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두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63)
사전(70)
- 김두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9∼? 독립운동가‧한글학자‧정치가. [개설] 호는 백연(白淵). 경상남도 동래군(현재의 부산광역시) 출생. 1905년까지는 집에서 한문을 배우다가 서울로 올라와 기호학교(畿湖學校:중앙고등보통학교의 전신)와 배재학교에 다녔다. ...이칭별칭 백연(白淵)
- 이화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43년 봄부터 조선의용군 병원에서 일하였다. 1944년 4월 연안(延安)으로 들어가 화북조선독립동맹 주석 김두봉(金枓奉)의 휘하에서 자료 수집 간사로 활동하였으며, 1945년 1월에는 중국의과대학에 입학하였다. 해방 후 오랫동안 중국 대련(大連)...
- 연안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중국 연안을 중심으로 항일투쟁을 하다가 해방 후 입북한 조선의용군 출신의 정치집단. [개설] 일본이 패망하자 김두봉(金枓奉)중국 연안에서 활동하던 조선의용군 계열의 김두봉‧최창익(崔昌益)최창익‧무정(武亭)무정‧김창만(金昌滿)김창만‧윤공흠...
- 유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 천두슈(陳獨秀)‧진형명(陳炯明) 등 사회주의 세력과도 접촉을 하면서 광둥의거(廣東義擧)‧우창폭동(武昌暴動)에도 참가하였다. 한편, 김두봉(金枓奉)‧신채호 등과 『한글말본』‧『깊더조선말본』 등을 저술하였다. 다시 만주로 되돌아가서 북만주일대의 민족세력을 규합...이칭별칭 단주(旦洲)
- 대한교육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독립운동가들이 이곳으로 모여들자 이들 자녀교육을 목적으로 문사(文士)‧교육가들이 조직하였다. 임원은 회장 박은식(朴殷植), 서무 김정목(金鼎穆)‧옥관빈(玉觀彬)‧김태연(金泰淵)‧손정도(孫貞道)‧정인과(鄭仁果), 편집 김두봉(金枓奉)‧이광수(李光洙)‧최창식(崔昌植)‧이한...
고서·고문서(7)
- 이건하가 신관휴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韓山 漁洞 申都事宅 回納 本使 謹㚆 伏拜審麥凉、 仕體連護萬旺、 仰慰叶頌, 弟、病狀則快祛, 而冗務日 事滾汨, 悶憐悶憐, 惠送海物, 可試病胃, 緊感 無比耳, 積年未穩, 悵耿一般, 而衰境豈能容易 枉存乎, 風日漸暢, 一次來臨, 以敍積懷爲希, 金頭鳳之行爲, 聞甚痛惡, 屢次詗捉...분야문학 | 유형문헌
- 慶尙道庄土文績_제10책 : 慶尙南道靈山郡所在庄土關係圖書文績類 185. 光緖五年己卯○月二十三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31.5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일부 탈락 1879년(고종 16) 월 23일 山人 禪答 답주 山人 禪答 답주 金斗奉 金在弘 경상 영산 읍내 耳石員/官前員 경상도 영산(군/현) 읍내(면/방) 耳石員/...자료명慶尙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3 第三統統首李鍾奎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月禮年丁卯等壬午戶口相准 * 本의 오기이다. 第三戶 嘉善김光遠年柒拾貳甲戌本김海父大興祖折衝萬碩曾祖嘉善應尙外祖通政 盧可銅本廣州妻李姓年柒拾參癸酉本慶州父枝萬祖永發曾祖舜明外祖김斗鳳 本김海婢月每年丙寅前逃亡等壬午戶口相准 第四戶 兵營硫磺軍高得孫年參拾捌戊申本龍潭父連大祖通政聖斗曾祖時...연도_면이름182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六大陽里
- 〈新字典〉 해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1879-1926)의 도움으로 편찬 작업이 진행되었다. 우리말 훈석(訓釋) 작업에는 주시경(周時經, 1876-1914)과 김두봉(金枓奉, 1889-1961?)이 참여하였으며, 한자 자획의 교감은 신문관(新文館)의 최성우(崔誠遇, ?-?)가 맡았다. 그러나 조선광문회에서...대표표제어〈新字典〉 해제 | 편저자朝鮮光文會[최남선 등 편] | 권수見部-龠部 110면)
- 추안급국안 : 경술년(1730, 영조 6) 반역사건 신문기록(9)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啓張宇奎物故 黃翼再放沈祉衍物故李重郁李泰齡金 貢玉李重懋囚 八月十四日開坐 金世貴崔益亮捕廳移送裵世益結案鞫廳議啓 羅啓復宋來成正刑裵世益羅啓泰行刑姜穟刑問二次 鞫廳議啓沈遇溟物故金斗奉囚 八月二十九日開坐 黃燦琦原情羅弘敏原情洪廷佐原情 李泰和原情鄭世南原情櫂叙經原情 姜穟朴明喜面質姜穟趙星彬面...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8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구술자료(1)
- 최진도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금제면, 긴재, 당감동, 대동군, 부산, 부암동, 장현, 평양, 김두봉, 박윤선, 박헌영, 신동혁, 양달주, 이기선, 이유택, 이원경, 주기철, 주영진, 최낙원, 최삼열, 최병익, 하시모토, 한상동, 한심석, 고려신학교, 긴재간이학교, 긴재교회, 김일성대학, 내성교회,구술자최진도 | 직업당감제일교회 원로목사 | 지역평양
신문·잡지(864)
- 민세안재홍전집 : 안재홍신문조서(1)(중국군관학교사건)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15 1936 7 16 1 1 조선총독부검사 안재홍신문조서(1)(중국군관학교사건) 문서류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45 공문 간접자료 선집외 治安維持法安在鴻 金枓奉, 朴南坡 D19360716한민01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訊問調書(四)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06 1936 6 15 4 4 京城鍾路警察署 中國軍官學校事件 安在鴻訊問調書(四) 문서류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45권 공문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中韓同盟,民族革命黨, 洛陽軍官學鄭泰運, 朴南坡, 金枓奉, 李始...