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동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6)
- 유형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 뒤 항저우(杭州)의 중국항공학교에 입학하려 하였으나 거절당하고, 난징(南京) 및 뤄양(洛陽)에서 연도명(延圖明)과 김동우(金東宇) 등을 알게 되어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36년 오면직(吳冕稙)ㆍ한도원(韓道源)ㆍ김창근(金昌根) 등과 함...이칭별칭장천민(張天民)
- 한도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으로 일하면서 일제의 정보를 탐지하여 김구에게 전보하였다. 그 뒤 후지이의 독립운동자의 동정을 조사,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고 난징(南京)의 중국중앙군관학교에 입교하여 훈련을 받다가 중퇴하였다. 1936년 김동우(金東宇)‧오면직(吳冕稙) 등과 함께 항일비밀결사인...이칭별칭이국화(李國華)|왕소산(王少山)
- 노종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4∼1939. 독립운동가. [개설] 황해도 안악 출신이다. 이명은 양동오(楊東五)‧백운서(白雲瑞)‧김동우(金東宇)‧김동우(金東愚)이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의 안악지국 기자로 일하면서 한정교(韓貞敎)‧오면직(吳冕稙...
- 맹혈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일파 밀정 등을 처단한 것이 인적 배경이 되어 김창근(金昌根)‧한도원(韓道源)‧유형석(柳瀅錫)‧김동우(金東宇) 등과 같이 무력적이고 적극적인 투쟁을 전개할 목적으로 이 단체를 조직하였다. 단장 오면직, 부단장 김창근, 그리고 주요파괴실행위원에는 한도원‧유형석‧...이칭별칭맹혈단(盟血團)
- 한국특무대예비훈련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 설치하였다. [기능과 역할] 책임자는 김구가 설립한 한국특무대독립군의 중대장 겸 조사부장인 노종균(盧鍾均, 이명 楊東浩‧金東宇)이었다. 김구의 맏아들 인(仁)과 하응무(賀應無)가 대원들과 함께 합숙하며 대원들을 지도하였다. 난징 동관두(東關頭) 32호...이칭별칭학생훈련소|몽장훈련소
고서·고문서(10)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0444 B07044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4年 11月 26日_010 ○洪祐順, 以義禁府言啓曰, 倭學訓導朴命澈, 別差金東佑等, 竝拿問嚴勘事, 傳旨啓下矣。 朴命澈時在東萊府云, 依例發遣府書吏, 拿來, 金東佑下去全羅道靈巖地云, 依例發遣府羅將, 拿來, 何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683 B038683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26年 8月 10日_015 ... 荏子島僉使李翼新呈狀內, 老母今年七十五歲, 法不當遠離赴任, 依例遞改云。 邊將之親年七十五歲以上者, 許遞其任, 例有式暇, 竝今姑改差, 何如? 傳曰, 允。 以金東佑·韓選基爲僉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686 B038686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26年 8月 10日_015 ... 荏子島僉使李翼新呈狀內, 老母今年七十五歲, 法不當遠離赴任, 依例遞改云。 邊將之親年七十五歲以上者, 許遞其任, 例有式暇, 竝今姑改差, 何如? 傳曰, 允。 以金東佑·韓選基爲僉知...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송추값(松楸價)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譯官) 고도오팔(高島五八) 김동우(金東愚) 충청남도 서산군(瑞山郡) 동암면(銅岩面) 대교리(大橋里) 거주 이정규(李廷珪) 경성(京城) 북부(北部) 소격동(昭格洞) 거주 본건 상고를 기각함. 002 일문 隆熙二年民上第三一號 判決書 上告人...재판기관대심원(大審院) 민사부 | 판결일자1908년 09월 25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기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善宇年參拾參庚辰本慶州父忠贊衛琦楠祖宣武原從功臣訓鍊院正出身鳳壽曾祖學生樹命外祖學生辛 國珍本靈山妻朴召史年參拾壹壬午加現本密陽父保人希福祖學生玠富曾祖禦侮將軍碩外祖僉知金東友本金海率庶母李召史 年肆拾柒丙寅本理山己酉戶口相准 戶忠贊衛李善龍年伍拾捌乙卯本慶州父忠贊衛義男祖宣武原從功臣訓鍊正出身鳳...연도_면이름1672년_부내면(府內面) | 면이름부내면(府內面) | 마을이름第九伴{鷗}亭里
기초학문(1)
- 기업의 목표관리 특성 및 활성화 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동우, 게재일 : 200715187 김동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07 기업의 목표관리 특성 및 활성화 방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15)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챵식 리죵록 뎐윤이 장긔득 김동우 신장셕 이상각二十錢식 合四十九人 合十一圓七十뎐 捧留所帝國新聞社게재일1907년 3월 8일 | 기사분류광고
- 식량과농업_1957_01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의 채종재배 김동우 92 시월의 원예병충해 구제 김명오 98 추잠사육에 대하여 완 박병희 104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7
- 식량과농업_1959_03_0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34 한 일선 교도원의 각오 박정욱 136 내가 본 미국의 소채농사 김동우 140 92년도 농협사업계...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9
- 식량과농업_1959_03_1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취미로서의 개 기르기 신영길 144 농협소식 - 농업협동조합 설립상황 155 고 우장춘박사의 푸로필 김동우 156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9
- 교통_1957_3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강좌 24 김동우 119 알기쉬운 증기기관차 9 이원전 123 디젤전기관차 11 문영호 127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7
기타자료(9)
- 김동우;金東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984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수원농학회보 제5호 1940―03―31 133면 김동우;金東祐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동우;金同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01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46면 김동우;金同佑 제2회 1942년 3월 19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동우;金東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2495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61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7) 제35회 163명(1939년 3월 졸업) 김동우;金東祐 (주소 및...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동우;金東祐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3945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1면 (37) 제35회 163명(1939년 3월 졸업) 김동우;金東祐 수원고등농림학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동우;金東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9128 남한 충남 충청남도사범학교 기념사진첩 n.r. 0 김동우;金東雨 홍성군 홍주면 조향리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김동우 / 金東寓 [역사/근대사]
1896-1988.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다른 이름은 김일선(金一鮮)이다. 본적은 경상남도 남해군(南海郡) 창선면(昌善面)이다. 1919년 3월 1일 서울 파고다공원(현 탑골공원) 독립선언식에 참가하여 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하였다. 이 일을 계기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
-
유형석 / 柳瀅錫 [역사/근대사]
하고, 난징(南京) 및 뤄양(洛陽)에서 연도명(延圖明)과 김동우(金東宇) 등을 알게 되어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36년 오면직(吳冕稙)·한도원(韓道源)·김창근(金昌根) 등과 함께 난징에서 맹혈단(盟血團)을 조직하여, 유력한 민족주의 단체와 제휴할 때까지 상해를 활동
-
한도원 / 韓道源 [역사/근대사]
전보하였다. 그뒤 후지이의 독립운동자의 동정을 조사, 보고하라는 지시를 받고 난징(南京)의 중국중앙군관학교에 입교하여 훈련을 받다가 중퇴하였다. 1936년 김동우(金東宇)·오면직(吳冕稙) 등과 함께 항일비밀결사인 맹혈단(盟血團)을 조직하여 일제기관의 파괴, 밀정의 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