여 리재명 동무는 동족상쟁의 내란도발자 리승만 도당의 흉책과 미제의 야수...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50_0707_02 | 날짜1950년 7월 7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 연변교육_1980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소학교 어휘교수에서의 몇가지 체득 김복만 22 방정식을 세워 푸는 수학응용문제의 해법 리태관, 송승호 24 사어범용훈련일득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80
기타자료(4)
- 김복만;金福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7261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23면 김복만;金福滿 제5회 1930년 3월 24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복만;金福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7487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37면 - 김복만;金福萬 1933년 3월 31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복만;金福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9952 일본 東京 法政大學 法政大學校友名鑑 1941―05―25 98면 김복만;金福滿 조선 1939년 3월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法政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복만;金福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3287 남한 경남 부산여자고등보통학교 2-29 會誌創刊號 1931 121면 김복만;金福萬 부산부 좌천정 367(자택)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김복만 / 金福萬 [역사/근대사]
1907-1974.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전라남도 무안군(務安郡) 현경면(玄慶面)이다. 광주농업고등학교(현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26년 11월 3일 국순엽(鞠淳葉)·김광용(金匡溶)·김창주(金昌柱)·김한필(金漢苾)·문승수(文升洙)·박인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