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安在鴻訊問調書(三)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09 1936 6 22 4 3 京城鍾路警察署 中國軍官學校事件 安在鴻訊問調書(三) 문서류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45권 공문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中韓同盟,民族革命黨, 洛陽軍官學鄭泰運, 朴南坡, 金枓奉, 李始榮...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안재홍 판결문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39 1938 5 4 1 1 昭和十二年刑控第五六○號 안재홍 판결문 경성복심법원 문서류 판결문 판결문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安在鴻, 治安維持法, 保安法, 金枓奉, 支那陸軍航空學校, 韓國民族革命黨 D1938...출처형태문서류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강원로동신문_1947_1120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947년 11월 20일 352 한성(韓星) 강원도 원산시 중앙리 37 강원노동신문사 조선 임시 헌법 준비에 관한 보고 김두봉 김두봉 김두봉대표표제어강원로동신문_1947_1120_01 | 날짜1947년 11월 20일 | 책임주필한성(韓星)
멀티미디어(60)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이 강좌는 한국어, 한글연구에대한관심이있는국내외대학원생들을대상으로 주시경, 김두봉, 김규식 등 근대 문법가들의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기타자료(61)
- 김두봉;金斗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217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김두봉;金斗琫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두봉;金斗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768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94면 김두봉;金斗琫 경성부 이문정 朝鮮鑿岩製作所 제26회 1939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두봉;金枓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4066 남한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1-42 會員名簿 1941 29면 1. 卒業生;1) 제1회(61명: 1909년 12월 졸업) 김두봉;金枓奉 上海 法界 望志路 212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앙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김두봉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окра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 Ким Ду Бо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김두봉 평정서 정치 문서 현대 북한 타이핑 김두봉,...키워드김두봉,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대표주제어김두봉 | 발신자레베데프
- Concerning north-south unification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 Jacobs, 미국무장관에게 김일성과 김두봉이 김구와 김규식에게 보낸 남북 통일 관련 회담 관련 메시지 내용 전달: 김일성과 김두봉, 지난 정치회담의 결과가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움 표명. 또한 독일이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Jacobs | 수신자Secretary of State
연구과제(1)
-
한국 선도사상의 3수문화-선도문헌과 대종교계열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조남호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 2013 | 국내 | 충남
주제어사전(12)
-
김두봉 / 金枓奉 [정치·법제/정치]
1889년(고종 26)∼1961?. 독립운동가·한글학자·정치가. 연안파 공산당의 지도자. 17살에 서울로 올라와 배재학교. 보명중학에서 공부하고, 한글학자 주시경 밑에서 연구한 후 각지의 한글강습회와 보성, 중앙, 휘문고보에서 가르쳤다. 1929년 임시정부 의정원 의
-
조선어전초본 / 朝鮮語典抄本 [언어/언어/문자]
김두봉(金枓奉, 1889∼?)이 『조선어전』을 수정하여 묶은 문법서. 『조선어전』은 김두봉의 체계와 용어를 계승, 발전시키는 원칙을 지키면서 중등학교 학생들에게 국어 문법을 보급할 목적으로 지어진 책인데, 『조선어전초본』은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조선어전』을 수정한 책
-
말모이 / [언어/언어/문자]
1910년대 편찬된 현대적인 국어사전. 최남선(崔南善)이 설립한 조선광문회에서 주시경(周時經)과 그의 제자들인 김두봉(金枓奉)·권덕규(權悳奎)·이규영(李奎榮)이 민족주의적인 애국계몽의 수단으로 편찬하였다. 1911년부터 편찬이 시작되어 거의 원고가 마무리되었으나 편찬
-
신자전 / 新字典 [언어/언어/문자]
1915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가 편찬한 한자 자전. 4권 1책. 유근(柳瑾)과 최남선(崔南善)의 서에 의하면, 유근의 주관하에 이인승(李寅承)·남기원(南基元)의 도움으로 편찬되었으며, 한자의 새김은 주시경(周時經)과 김두봉(金枓奉)이 정성스레 마음을 썼고, 인쇄
-
한글모죽보기 / [언어/언어/문자]
년 3월은 한글이라는 명칭사용의 최고 시점이다. 이 책의 회록과 이하의 기록을 검토하면, 이 단체는 주시경(周時經)의 주도하에 제자들인 김두봉(金枓奉)·이규영·권덕규(權悳奎)·신명균(申明均) 등이 일제하에 민족운동을 전개하였음이 밝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