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륵” 에 대한 검색결과 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敬窩集 栢巖集 필적 1540(중종 35)-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 있다.
    이칭별칭 희옥(希玉)| 백암(柏巖)| 민절(敏節)
  • 송석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郡守)ㆍ홍문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603년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정사 (金?)과 함께 명나라에 다녀온 뒤 성균관직강ㆍ예조좌랑ㆍ홍문관교리ㆍ성균관전적ㆍ사헌부장령ㆍ오위사직(五衛司直)ㆍ광흥창수(廣興倉守) 등을 거쳐 원손강학관(元孫講學官)으로 재임하던...
    이칭별칭 경수(景受)| 졸암(拙庵), 춘호(春湖)
  • 선사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선물. 凡事多不如意 未知何以訖功 亦慮筆子 天將有歸計 處處求束 爲善事之資 市中亦蕩然, (金.), 16-5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탕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텅 빔. 凡事多不如意 未知何以訖功 亦慮筆子 天將有歸計 處處求束 爲善事之資 市中亦蕩然, (金.), 16-5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전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머리 한 번 돌린 사이에. 어느새. 前拜 轉頭換歲 不任戀. 卽承問字 就審氣候佳裕 遙慰遙慰, (金.), 16-4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31)

  • 1599년 백암(栢巖)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백암선생문집(栢巖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詩文門3_塞上詩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塞上詩 柳如京《塞上詩》: “鳴鶻直上一千尺, 天靜無風聲更乾. 碧眼胡兒三百騎, 盡提向雲看.” 千古絶唱, 家戶圖畫. 或謂用夷變夏之讖. 余見唐 李益詩云: “天山雪後海風寒, 橫笛偏吹《行路難》. 磧裏征人三十萬, 一時回首月中看.” 其語蓋有所祖.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十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國如有應奏請的,着他不時奏來,毋有所諱.'右冬至使ㆍ金時獻·書狀官宋錫慶聞見事件內,具錄."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선조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嘯皐先生門人錄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임 종가 소수박물관 嘯皐 朴承任 선생의 문인들을 기록한 문인록이다.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목록이 있고, 柏巖 을 비롯하여 소고 선생의 문인 52명의 성명과 자, 호, 본관과 거주지 등을 수록하였다. 또한 각 인물의 현달한 조상과의 관계, 생년, 과거 급제...
    자료구분전적 | 현소장처소수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1)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지금탁지부에 셜시 농공은자본금을 한고에오십환식야 삼쳔고를모집되 한번에 오원식열번에 거시라 졍부대소 관리들에계도 몃쥬식복뎡야 아모리간구관인이라도 한두고식 안이자듬을고슈원관찰부에도긔별야일쳔오쥬를 모집야 보라 얏스 관찰부에셔 다슈고금을 모...
    게재일1906년 5월 31일 | 기사분류잡보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540(중종 35)∼1616(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 김만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좌승지 김우, 아버지는 진사 김사명, 백부인 형조원외랑 김사문에게 입양되었다. 이황의 문인이다. 1576년(선조 9)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대표적 관직으로 영

  • 구강서원 / 龜江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에 있었던 서원. 1615년(광해군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담(金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9년에 박승임(朴承任)·()·김영조(金榮祖)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맡아오던 중,

  • 배응경 / 裵應褧 [종교·철학/유학]

    , 대구부사를 역임하였다. ·김우옹과『반야심경』을 강론하는 등, 제현과 교유하며 여생을 보냈다. 일찍이 유성룡과도 교유하였는데, 그의 박학함에 유성룡이 탄복하였다 한다. 저서로는『안촌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