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만기” 에 대한 검색결과 2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8)

사전(6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야회통(朝野會通)』 『경신일기(庚申日記)』 『송자대전(宋子大全)』 (1633-1687) 163...
    이칭별칭 영숙(永淑)| 서석(瑞石), 정관재(靜觀齋)| 문충(文忠)|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문신 한국 조선 효종~숙종 최양규 이범직 2013 영숙(永叔) 둔암(遁菴), 서석(瑞石)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문충(文忠) 양반 남자 163...
  • 묘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에 있는 의 유택. [내용] 경기도 기념물 제131호. 는 조선 숙종의 장인이자 문신으로 <구운몽 九雲夢>을 지은 서포 만중(萬重)의 형이다. 묘역 중앙에는 대형 분묘가 8개의 호석(護...
    연계항목김만기묘역(金萬基墓域)
  • 이천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딸이다. 문학에 힘써 당대에 이름이 높았다. [내용] 생원시에 합격, 내시교관으로 있다가, 1739년(영조 15)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40년 정자가 되고 교리ㆍ헌납ㆍ장령 등 언관직을 역임한 뒤 1749년 이조참판에 올랐다. ...
    이칭별칭 의숙(宜叔)| 진암(晋庵)| 문간(文簡)
  • 인경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61(현종 2)∼1680(숙종 6).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비. [내용] 본관은 광주(光州). 예학의 대가 김장생(金長生)의 4대손인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만기(萬基)의 딸이다. 1670년(현종 11) 10세 때 세자빈으로 간택되...
    이칭별칭광렬효장명현선목혜성인경왕후(光烈孝莊明顯宣穆惠聖仁敬王后)

고서·고문서(105)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0년_청양면(靑良面) 1720년 청양면(靑良面) 第四永丑里 1 第一統統首 第一戶 府案付束伍軍年參拾肆丁卯本慶州父正兵自光祖淡石曾祖淡沙里外祖金末叱男 本金海妻李召史年參拾柒甲子本慶州父哲伊祖貴希曾祖己上外祖驛吏朴卜男本密陽 率女召史年伍丙申等丁酉戶口...
    연도_면이름172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四永丑里
  • 1728년 ()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728년 3월 22일, 윤생원댁 소유의 노 추업이 에게 논 3마지기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거래문서이다. 다른 토지를 구입하려고 팔고 있으며, 거래대금으로 동전 48냥을 주고받았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4 第肆統統首良牧子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71년_동면(東面) 1771년 동면(東面) 第貳里大鞭坊 4 第肆統統首良牧子 第壹戶 良牧子年陸拾柒乙酉本金海父新善祖通政信立曾祖朝散大夫訓鍊院判官應澤外祖李應鶴本蔚山 妻張召史年伍拾柒乙未本仁同父正兵禮奉祖金曾祖彦立外祖金介發本金海率子牧子三奉年貳拾壹辛...
    연도_면이름1771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貳里大鞭坊
  • 등 침투(사후인지)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등 침투(사후인지) 대한민국(남북한) 육군본부 단행본 『대침투작전사④(1961년~1970년) 중』은 1961년부터 1970년까지의 해상침투사건을 주...
    대표표제어김만기 등 침투(사후인지) | 저작권자육군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침투, 간첩
  • 賜祭文(五) 【(顯廟)庚子(松潭書院)宣額時】○知製敎()製進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七 附錄 五 44 賜祭文(五) 【(顯廟)庚子(松潭書院)宣額時】○知製敎()製進 37_075_030.jpg 洪惟穆廟, 丕闡文治, 孰肯欽承, 而左右之? 曰惟儒賢, 應期挺出, 粹然天分, 金精玉潔。義理在躬, 淸明豈弟, 不待師承, 默契道體。精思實踐...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기초학문(1)

  • 미디어 인게이먼트의 효과를 활용한 정치캠페인의 전략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만기, 게재일 : 2014
    55717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4 미디어 인게이먼트의 효과를 활용한 정치캠페인의 전략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6)

