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동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1)
사전(82)
- 김동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찬위원회, 1973)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오재식, 행정신문사, 1959) 『무장독립운동비사(武裝獨立運動秘史)』(채근식, 대한민국공보처, 1949) 김동삼...이칭별칭 일송(一松)|긍식(肯植)
- 유시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잠복하였다. 1911년 8월 만주로 망명하여 이상희(李象羲)ㆍ김동삼(金東三)ㆍ안창호(安昌浩) 등과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남북만주일대가 국권회복운동을 전개하기에 최적지임을 깨닫고 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1913년 국내에 잠입하여 활동하였다. ...이칭별칭 박여(璞汝)| 성남(星南)
- 이겸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5(고종 32)∼1942.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석(石). 경상북도 영덕 출신. 1910년 만주로 건너가 이상룡(李相龍)ㆍ이시영(李始榮)ㆍ김동삼(金東三) 등과 독립운동기지건설에 노력하였다. 1918년 유하현...이칭별칭석(石)
- 유의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시 만주로 건너가 이상희(李象羲)ㆍ김동삼(金東三) 등을 만나 만주지방에서 국권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이 때 안창호(安昌浩)를 만나 무기 구입에 대하여 의논하고 그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국내에 잠입하였다가 영주에서 일본경찰에게 붙잡혀 대구지방법원에 구금당하였...
- 조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백제시대의 귀족. [내용] 6세기 말경에 금동석가여래입상(金銅釋迦如來立像 : 일명 鄭智遠銘金銅三尊佛立像, 보물 196호)을 제작한 정지원의 부인이다. 이 불상의 광배(光背)에 새겨진 명문(銘文)에 의하면 정지원은 먼저 죽은...
고서·고문서(9)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樂韶爲僉知, 鄭完默爲兼訓鍊都正, 金東三爲宣傳官, 李普憲爲內禁將, 姜夔欽·朴基勉·安錫俊爲五衛將, 金秀煥爲曹司衛將, 吳成默爲忠壯將, 李軒卿爲文兼, 李昌鉉爲武兼, 黃羲哲爲部將, 申錫祜爲德津萬戶, 趙熙淵爲安骨萬戶, 知事單李恒基, 同知單孟錫寬, 大護軍沈舜澤, 護軍朴瑄壽·鄭夔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1 第十一統統首權得龍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1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19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十八路上里 11 第十一統統首權得龍 第一戶 業武權得龍年肆拾柒癸巳本安東父時東祖萬瑞曾祖春相外祖김東三本 김海妻김姓年參拾參丁未本김海父遜南祖毛老曾祖驗連外祖鄭順奉本 延日率弟府軍官鰥夫得範年肆拾肆丙申女年...연도_면이름1819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十八路上里
- 4 第四統統首김正孫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25년_대외면( 大外面) 1825년 대외면( 大外面) 第二十七長承浦里 4 第四統統首김正孫 第一戶 禁米保김正孫年肆拾肆壬寅本김海父岳只祖起山曾祖末叱連外祖林莫立本淸州 妻李召史年肆拾壹乙巳本慶州父禾古里祖七善曾祖多夫外祖김東三本慶州女年拾伍 辛未等壬午戶口相准...연도_면이름1825년_대외면( 大外面) | 면이름대외면( 大外面) | 마을이름第二十七長承浦里
- 21 第二十一統統首韓容鍵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第二戶 西生鎭砲手김日中年貳拾柒戊辰本김海父永載祖小斤岳只曾祖老峻外祖李枝旭 本慶州妻權召史年貳拾貳癸酉本安東父泉南祖鳳曾祖項禹外祖김東三本김海等 辛卯戶口相准 第三戶 副司果朴春和年柒拾乙酉本密陽父聖健祖瑛源曾祖貴東外祖尹甘山本坡平妻 崔姓年陸拾伍庚寅本慶州父潤彬祖今山曾祖進儀外祖朴致祥本密陽子...연도_면이름1834년_온남면(溫南面) | 면이름온남면(溫南面) | 마을이름第十三西生里
- 3 第三統統首金振聲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71년_하부내면(下府內面) 1771년 하부내면(下府內面) 第十二蓮巖里 3 第三統統首金振聲 第一戶 幼學金振聲年柒拾壹辛巳本金海父學生連宇祖學生義曾祖學生文益外祖學生金東三本慶州妻金氏年 伍拾捌甲午籍慶州父學生元五祖學生南益曾祖宣敎郞沙斤道察訪震彦率婦金氏年參拾參己...연도_면이름1771년_하부내면(下府內面) | 면이름하부내면(下府內面) | 마을이름第十二蓮巖里
주제어사전(8)
-
김동삼 / 金東三 [역사/근대사]
1878-1937. 항일기의 독립운동가. 호는 일송(一松). 1913년 여준·이상룡 등과 함께 부민단을 조직했으며, 1918년 지린성 왕칭현에서 서일·여준·유동열·김좌진 등 39명이 민족대표로 서명한 ‘무오독립선언서’를 발표했다. 1927년 김좌진·이청천 등과 함께
-
고성한 / 高成翰 [역사/근대사]
1888-1921년.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독립운동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하고 만주(滿洲)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 가담하여 곽문(郭文)·김동삼(金東三)·김응섭(金應燮)·김형식(金衡植)·남정섭(南廷燮)·양규열(
-
김낙두 / 金洛斗 [역사/근대사]
미상-192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독립운동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하고 만주(滿洲)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 가담하여 곽문(郭文)·김동삼(金東三)·김응섭(金應燮)·김형식(金衡植)·남정섭(南廷燮)·양규열(梁圭烈
-
김명희 / 金明熙 [역사/근대사]
미상-192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일제에게 국권을 빼앗기자 독립운동을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결심하고 만주(滿洲)로 이주하였다. 그곳에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 가담한 후, 곽문(郭文)·김동삼(金東三)·김응섭(金應燮)·김형식(金衡植)·남정섭(南廷燮)·양규열(梁
-
홍경식 / 洪景植 [역사/근대사]
1년 1월 밀명을 띠고 이병욱(李丙旭)과 함께 권총 15정과 폭탄을 휴대하고 국내로 잠입하였다가 일본경찰에 붙잡혀 4월 26일 신의주지청에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1924년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김동삼(金東三)의 밀명을 받고 국내로 파견된 김장식(金章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