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매순” 에 대한 검색결과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

사전(4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76(영조 52)∼1840(헌종 6).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덕수(德叟), 호는 대산(臺山). 아버지는 참봉 이수(履鏽), 어머니는 죽산안씨(竹山安氏)로 종주(宗周)의 딸이다. ...
    이칭별칭 덕수(德?)| 대산(臺山)| 문청(文淸)
  • 작치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순조 때 ()이 지은 글. [구성 및 형식] 작자의 문집 『대산집(臺山集)』 권9 잡저에 수록되어 있다. 작치(鵲鴟)란 까치와 올빼미인데, 이 두 새의 상이한 성격을 보여주면서 재미있게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다.
  • 열양세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9년(순조 19) ()이 지은 한양(漢陽)의 연중행사를 기록한 책. [내용] 1권. 인본(印本) A5판 22면. 여기에서 열양은 한양, 곧 오늘의 서울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 책은 서울의 세시풍속 80여 종을...
  • 김상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곤(在崑)이며, 어머니는 유경주(兪擎柱)의 딸이다. 정약용(丁若鏞)ㆍ홍석주(洪奭周)ㆍ()의 문인이다. [내용] 1827년 진사가 되고 1859년(철종 10) 군수로서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 1860년 대사간을 지냈다. 고종 때에...
    이칭별칭 위사(渭師)| 경대(經臺), 노헌(魯軒)| 문헌(文獻)
  • 원관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김극광(金克光)의 시문집. [내용] 10권 2책. 석인본. 김원행(金元行)이 편집한 것을 1962년 7대손 영태(永台)가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권말에 신경(申暻)‧영태의 발문이 있다. 국립...

고서·고문서(21)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776(영조 52)∼1840(헌종 6).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참봉 김이수, 어머니는 죽산안씨로 안종주의 딸이다. 1795년(정조 19)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사인을 거쳐 초계문신이 되었고, 그뒤 예조참판을 거쳐 1821년(순조 21) 강화부유

  • 김상현 / 金尙鉉 [종교·철학/유학]

    1811년(순조11)∼1890년(고종27). 조선 후기의 문신. 김장생의 9대손이며, 김상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기진이고, 아버지는 김재곤이며, 어머니는 유경주의 딸이다.정약용·홍석주·의 문인이다. 문장에 능하여 왕실에서 필요한 전문·죽책문·옥책문·행장

  • 이종상 / 李鍾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99∼1870). 조부 이헌석에게 수학하였고, 시폐의 대책을 상소하여 왕에게 책자를 상으로 받았다. 사설금지를 주장하였고, 미국의 셔먼호 침범을 토벌하는 경주진 소모장이 되었다. ·남고·한운성과 서신으로 태극과 심성을 논하였으며, 대사

  • 열양세시기 / 洌陽歲時記 [생활/민속]

    1819년(순조 19)()이 지은 한양(漢陽)의 연중행사를 기록한 책.1권. 인본(印本) A5판 22면. 열양은 한양, 곧 오늘의 서울을 뜻하는 것으로서, 이 책은 서울의 세시풍속 80여 종을 월별로 구분, 해당절후와 그에 따른 풍속을 간략히 적은 것이다

  • 작치설 / 鵲鴟說 [문학/한문학]

    조선 순조 때 ()이 지은 글. 작자의 문집 『대산집(臺山集)』 권9 잡저에 수록되어 있다. 작치(鵲鴟)란 까치와 올빼미인데, 이 두 새의 상이한 성격을 보여주면서 재미있게 이야기를 전개해나가고 있다. 작품 말미에 작가는 “까치는 참으로 신령스러운 새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