  • 조선출판경찰월보 029호 배재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29호 배재 배재(培材) 제14호 미기재 () 경성(京城) 조선_1931년 1월 29일 불허가 치안 언한문 폴란드, 피우수트스키 금일(今日)의 세계역사를...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29호 배재 | 출판물명배재(培材) 제14호
  • 한갈등 萬人 37 봄비 김남수 40 기사들 있음. 파일분절요망. 절영도에서, 나운경, 40쪽. 고향가는 길, 윤한성, 40쪽. 애구법유, , 41쪽...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2
  • 사카로프 서간전문 A.D. 사카로프, V. F. 투르친, R.A. 메드베데프 저, 역 122 우리시대의 인물 사카로프 월터 C. 클레멘스 2세 저, 팽원순 역 13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 멜빈혹스, 크리포드 프 레이터, 데이비드 해리스 저, 임긍수 역 44 젊은이와 늙은이-헤미우에이 대 포크너 알프레드 카진 저, 역 58 메이서의 경...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 에는 필승의 신념에 넘친 4백여 명의 불교도들이 모였다. 대회는 곽서순씨 사회로 시작되여 남조선 불교도련맹원 김룡담씨 김해진씨를 비롯한 애국불교도 6명을 주석단에 선출하고 남조선 불교도련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씨의 보고가 있었는데 그는 우리 조국을 영원한 식민지로...
    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831_02_01

기타자료(1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924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6면 ; 京城府;경성부 다옥정 34 재학생 제3학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510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7 45면 ㅁ6. 제6회(1936년 3월) 21명;ㅁ2) 특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740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7 46면 ㅁ6. 제6회(1936년 3월) 21명;ㅁ2) 특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2282 남한 경성 중앙불교전문학교 1-44 중앙불교전문학교일람 1936 46면 ㅁ6. 제6회(1936년 3월) 21명;ㅁ2) 특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불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080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05면 1. 제6편. 생도일람;1) 1. 在籍생도 명부;(2) 제3학년 ; (원적)경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633(인조 11)∼1687(숙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형조참판 김장생의 증손, 할아버지는 참판 김반, 아버지는 생원 김익겸, 어머니는 해평 윤씨로 참판 윤지의 딸이다. 인경왕후의 아버지이자 작은아버지인 김익희에게서 수학했으며, 송시열의 문인이다. 1652년(

  • 서포가문행장 / 西浦家門行狀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광산김씨 족문(族門)의 삼대 총부(冢婦)에 대해 지은 행장집. 가전류(家傳類) 작품으로, 입전대상인물은 ()·만중(萬重)의 모부인인 해평윤씨, 해평윤씨의 맏며느리 청주한씨, 청주한씨의 맏며느리인 한산이씨이다. 「태부인행습유록」은 「졍경부인ᄒᆡ평

  • 보사공신 / 保社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에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김석주에게 1등공신을, 이입신에게 2등공신을, 남두북·정원로·박빈에게 3등공신을 내렸다. 이 중 정원로는 역모와 관련 있다고 하여 6월에 복주(伏誅)되어 삭훈되었다.

  • 숙종 / 肅宗 [역사/조선시대사]

    1661(현종 2)∼1720(숙종 46). 조선 제19대 왕. 현종의 외아들, 어머니는 김우명의 딸인 명성왕후이다. 비는 의 딸인 인경왕후, 계비는 민유중의 딸인 인현왕후, 제2계비는 김주신 딸인 인원왕후이다. 1667년 정월 왕세자에 책봉되고, 1674년 8

  • 건암일록 / 健菴日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김양택이 관직 생활과 정계의 동향 등을 기록한 일기. 6책. 필사본. 그 중 5책은 김양택의 일기이며 제1책은 이조에서 처리한 문관인사행정기록이다. 책마다 속표지에 ‘수록(隨錄)’·‘경진일록(庚辰日錄)’ 등의 서명(書名)이 붙어 있다.김양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