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김덕영” 에 대한 검색결과 1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4)

사전(77)

  • 김덕령()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248 인물 김덕령() 김덕령 1567 1596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수(景樹).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형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1593년 담양(潭陽)에서
    유형분류인물
  • 김충장공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의병장 김덕령()의 행록과 시문을 기록한 책. [내용] 3권 1책(부록 포함). 목판본. 김덕령은 원래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이몽학(李夢學)의 난에 연루되어 죽음을 당하였다. 이 책은...
  • 기효증(奇孝曾)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나자 5월 도내의 부로(父老)들에 의해 의곡장(義穀將)으로 추대되어, 나주(羅州)에 의곡도청(義穀都廳)을 설치하고 도내에 격문을 보내어 의곡을 모았다. 김덕령()이 의병을 일으킬 때 도유사(都有司)로서 격문을 지어 의병을 모집하고, 의병장으로 추대되었다. 겨울에...
    유형분류인물
  • 이인경(李寅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133 인물 이인경(李寅卿) 이인경 李寅卿 ? ?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호는 만송당(萬松堂). 김덕령()의 처남으로서,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덕령과 더불어 의병을 일으켜 진해(鎭海)‧고성(固城) 지...
    유형분류인물
  • 장문포해전(長門浦海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였는데, 일본군이 포를 발사하여 배에 불이 붙었지만 불길이 번지기 전에 진압하였다. 이후 3일까지 일본군이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아 소강상태가 지속되었는데, 4일에 이르러 이순신이 의병장 곽재우(郭再祐)‧김덕령()과 함께 수륙 합동작전을 펼쳤다. 그로부터 6일...
    유형분류사건

고서·고문서(40)

  • 1907년 () 등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송파 진주하씨 하위지 후손가
  • (琴德榮)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1788년 김덕령 선시일 치제문(宣諡日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김덕령()의 『김충장공유사(金忠壯公遺事)』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金忠壯公遺事』는 3권과 부록 상ㆍ하, 그리고 속편 1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저자 김덕령을 통해 당시 의병 활동을 알 수 있는 중요 자료이다. 이는 곧 호남과 영남 등지에서 주로 활동한 의병들의 주요 활동 영역과 내역 등을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김덕령의 영웅...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741년 김덕령() 호구단자(戶口單子)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영암 밀양김씨 김상회

구술자료(1)

  • 만고충신 김덕령[[]]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들이 옛날이야기를 청하자 바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 2. 20(토) | 조사장소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운천8리 581-20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정덕재[[鄭德在]]

기초학문(1)

  • 近世期における韓日の英雄伝説の比較―民衆の英雄としてのと由比正雪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63564 한국연구재단 勉誠社 2013 近世期における韓日の英雄伝説の比較―民衆の英雄としてのと由比正雪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1)

기타자료(1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3908 북한 평남 평양사범학교 3-12 교우회지 제6호 1937―02―28 0 ;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평양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57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62면 ; 제16회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덕령;;금언;金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822 남한 전북 이리공업학교 2-37 기림창간호 1905―05―02 2면 김덕령;;금언;金彦 전북 1 1944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이리공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전시판과 학습환경 구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66 12 문교경북 3호 경상북도교육위원회 113-120 ...
    범주1교육기회확대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덕영 | 사료철명문교경북
  • 세계 인권 선언 채택의 의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71 5 문교경북 28호 경상북도교육위원회 69-76 8 P...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덕영 | 사료철명문교경북

주제어사전(5)

  • / [역사/근대사]

    1887-192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경상북도 상주(尙州)이고, 독립운동 당시 주소는 황해도 재령(載寧)이다. 중국 상하이에 소재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 자금 후원을 목적으로 조직된 임시군사준비단(臨時軍事準備團)에 가입하였다. 이후 군자금을 모으기 위해

  • 김덕령장군의복 / 將軍衣服 [생활/의생활]

    1965년 광주광역시 무등산에 있던 김덕령(:1567∼1596) 장군의 묘를 이장할 때 출토된 16세기 후기의 복식류. 1965년 7월에 광주광역시 무등산 이치(梨峙)에 있던 충장공(忠壯公) 김덕령(:1567∼1596) 장군의 묘를 이장할 때 16세기말 선

  • 최세욱 / 崔世郁 [역사/근대사]

    1883-1939. 독립운동가. 일명 우화(宇和). 황해도 재령 출신.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고 동창인 나석주(羅錫疇)·()·최호준(崔皓俊) 등과 함께 3·1운동에 참여하였다. 주에 본부를 둔 한족회(韓族會)에 가입하였으며, 1919년 을 상해(

  • 최호준 / 崔皓俊 [역사/근대사]

    1898-1945. 독립운동가. 황해도 재령 출신. 재령의 보명학교(普明學校)를 졸업하였다. 재령군일대의 궁장토(宮庄土)가 일제의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로 넘어가 농민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동양척식주식회사의 소작료착취가 강화되자, 나석주(羅錫疇)·

  • 벽진서원 / 碧津書院 [교육/교육]

    광주광역시 광산구 벽진동에 있는 서원. 1604년(선조 3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광옥(朴光玉)의 덕행과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78년에 김덕령()을 추가 배향하는 동시에 중수하였으며, 1681년(숙종 7) ‘의열사(義烈祠)’라고 사