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김도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9)
사전(6)
- 김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03(순조 3)∼1873(고종 10). 한말의 학자. [내용]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순백(純伯), 호는 외암(畏庵). 안동의 가야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성로(星魯)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義城金氏)로 한운(翰運)의 딸이다. 처...이칭별칭 순백(純伯)| 외암(畏庵)
- 농서별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장인 김도명(金圖溟)이 여러 역의 찰방을 지낼 때 20여 세로 그 장인을 따라다니며 외지에서 오래 머물렀다 하므로 그 때 이 가사 후반의 내용과 같은 일을 자신이 실제 겪었는지, 또는 남의 작품을 베낀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본인의 인품과 생애로 보아 그의 작...
- 장곡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권태일(權泰一)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860년(철종 11) 김도명(金道明)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휘령(李彙寧)의 서문이, 권말에 김도명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 외암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김도명(金道明)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1934년 삼종손 달현(達鉉)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유회식(柳晦植)의 발문과 이운연(李運淵)ㆍ달현의 후지(後識)가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
- 이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書)는 대부분 친지와 벗과 자질에게 안부를 묻는 것이다. 「여장회당서(與張晦堂書)」에서는 점차 어지러워지는 시국을 개탄하고 힘이 없는 자기들로서는 영재교육에 힘써서 나라를 구출할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김도명(金道明)과 송자경(宋子敬)에...
고서·고문서(21)
- 김도명 판결문(金道明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CJA0000093-0015 1920년 刑控 제663호 국가기록원 경성복심법원 金道明 判決文 김도명 판결문 판결문 일본어 1920.12.02. 판사 아라이(新井胖), 미야모토(宮本元), 스기우라(杉浦武雄) 공갈 김도명(39세, 농업) 강원도 김화군 기오면 학방리 6쪽...제목김도명 판결문(金道明 判決文) | 사건유형공갈 | 소장처국가기록원
- 1860년 김도명(金道明)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긍구당에 안부를 물을 목적으로 경신년 2월 13일에 김도명이 쓴 편지이다. 그 동안 몸도 건강하고 학문의 이룸도 클 것이라고 하며 늘 다정하게 베풀어 준 두터운 정에 고마움을 느낀다고 했다. 연세가 많은 친척이나 원로들의 형편 역시 어떠한지 궁금하다고 하며 항상 후배...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60년 김도명(金道明)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긍구당에 편찬사업의 교정 작업 현황과 혼인 등에 관해 알릴 목적으로 경신년 2월 5일 김도명이 쓴 편지이다. 열흘도 안 되어 상대에게서 두통의 편지를 받으니 매우 기쁘고도 송구스러웠다고 했다. 그 사이에 상대방과 가족들 모두 잘 지냈는지 안부를 물었다. 그리고 늘 상...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683년 의계(義契)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683년(숙종9)11월 16일에 김도명이 빈한하기 때문에 와우 구미원의 논 5두락 1야미(부수: 11부 5속)를 밀양김씨 문중의 의계에 팔면서 작성한 토지거래문서이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영암 밀양김씨 김상회
- 龍洞宮(1793)_황해도 안악군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148431 19303_66_9_1405 奎19303_66_9 龍洞宮(1793) 황해도 안악군 安谷坊 越中垌 황해도 안악군 安谷坊 越中垌 16 16결 김도명(金道明) 김도명(金...자료번호19303_66_9_1405 [奎19303_66_9]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98)
- 평북로동신문_1948_0326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470 김봉훈 평북로동신문사 리인태 본사 문병히, 김준도, 장성삼, 한보선, 문지곤, 김도명, 리시찬, 김영덕 작잠사 1,400키로그람. 출근율 96.55%로 제고. 로동생산성 10% 제고(1월에 비하여). 원가 저하 10%(2월에 비하여). 원료...대표표제어평북로동신문_1948_0326_02 | 책임주필김봉훈
- 투사신문_1947_1017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도명 평양특별시 대항리 투사신문사 당분간 수리 중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7_1017_04 | 책임주필김도명
- 투사신문_1947_1017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도명 평양특별시 대항리 투사신문사 쏘련영화 아렉싼드 15일부터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7_1017_04 | 책임주필김도명
- 투사신문_1947_1017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도명 평양특별시 대항리 투사신문사 해방예술극단 해방예술극단 꽉쇠 10일부터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7_1017_04 | 책임주필김도명
- 투사신문_1947_1017_04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김도명 평양특별시 대항리 투사신문사 최승희예술무용 공연 15일부터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7_1017_04 | 책임주필김도명
기타자료(14)
- 김도명;金道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109 일본 弘前 弘前高等學校 弘前高等學校一覽 1934년 4월~1935년 3월 1934―10―15 148면 김도명;金道明 조선학교소재지역弘前 | 학교명弘前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도명;金道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112 일본 弘前 弘前高等學校 弘前高等學校一覽 1935년 4월~1936년 3월 1935―09―25 143면 김도명;金道明 조선학교소재지역弘前 | 학교명弘前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도명;金道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114 일본 弘前 弘前高等學校 弘前高等學校一覽 1936년 4월~1937년 3월 1936―09―25 143면 김도명;金道明 조선학교소재지역弘前 | 학교명弘前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도명;金道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140 일본 弘前 弘前高等學校 弘前高等學校一覽 1940년 4월~1941년 3월 1940―11―30 201면 김도명;金道明 조선 제14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弘前 | 학교명弘前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도명;金道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069 일본 水戶 水戶高等學校 水戶高等學校一覽 昭和13年~昭和14年 1938―06―30 142면 김도명;金道明 조선학교소재지역水戶 | 학교명水戶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김도명 / 金道明 [종교·철학/유학]
1803년(순조3)∼1873년(고종10년).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김성로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로 김한운의 딸이다. 처음에 유심춘의 문하에서 수업하였으며, 뒤에 유태좌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석학 이한응·이휘녕·유치명 등과 교유하였다. 권엽의 유문을 편집,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